6월 및 2/4분기 산업활동 동향 및 평가
광공업(전월비 2.9%), 건설업(2.7%), 서비스업(1.6%), 공공행정(1.6%) 등이 모두 증가
* 全산업생산(전월비,%): (‘14.2)△1.5 → (3)0.7 → (4)△0.6 → (5)△1.2 → (6)2.1
<전년동월비> 1.4 2.7 1.4 △0.7 1.3
2/4분기 전체로는 광공업(전기비 △0.9%), 건설업(△0.8%), 서비스업(△0.1%), 공공행정(△4.4%) 등 대부분 산업에서 감소
(광공업·서비스업) 광공업 생산은 석유정제(△4.5%) 등에서 감소하였으나, 반도체 및 부품(11.2%) 등이 증가하여 전월비 2.9% 증가(전년동월비 0.6% 증가)하였으며, 2/4분기 전체로는 △0.9% 감소
* 광공업생산(전월비,%): (‘14.2)△2.1 → (3)1.1 → (4)0.0 → (5)△2.8 → (6)2.9
<전년동월비> 3 .9 2.8 2.5 △2.1 0.6
6월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6.7%로 전월비 2.0%p 상승
* 제조업평균가동률(%): (‘14.2)75.8 →(3)77.5 →(4)77.8 → (5)74.7 → (6)76.7
제조업 재고가 전월비 1.0% 증가하고 출하는 2.3% 증가하면서 제조업 재고/출하비율은 119.7%로 전월비 △1.6%p 하락
* 재고/출하비율(%): (‘14.2)118.5 → (3)118.5 → (4)121.4 → (5)121.3 → (6)119.7
서비스업은 출판·영상·방송통신·정보업(전월비 4.2%), 숙박·음식점업(3.3%), 금융·보험업(2.1%) 등의 증가에 힘입어 전월비 1.6% 증가(전년동월비 2.2% 증가), 2/4분기 전체로는 △0.1% 감소
* 서비스업생산(전월비,%): (‘14.2)△0.7 → (3)0.7→ (4)△1.1→(5)0.5→(6)1.6
<전년동월비> 1.1 2.4 0.9 0.6 2.2
(소매판매) 6월 소매판매는 준내구재(전월비 △1.9%)와 비내구재(△0.6%)가 감소하였으나 내구재(3.6%)가 증가세를 보이면서 전월비 0.3% 증가(전년동월비 1.2% 증가), 2/4분기 전체로는 △0.4% 감소
* 소매판매(전월비,%): (‘14.2)△3.1 → (3)1.7→ (4)△1.4→(5)1.2→(6)0.3
<전년동월비> △0.4 2.1 0.2 1.1 1.2
(설비투자) 6월 설비투자는 운송장비 투자가 증가하였으나 기계류 투자가 감소하여 전월비 △1.4% 감소(전년동월비 2.3% 증가), 2/4분기는 2.1% 증가
* 설비투자(전월비,%): (‘14.2)△0.6 →(3)1.4 →(4)2.4 →(5)△0.8 →(6)△1.4
<전년동월비> 12.3 7.2 10.7 5.5 2.3
운송장비(전월비,%): (‘14.2)△9.3 →(3)7.7 →(4)3.9 →(5)△4.2 →(6)2.2
기계류(전월비,%): 2.8 △0.7 1.6 0.5 △2.7
기계수주는 기타운송장비, 1차금속, 통신업 등에서 수주가 증가하여 전월비 3.6% 증가(전년동월비 4.2% 증가)
* 기계수주(전월비,%): (‘14.2)3.7 →(3)31.3 →(4)△14.3 →(5)△21.0 →(6)3.6
<전년동월비> 10.9 45.7 23.7 △14.8 4.2
(건설기성) 6월 건설기성(불변)은 건축·토목공사 모두 증가하여 전월비 2.7% 증가(전년동월비 △2.9% 감소), 2/4분기는 △0.8% 감소
* 건설기성(전월비,%): (‘14.2)△3.4 →(3)△3.5 →(4)6.8 →(5)△6.8 →(6)2.7
<전년동월비> 6.5 2.5 3.1 △2.6 △2.9
축(전월비,%): (‘14.2)△2.0 →(3)△4.0 →(4)8.5 →(5)△5.1 →(6)0.9
토목(전월비,%): △5.6 △2.8 4.1 △9.5 5.7
건설수주(경상)는 주택, 사무실·점포, 발전 등에서 수주가 늘면서 전월비 6.3% 증가 (전년동월비 23.3% 증가)
* 건설수주(전월비,%): (‘14.2)13.8 →(3)△33.7 →(4)57.4 →(5)△20.1 →(6)6.3
<전년동월비> 21.7 △11.8 47.4 4.8 23.3
(경기지수) 6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대비 △0.1p 하락
* 동행지수 순환변동치: (’14.2)100.6 → (3)100.7 →(4)100.5 →(5)100.1 →(6)100.0
<전월차(p)> △0.1 0.1 △0.2 △0.4 △0.1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대비 0.2p 상승
* 선행지수 순환변동치: (’14.2)101.5 → (3)101.3 → (4)101.4 →(5)101.3 →(6)101.5
<전월차(p)> △0.1 △0.2 0.1 △0.1 0.2
6월 광공업 생산이 5월에 비해 반등하는 등 산업활동이 4~5월의 부진에서 다소 개선되는 모습
ㅇ광공업 생산은 5월중 징검다리 휴무 등 생산을 제약했던 일시적 요인들이 완화되면서 5월 부진을 다소 만회
서비스업 생산도 2개월 연속 증가세(0.5→1.6%)를 보이면서 세월호 사고에 따른 영향에서 점차 벗어나는 조짐
다만,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가 3개월 연속 하락하는 등 경기회복 모멘텀이 약화된 측면
2/4분기 전체로 볼 때 광공업과 서비스업 생산이 모두 감소
분기별 광공업 생산이 ‘13.2/4분기 이후 4분기만에 감소하였으며, 서비스업 생산도 ’10.3/4분기 이후 15분기만에 감소
6월중 생산은 증가하였지만, 소비·투자 등 내수 개선세 미약
소비심리 회복 지연, 고용 증가세 둔화 등으로 5월중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던 소매판매 증가세 둔화
* 소비자심리지수(CSI): (‘14.1/4) 108.3 (4) 108 (5) 105 (6) 107 (7) 105
* 취업자 증감(전년동월비, 만명): (’14.1/4)72.9 (4)58.1 (5)41.3 (6)39.8
제조업 평균 가동률이 70% 중반(76.7%)에 머무르면서 설비 투자가 감소하고, 건설투자도 뚜렷하게 회복되지 못하고 있음
* 제조업 평균가동률(%): (‘11)80.5 (’12)78.5 (‘13)76.2 (’14.1/4)77.2 (4)77.8 (5)74.7 (6)76.7
7월에도 수출이 뚜렷하게 개선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경제주체들의 심리 위축도 지속되고 있어 향후 경기에 불확실성이 큰 상황
* 일평균 수출 증가율(전년동기비, %): (’14.1/4)2.4 (4)8.9 (5)5.4 (6)4.9 (7.1~20일)4.1
* 기업경기실사지수(BSI): (‘14.1/4) 78.3 (4) 82 (5) 79 (6) 77 (7) 74
경기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는 가운데, 경기 회복세가 공고화될 수 있도록 ‘41조원+α’ 정책패키지 등 경제활성화 노력을 하고 차질없이 추진 필요
웹사이트: http://www.mosf.go.kr/
연락처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 경제분석과
이재홍 사무관
044-215-2735
-
2018년 7월 6일 1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