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발전연구원 “충남 경제 선순환, 분공장 탈피가 관건”

- 충발연 보고서, ‘가장 시급한 과제로 자립적 본사기능 확대’ 제시

공주--(뉴스와이어)--충남경제의 선순환을 위해서는 현재의 분공장(分工場) 경제를 벗어나야 한다는 전문가의 주장이 제기됐다.

충남의 도내 제조업 분공장 비율은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치이며, 충남 소재 분공장 대부분은 거의 생산기지 역할만 수행하고 있어 지역 내에서 생산된 부가가치가 역외로 유출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는 게 그 배경이다.

18일 충남발전연구원이 발간하는 충남리포트 127호에서 박 경 목원대학교 교수는 “충남이 지금의 분공장 경제를 탈피하기 위한 가장 시급한 과제 중의 하나는 자립적 본사기능을 확대하는 일”이라며 “충남이 기업 본사를 유치하기 위해서는 충남이 가진 유리한 점과 불리한 점을 고려하여 유치가 가능한 업종과 기업을 선별하고 전략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소위 ‘분공장’은 사업체의 통제권이 모회사에 있는 제조업 지부와 자회사를, ‘분공장 경제’는 지역 고용의 상당부분을 지역밖에 본사가 있는 기업이 담당하는 지역경제를 일컫는다.

충남의 2012년도 지역내총생산(GRDP)은 89.1조 원이었으나, 이 중 42.9%에 해당하는 38.2조 원이 외부로 유출되었으며, 이러한 유출 수준은 200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왔다는 것이다. 또한 충남의 1인당 GRDP는 전국 2위 수준이나, 주민의 실질생활수준을 나타내는 1인당 개인소득은 전국 14위, 1인당 민간소비는 전국 13위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에 박 교수는 “충남 지역 영업잉여의 67%가 서울로 유출되며, 인천, 경기를 합친 전체 수도권으로 유출되는 비중은 89%나 된다.”며 “이는 본사의 수도권 집중이 가장 큰 원인으로 충남에 공장·지사·지소를 둔 사업체 중 수도권에 본사를 둔 사업체는 업체수 기준으로 36.8%, 종사자 수 기준으로 43.1%를 차지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말 본사 입지 여건을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직원 1000명 이상의 대기업, 직원 300명 이상의 자동차부품기업, 직원 100명 이상의 반도체 디스플레이 기업 대상) 결과, 본사기능 유치를 위해서는 약49%가 우수한 인재 확보의 용이성을, 약33%가 관련 산업의 집중과 생산거점의 접근성을, 약32%가 교통의 편리성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중복 답변).

박 교수는 “충남은 우수한 인재확보와 생활관련 인프라의 부족 등에서 본사 유치에 불리하게 작용하겠지만, 거래기업과의 근접성(현대 자동차, 삼성전자·디스플레이 등), 편리한 교통, 저렴한 임대료 및 지가, 세종시와 내포신도시 건설에 따른 중앙부처나 충남도청과의 근접성 등에서 본사 입지에 유리하다.”며 “이를 바탕으로 유치가 가능한 업종과 기업을 선별해 전략적으로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법인 본사 지방이전을 위한 특별법(가칭)’을 제정해 법인세 감면과 이전 자금 저리 융자 등 인센티브의 법제화, 지방의 열악한 교육, 정주환경 등의 획기적인 개선 방안 등을 마련하는 중앙정부 차원의 대책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충남발전연구원 소개
충남발전연구원은 1995년 6월 충청남도와 16개 시군이 충남의 발전과 도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공동 출연하여 설립한 종합정책연구기관이다.(현재 15개 시군) 이에 연구원은 충청남도 및 시군의 중장기 발전 및 지역경제 진흥, 지방행정과 관련된 정책 과제의 체계적인 연구와 개발 등에 대한 전문적·체계적인 조사분석, 연구활동을 통하여 각종 정책을 개발·제시하고 있다. 충남발전연구원은 더불어 행복한 충남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자율과 연대, 그리고 열정으로 도민과 함께하는 열린 연구원으로 거듭나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s://www.cni.re.kr

연락처

(재)충남발전연구원
기획조정연구실
정봉희 홍보팀장
041-840-1123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