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업계, 사물인터넷 성장 위해 GSMA 임베디드 SIM 사양 채택

- 유수의 모바일 사업자들, SIM 벤더들, 모듈 제조업체들, GSMA 임베디드 SIM 준수한 솔루션 설치

- 새로운 리서치 결과 SIM사양 채택으로 오는 2020년까지 M2M시장 34% 성장 전망

- 모바일 360 중동(Mobile 360-Middle East)

뉴스 제공
GSMA
2014-10-17 11:55
두바이, 아랍에미리트--(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두바이에서 개최된 모바일 360 시리즈-중동 회의(the Mobile 360 Series-Middle East conference)에서 GSMA는 유수의 모바일 사업자인 AT&T(http://goo.gl/Y68s5R), 에티살랏(Etisalat), NTT 도코모(NTT DOCOMO, http://goo.gl/cs9xlS), 텔레포니카(Telefónica), 보다폰 그룹(Vodafone Group) 등과 SIM 및 모듈 제조업체인 젬알토(Gemalto), 지제케&데브리엔트(Giesecke & Devrient), 모르포(Morpho, 사프란 (Safran)), 오버츄어 테크놀로지스(Oberthur Technologies), 시에라 와이어리스(Sierra Wireless), 텔리트(Telit) 등과 함께 원격으로 ‘방송에 의해’ M2M(machine-to-machine)기기를 권한설정 하는 GSMA 임베디드 SIM 사양에 따른 솔루션을 출시했다고 발표했다. 에릭슨(Ericsson), 재스퍼(Jasper), 텔레노어 커넥션(Telenor Connexion)같은 에코시스템 파트너들과 추가 사업자들도 역시 출시를 약속했다.

GSMA의 알렉스 싱클레어(Alex Sinclair) 최고기술책임자는 “우리의 비전은 M2M시장을 가속화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단일하고 보편적인 글로벌 사양의 배후에서 모든 이해당사자들을 단결시켜왔다”며 “그것은 또 사실상의 업계 표준이 되고자 하는 GSMA 임베디드 SIM 사양의 의도이기도 하다”고 말했다. 그는 “업계에 널리 채택되면 장기 성장과 업계 발전의 길을 설정하는 것이다”며 “M2M 커뮤니티가 이 사양을 사용해 사업을 펼칠 준비가 됐다는 소식을 환영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발표는 이동통신업계가 단일하고 보편적이며 호환 가능한 사양을 향해 이동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이는 M2M시장을 가속화시켜 독점솔루션이 야기하는 파편화를 감소시킬 것이다. 비첨 리서치(Beecham Research)의 독자적인 연구에 따르면 업계가 GSMA 임베디드 SIM 사양을 즉각적으로 널리 채택할 경우 오는 2020년까지 시장 성장이 34%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GSMA 임베디드 SIM 사양으로 모바일 네트워크 사업자들은 연결차량, 스마트 미터처럼 종종 밀봉된 M2M연결기기에 대해 확장가능하고 믿을 수 있으며 안전한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이 사양은 또 방송에 의한 사업자 권한설정과 관리를 촉진해 최종 소비자들에게 서비스 유연성을 제공한다. GSMA 임베디드 SIM 사양은 비용을 절약하고 효율성을 주도하며 급속한 M2M시장 성장을 가속화시키는 보편적인 글로벌 아키텍처를 촉진한다. GSMA 인텔리전스(GSMA Intelligence)에 따르면 M2M시장은 올해 2억4400만 글로벌 연결을 기록했다.

△ 채택으로 M2M시장 가속화하고 IoT 성장 지원

비첨 리서치가 최근 발표한 독립 보고서 ‘모바일 인에이블드 M2M 업계에서 GSMA 임베디드 SIM 사양의 이익분석’는 GSMA 임베디드 SIM 사양을 즉각 채택해서 설치하면 오는 2020년까지 임베디드 M2M시장이 최대 34%까지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2020년 한해에만 모바일 사업자들이 연결 매출로 89억달러의 수입을 창출할 수 있다는 의미다. 비첨 리서치는 임베디드 M2M SIM 연결시장이 세계적으로 6억 3900만건의 연결 실적에 도달할 것이며 오는 2020년까지 약 4억 7800만건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만약 GSMA 기술 사양이 2014~2015년에 사실상의 사양으로 채택된다면 그렇다는 것이다. 비첨 리서치는 소비자가전분야도 이를 널리 채택할 것이며 무엇보다 자동차 분야가 이 성장의 선두에 설 것으로 예상했다.

