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우량 암소 일찍 고를수록 개량 앞당길 수 있어”
지금까지 농가에서는 냉동 정액으로 공급되는 보증씨수소(KPN)의 유전 능력 정보만 이용했기 때문에 개량을 촉진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암소의 능력 평가에는 태어난 송아지를 살찌게 한 뒤 도축 자료를 이용해 후손 중 여러 마리의 자료를 모아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렇게 선발돼도 나이가 6세∼7세 이상이면 번식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간이 짧고, 열성의 송아지가 태어나면 기간·급여량을 고려하면 오히려 손해를 볼 수 있다.
그러나 생후 30개월령 정도에 초음파를 이용하면 암소의 개량과 관련된 근내지방도, 등심단면적과 등지방두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맞춤형 개량이 가능하다.
즉, 초음파 측정으로 암소의 근내지방 능력이 떨어지면 씨수소의 근내지방 유전 능력이 좋은 냉동 정액으로 계획 교배를 해 능력이 뛰어난 송아지를 생산할 수 있어 개량 효율을 더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초음파 자료와 암소의 혈통 정보를 이용해 유전 능력을 분석하면 태어날 후손의 능력까지 미리 알 수 있다.
초음파 측정으로 얻은 표현형 자료(근내지방도, 등심단면적, 등 지방두께)를 이용해 육종가(유전 능력)를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암소의 선발과 도태 기준을 마련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한우시험장 김형철 연구사는 “초음파 기술을 한우 개량에 이용하면 선발 기간을 줄일 수 있어 번식우로서 활용 기간을 늘릴 수 있다” 라며 “암소와 수소를 동시에 선발해 개량에 이용하면 개량 효율을 2배 이상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라고 전했다.
초음파 측정은 시군 농업기술센터와 지역 축협 등에 의뢰하면 되고, 초음파 화상의 판독과 자료를 이용한 유전능력평가는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에 요청하면 된다.
웹사이트: http://www.rda.go.kr
연락처
농촌진흥청
한우시험장
김형철 연구사
033-330-0656
-
2018년 4월 13일 1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