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 6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 발표

과천--(뉴스와이어)--(총괄) 사업체 종사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99천명(상용 +184천명, 임시·일용 -17천명, 기타종사자 -68천명) 증가한 15,130천명으로, 상용직 증가폭은 소폭 축소, 임시·일용직은 감소세가 지속됨

(규모별) 300인 미만 규모 사업체 종사자수의 증가폭(+61천명)이 10만명 미만으로 감소하였고, 300인 이상 규모의 증가폭(+38천명)은 5개월 동안 횡보하는 수준

(산업별) 전년동월대비 종사자 수는 건설업(+104천명), 교육서비스업(+41천명),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38천명),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37천명) 순으로 증가, 금융 및 보험업(-43천명), 도매 및 소매업(-39천명) 순으로 감소함

건설업(9.2%),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5.3%) 등에서 종사자 수 증가율이 크고, 금융 및 보험업(-5.1%) 등은 감소율이 크게 나타남

’14.6월 입직률은 4.2%로 전년동월대비 0.2%p 상승, 이직률은 4.6%로 전년동월대비 0.7%p 상승

입직자수는600천명으로전년동월대비46천명(8.4%)증가, 이직자수는647천명으로전년동월대비 97천명(17.6%)증가함

(규모별) 300인 미만 사업체 입직률은 4.7%로 전년동월대비 0.3%p 상승, 300인 이상은 2.2%로 전년동월과 유사함

이직률은 300인 미만(5.0%)은 전년동월(4.3%)대비 상승폭이 큰 반면, 300인 이상(2.5%)은 전년동월과 유사함

(산업별) 입직률이 높은 산업은 건설업(12.7%), 숙박 및 음식점업(8.3%),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6.3%) 등이고 낮은 산업은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1.2%), 교육서비스업(1.1%) 등이며,

이직률이 높은 산업은 건설업(14.4%), 숙박 및 음식점업(8.5%) 등이고, 낮은 산업은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1.0%), 교육서비스업(2.4%) 등임

(종사상지위별)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상용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112천원으로 전년동월(3,036천원)대비 2.5% 증가, 임시·일용근로자는 1,385천원으로 전년동월(1,375천원)대비 0.7% 증가함

상용근로자 1인당 월평균 정액급여는 2,647천원으로 전년동월대비 3.3% 증가, 초과급여는 213천원으로 전년동월대비 11.9% 증가, 특별급여는 252천원으로 전년동월대비 11.5% 감소함

(규모별) 5~300인 미만(상용기준)은 2,698천원으로 전년동월대비 1.4% 증가, 300인 이상은 3,850천원으로 전년동월대비 3.8% 증가하여 300인 이상 상승률이 300인 미만보다 높게 나타남

(산업별) 전년동월대비 임금상승률은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서비스업(7.4%)이 가장 높았으며, 부동산업 및 임대업(4.6%)과 제조업(4.3%)이 그 뒤를 이음

(종사상지위별)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상용근로자의 월평균 총근로시간은 170.6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7.0%(-12.8시간) 감소, 임시·일용근로자는 113.1시간으로 7.5%(-9.2시간) 감소함

(규모별) 5~300인 미만(상용기준)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총근로시간(165.5시간)은 전년동월대비 7.2% 감소, 300인 이상(161.6시간)은 7.2% 감소함

(산업별)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총근로시간이 긴 업종은 전년동월대비 7.7% 감소한 부동산업 및 임대업(183.3시간)과 5.4% 감소한 제조업(180.2시간) 순으로 나타났으며, 짧은 업종은 전년동월대비 8.8% 감소한 건설업(142.3시간)과 5.8% 감소한 교육서비스업(145.3시간) 순으로 나타남

웹사이트: http://www.moel.go.kr

연락처

고용노동부
노동시장분석과
정향숙 사무관
044-202-7257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