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청, 한·중·일 창업·벤처 생태계 비교 연구 결과 발표
이번 연구는 선순환 사이클 모델을 기반으로 한·중·일 3개국의 창업·벤처 생태계를 집중 분석하고, 생태계의 선도국가인 미국과 비교하고 각국의 장·단점을 분석하여 한국의 벤처·창업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보완점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세부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인벤션/아이디어 사이클) 한국의 특허출원 건수는 매년 증가추세로, 1인당 출원 건수는 0.41건으로 세계 최고 수준인 반면, IP 로열티의 경우 중국과 한국은 적자를 기록하고 있어, 특허의 질을 높이고, 로열티 수입·기술금융 등 특허 활용을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엔젤/사업화 사이클) 엔젤투자 비중은 GDP 대비 0.01%에 못 미치는 수준이며, M&A 규모는 중국·미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흡한 수준으로, 엔젤투자 및 미국(Facebook, Google 등), 중국(Alibaba, Tencent 등)과 같이 대기업 주도 M&A 활성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벤처/마케팅 사이클) GDP 대비 벤처캐피탈 비중은 한·중·일 3개국 중 가장 우위를 점하고 있지만, IPO의 경우 상대적으로 저조, 코스탁 등 투자회수시장의 활성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남.
(리커버리/선순환 사이클) 대표적인 창업기업의 성공 이전 평균 실패 횟수는 한국의 경우 1.3회이나 중국과 미국의 경우 2.8회로, 우리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은 실패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남.
이번 연구를 주관한 창조경제연구회에 따르면 한국은 공급중심형, 중국은 시장지향형, 일본은 기술중심형, 미국은 밸런스형의 특징을 보이고 있었으며, 특히 한국은 공급중심형에서 벗어나기 위해 기술금융을 강화하고 M&A와 IPO 등 회수시장의 활성화로 ‘선순환 생태계 구축’에 보다 힘쓸 필요가 있다고 제안하였다.
중기청은 이와 관련하여 지난 벤처·창업활성화대책(‘13.5), 기술창업 활성화 세부 추진방안(’14.3) 등 그간 내놓은 벤처·창업 정책을 근간으로, 이번 연구가 제시한 중국의 천인(千人)계획·교판기업 및 일본의 대기업발 벤처 등 한국이 배울만한 사례를 면밀히 검토하여 특허를 활용한 기술금융·대기업의 창업지원 및 사내벤처 확대 등 향후 정책보완 과제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웹사이트: http://www.mss.go.kr/site/smba/main.do
연락처
중소기업청
창업진흥과
이하녕 사무관
042-481-8914
-
2021년 1월 24일 1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