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지방대학 경쟁력 제고를 통한 창의적 지역인재 육성방안’ 국무회의 보고
교육부는 박근혜정부 핵심 국정과제인 ‘지방대학 지원확대’를 위해 ‘지방대학 육성방안’을 마련(’13.11)하고, ‘지방대학 육성법’을 제정(’14.1)하는 등 지방대학 육성 정책을 차질없이 추진 중이다.
그러나, 입학자원의 감소 등 지방대학을 둘러싼 대·내외적 여건은 지속적으로 악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기존의 지방대학 육성 정책에서 나아가, 우수 외국인 유학생 유치와 평생직업교육 등 새로운 수요를 흡수하는 적극적 정책으로 전환하는 방안들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대학이 배출하고 있는 창의적 자산(지식, 기술)과 아이디어, 우수 인재들이 지역 창조경제를 견인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지방대학 특성화와 대학의 창의적 자산 사업화
우선, 지방대학의 특성화, 창의적 자산의 사업화/창업화 및 지역 중소기업 연구인력 양성을 지원하여 지방대학의 역할을 강화할 계획이다.
‘지방대학 특성화’를 중심으로 우수한 학과는 수도권에 버금가는 명품학과로 집중 육성하는 ‘지방대학 특성화 사업’을 지속 추진하고, 동시에, 여건이 열악한 지방대학도 도태되지 않도록 ‘지역선도대학’과 연계·협력하여 지방대학 경쟁력이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대학의 ‘창의적 자산’을 사업화/창업화하기 위한 ‘대학의 창의적 자산 실용화 지원 사업’에 ’15년부터 3년간 총 450억원을 신규로 투자할 예정이다.
실용화를 위한 추가 연구(R&BD)와 시제품 제작 및 국제특허 등록 등을 지원하여 대학의 잠재력 있는 창의적 자산(기술, 지식)이 ‘사업화/창업화/기술이전’으로 이어지도록 할 계획이다.
더불어, 지역 중소기업이 원하는 우수 연구인력이 지방대학에서 양성되도록 지방대학과 지역중소기업 간 연계·협력에 대한 지원을 지속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새로운 수요 창출로 지방대학에 활력 부여
학령인구 감소 등에 대응하여 우수 외국인 유학생 유치와 평생직업교육 확대 등 새로운 수요를 흡수하여 지방대학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적극적 정책들도 추진할 계획이다.
(우수외국인 유학생 유치) 우선, 8만 5천명 수준으로 정체되어 있는 외국인 유학생을 확대하기 위해, 정주여건 개선과 유치 확대 및 대학간 연계협력을 강화한다.
(정주여건) 지역 공동 기숙사, 상담센터 및 글로벌 라운지(문화교류) 등을 갖춘 ‘글로벌 교류센터’ 건립을 확대하고, 권역별 외국인 유학생 서비스센터를 신설하여, 학업·생활상 애로사항에 대한 맞춤형 상담 지원으로 정주 여건을 개선할 계획이다.
(유치확대) 또한, 수도권에 집중(전체 65% 이상)된 정부초청 외국인 장학생(GKS)의 지방대학 유치를 위해 지방대학 트랙을 신설(’15년)하고, ASEAN 우수 이공계 대학생에 대한 지방대학 초청·연수(100명)를 새롭게 지원한다고 밝혔다.
(공동 유치) 더불어, ‘대학 특성화’, ‘지역선도대학’ 등 재정지원 사업과 연계하여, 지방대학 간 공동 유치·활용 등 네트워킹을 통한 우수 외국인 유학생 유치를 확대할 계획이다.
(성인학습자 수요 흡수) 대학의 우수한 인력과 시설을 활용하여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수요를 흡수하기 위하여 16개의 전문대학을 ‘15년까지 평생직업교육대학으로 전환하는 계획도 발표했다.
또한, 4년제 대학도 기존 비학위 중심 평생학습 중심대학 육성 사업을 개편하여, ’15년 신규 선정대학부터 성인학습자 대상 학위 또는 비학위과정을 운영할 예정이다.
(전문대학-폴리텍대학간 협업) 특히, 학령인구 감소로 전문대학의 우수한 인력과 시설은 유휴화되는 반면, 폴리텍의 비학위과정의 수요는 증가하는 점을 감안하여, 전문대학과 폴리텍의 연계를 보다 강화해 양 기관의 강점 분야가 융합된 다양하고 유연한 교육과정 운영으로 서비스, IT/SW분야 등 기능 인력을 적기에 양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문대학의 기자재와 시설 등 인프라와 폴리텍의 현장실습 노하우가 유기적으로 결합된다면, 기업이 요구하는 기술·기능인력에 대한 수요 증가를 충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향후 교육부와 고용노동부는 양 부처를 중심으로 한 직업교육·훈련기관 인력양성 협의체를 구성·운영할 계획이다.
(기업 교육훈련 기능 흡수) 더불어, 증가하는 기업의 재교육훈련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대학이 사내대학의 비학위과정과 석사학위 수요를 흡수하고, 지방대학에 계약학과 설치 확대를 위해 정원 내 계약학과의 설치를 허용하는 방안 등을 적극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역인재 육성 선순환 기반 조성
‘지방대학 육성법’ 시행(’14.7)을 계기로, 지역인재전형, 지방인재 장학금, 취업기회 확대 등 지역인재 육성을 위한 선순환 기반 조성에도 힘쓸 계획이다.
’15년도 대입부터 지역인재전형을 새로이 시행하고, 1,000억 규모의 ‘지방인재 장학금’으로 우수인재들의 지방대학 진학을 유도한다.
또한, 공무원 지역인재추천 채용 목표를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지방이전 공공기관이 지역인재를 우선적으로 채용하도록 하는 등 지역인재의 취업 기회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향후 교육부는 지방대학이 지역창조경제의 전진기지로서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현재 추진과제들이 차질없이 진행되도록 총력을 기울이고, 올 연말에 구성·운영될 ‘지방대학과 지역인재 육성지원 협의체’를 통해 지방대학 육성 정책들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갈 계획이다.
웹사이트: http://www.moe.go.kr/
연락처
교육부
지역대학육성과
신진용 사무관
044-203-6924
-
2018년 12월 17일 1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