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발전연구원, “충남 자동차부품 기업이 원하는 기술개발지원정책 수립해야”

- 사업화단계 집중 지원 및 분야별 시험검사장비 재정비 필요

공주--(뉴스와이어)--충남 자동차부품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키우고 지속적 성장을 견인하기 위해서는 수요자 중심의 기술개발지원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는 전문가의 주장이 제기됐다.

충남 자동차부품산업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기업 지원환경이 각 분야별 기업의 니즈(Needs)를 뒷받침하기에 아직까지는 부족하다는 의미다.

7일 충남발전연구원 김양중 책임연구원은 “충남 자동차부품기업 기술개발 지원제도의 개선방안”(충남리포트 122호)에서 “충남도 자동차부품기업 303개를 대상으로 올 상반기에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기술개발 지원이 가장 필요한 시기는 모든 자동차부품 분야에서 ‘개발기술 사업화단계’(기술개발 후 상품화를 위한 사출·금형·목형 제작, 시제품 제작 등 양산화 이전 단계)라고 응답했다.”며 “이때 가장 필요한 지원책은 기술평가에 기반한 사업화 자금 지원과 생산·양산에 필요한 전문인력 지원”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충남 자동차부품 기업들은 기술개발에 필요한 외부기관 시험·검사장비 활용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시험·검사장비 보유기관에 대한 정보 부족과 필요한 시험·검사 장비가 아예 없거나 제대로 갖춰져 있지 못한 이유”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김 책임연구원은 “기술개발지원정책의 수요자인 자동차부품 기업의 니즈를 적극 반영해야 한다.”며 “특히 기술개발 지원사업에 대한 심사조건을 완화하고, 복잡한 제출서류를 보다 단순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기술개발 사업화를 위한 지원책에 대한 니즈가 자동차부품 분야별로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 만큼 기술 및 경영 컨설팅 시 각 특성을 감안한 단계별 지원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리고 “충남 자동차부품 기업이 가장 필요로 하는 기술개발 및 사업화 자금을 원활히 확보할 수 있도록 관련 예산의 확대와 정부의 투·융자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며 “무엇보다 기술인력 지원과 기술정보 제공은 정책적 의지에 따라 즉시 성과를 낼 수 있는 지원분야이므로 예산 확보 등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제안했다.

충남발전연구원 소개
충남발전연구원은 1995년 6월 충청남도와 16개 시군이 충남의 발전과 도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공동 출연하여 설립한 종합정책연구기관이다.(현재 15개 시군) 이에 연구원은 충청남도 및 시군의 중장기 발전 및 지역경제 진흥, 지방행정과 관련된 정책 과제의 체계적인 연구와 개발 등에 대한 전문적·체계적인 조사분석, 연구활동을 통하여 각종 정책을 개발·제시하고 있다. 충남발전연구원은 더불어 행복한 충남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자율과 연대, 그리고 열정으로 도민과 함께하는 열린 연구원으로 거듭나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s://www.cni.re.kr

연락처

(재)충남발전연구원
기획조정연구실
정봉희 홍보팀장
041-840-1123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