△ 테스트 사양으로 시장 보증 제공

GSMA는 원격 권한설정 솔루션 사업자들을 위해 GSMA 임베디드 SIM 기술사양을 준수하며 서로 다른 임베디드 SIM 원격 권한설정시스템을 보장하는 임베디드 SIM 테스트 사양을 발표했다. GSMA는 또 원격 권한설정 가입관리서비스 사업자들을 위해 강력한 보안 및 상품통합요건이 유지되는 보안 인증제도를 출시했다.

△ 모바일 360 시리즈-중동 회의에 소개된 임베디드 SIM

GSMA는 이번 주 두바이에서 개최된 모바일 360 시리즈-중동 회의에서 GSMA 임베디드 SIM 기술사양을 여러 번 시연한다. 참가자들은 모바일 엔터테인먼트를 보여주는 양방향 증강 현실 디스플레이, 차량 텔레매틱스, 연결 보험과 같은 관련 서비스 등 임베디드 SIM이 미래에 연결차량(the connected car)에 어떻게 작동하는지 직접 목격할 수 있다.

모바일 360 시리즈-중동 회의에 관한 추가정보를 찾으려면 아래를 클릭하기 바란다.
http://www.mobile360series.com/middle-east/

GSMA의 임베디드 SIM 관련 정보
http://www.gsma.com/connectedliving/connected-living-mobilising-the-internet-of-things/

비첨 리서치의 보고서 다운로드:
http://www.gsma.com/newsroom/wp-content/uploads/BRL-Benefits-Analysis-GSMA-Embedded-SIM-Specification-2014.pdf

준수 솔루션관련 협력업체들의 코멘트

AT&T

AT&T의 크리스 펜로즈(Chris Penrose) 신흥기기담당 수석부사장은 “우리는 글로벌 SIM을 출시한 첫 사업자로서 다국적 기관들이 무선으로 연결돼 세계적으로 하나의 플랫폼에서 M2M기기, 기계, 차량을 관리할 수 있게 돕는다”며 “통합 솔루션이야말로 업계의 최선의 이해라고 생각해 GSMA 임베디드 SIM사양을 바탕으로 했고 이는 임베디드 SIM 채택을 가속화할 것이다”고 말했다.

ETISALAT

에티살라트 그룹의 칼리파 알 샴시(Khalifa Al Shamsi) 최고 디지털서비스 책임자는 “M2M 서비스를 위해 ‘임베디드 SIM’ 사양을 첫 출시하는데 기여한 개척자가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에티살라트는 2012년 초부터 자동차 제조업체들과 협력하기 시작했다”고 말하고 “이 솔루션이 IoT와 M2M에 대한 글로벌 수요을 충족시킬 잠재력을 가진 솔루션이라는 것을 확신했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제 에티살랏은 M2M용 GSMA 임베디드 SIM사양을 준수하며 최초의 eSIM을 제공하는 사물인터넷 도메인을 이끌고 있다”고 덧붙였다.

GEMALTO

젬알토의 베누아 조프리(Benoit Jouffrey) 주문형 연결솔루션담당 부사장은 “젬알토는 GSMA 임베디드 SIM사양 실행을 통해 M2M시장이 성장하고 거대한 이익이 창출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우리의 M2M 솔루션은 GSMA사양을 준수하며 이 호환 가능한 표준이 성장일로에 있는 M2M산업의 수요 충족에 기여하는 상업 프로젝트라는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GIESECKE & DEVRIENT

지제케&데브리엔트의 카르스텐 아렌스(Carst) 그룹 수석부사장 겸 통신산업부문 책임자는 “G&D는 GSMA 임베디드 SIM사양을 환영하며 이것이 M2M시장을 성장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며 “우리는 GSMA사양 개발과 상업프로젝트에서 MNO 파트너들과 긴밀히 협력함으로써 방송에 의한 가입관리를 확보하는데 선두에 섰다”고 말했다. 이어 “이제 우리는 GSMA사양을 지원하는 첫 솔루션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미 상업적으로 널리 채택됐다고 선언한다”고 강조했다.

MORPHO (SAFRAN)

모르포의 필리페 안드레아(Philippe d’Andréa) 비즈니스 솔루션부문 수석부사장은 “M2M 생태계에서 모르포의 GSMA 임베디드 SIM 솔루션에 대한 참여는 시장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이 프로젝트에 우리가 헌신적으로 참여했음을 보여준다. 이 협력적 프로젝트에서 열성적으로 참여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새로운 GSMA 사양을 포용하는 솔루션을 상업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기쁘다”고 말했다. “우리는 전세계 사람들의 생활을 편리하고 안전하게 만드는 솔루션 전달에 전념할 것이다.”

NTT DOCOMO

NTT 도코모의 나오키 타니(Naoki Tani) M2M사업개발담당 이사는 "최근 우리는 일본 최초로 다양한 해외사업자의 M2M용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작동하는 eSIM을 발표했다. 이는 GSMA 임베디드 SIM 사양에 바탕을 둔 것이다. 우리는 세계적으로 통합 솔루션이 임베디드 SIM 채택을 가속화시킬 것으로 생각한다. eSIM은 제조와 재고관리 임무를 간편화하고 글로벌 M2M 기업들에게 큰 이익을 줄 것이다”라고 말했다.

OBERTHUR TECHNOLOGIES

오버츄어 테크놀로지스의 세드릭 콜롬브(Cedric Collomb) 텔레콤사업단위 관리이사는 “M2M시장은 GSMA 임베디드 SIM 사양으로 큰 이익을 볼 것이다. M2M생태계의 모든 이해당사자들이 채택한 보편적인 사양은 수십억대의 M2M기기를 채택하게 만들 것이며 불필요한 시장 파편화를 방지할 것이다. OT는 GSMA 임베디드 SIM 사양을 포괄하고 이미 GSMA 준수 상품을 출시했다. OT GSMA 솔루션을 선택하는 고객들은 따라서 미래의 성공이 입증된 솔루션을 선택하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SIERRA WIRELESS

시에라 와이어리스의 올리비에르 뷰자르(Olivier Beaujard) 시장개발담당 부사장은 “수많은 3G와 4G LTE M2M 및 자동차 상품들이 GSMA 임베디드 SIM 사양에 바탕을 두고 출시될 준비를 하고 있다. 우리는 불필요한 파편화를 막고 M2M과 자동차시장 성장을 확보할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솔루션을 첨부한 상품을 만들기 위해 GSMA 및 업계 파트너들과 긴밀히 협력해왔다”고 말했다.

TELEFÓNICA

텔레포니카의 M2M 글로벌 관리이사인 수르야 멘돈카(Surya Mendonça)는 “우리는 독특하고 호환 가능한 임베디드 SIM 솔루션을 취득하기 위해 3년넘게 GSMA와 협력해왔다”며 “이제 우리는 SIM을 채택한 수천만개의 상품을 시중에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것들은 M2M 월드 얼라이언스 파트너들과 호환 가능한 제품들이다”며 “이 상품들이 GSMA ESIM 사양을 완전 준수한 상품이라는 데 자부심을 느끼며 M2M시장 성장에 큰 잠재력을 발휘할 것이라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TELIT WIRELESS SOLUTIONS

텔리트 와이어리스 솔루션즈의 펠릭스 마찰(Felix Marchal) 최고상품책임자는 “M2M과 자동차 어플리케이션의 독특한 환경 요건은 업계의 SIM 솔루션으로서의 필요를 오랫동안 지적해왔다. 비교 불가능한 품질과 신뢰성의 연장선상에서 우리는 표준화된 임베디드 SIM 사양을 만들어낸 GSMA의 노고에 감사한다. 이 표준에 근거한 첫 상업 솔루션을 제공하는 데 기여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GSMA 소개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는 세계 모바일 사업자의 이익을 대표한다. GSMA는 세계 220여개국에 걸쳐 광의의 모바일 생태계에 속한 250여개 업체를 포함해 800개에 육박하는 모바일 사업자를 하나로 묶고 있다. 단말기 및 기기 제조사, 소프트웨어 기업, 장비 공급사, 인터넷 기업은 물론 금융 서비스, 의료, 미디어, 운송 및 유틸리티 등의 산업 분야 기관이 GSMA와 함께 하고 있다. GSMA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obile World Congress), 모바일 아시아 엑스포 등 업계 선도적인 행사를 주최하고 있다.

상세 정보는 GSMA 웹사이트(www.gsma.com)와 트위터: @GSMA에서 볼 수 있다.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웹사이트: http://www.gsma.com

연락처

GSMA 홍보대행
찰리 메레디스 하디(Charlie Meredith-Hardy)
+44 7917 298428
CMeredith-Hardy@webershandwick.com

GSMA 홍보실
pressoffice@gsma.com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