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보공단, “여성이 남성보다 3배 많은 ‘편두통’, 호르몬과 관련 있어”

서울--(뉴스와이어)--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김종대)이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자료를 분석한 내용에 따르면 ‘편두통(G43)’으로 진료를 받은 사람은 2007년 42만6,645명에서 2013년 49만4,515명으로 매년 2.49%씩 증가하였다.

같은 기간 건강보험 적용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 적용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을 계산하면 적게는 892명에서 많게는 1,012명으로 분석되어, 100명 중 1명이 연간 1회 이상 ‘편두통’으로 진료를 받았다고 볼 수 있다.

‘편두통’ 진료에 지출된 연간 건강보험 총 진료비는 2007년 306억원에서 2013년 411억원으로 늘어 연평균 증가율은 5.03%로 나타났다.

‘편두통’ 진료인원을 성별로 나누어 보면 2007년부터 2013년까지 매년 여성이 남성에 비해 2.6배 이상 많았고,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 또한 72% 이상으로 분석되었다.

2013년을 기준으로 여성 환자를 연령대별로 나누어보면 50대(78,044명, 21.9%) > 40대(77,441명, 21.8%) > 30대(57,619명, 16.2%) 순(順) 이었으며, 이들이 전체 여성 진료인원의 60%를 차지하였다.

즉, ‘편두통’ 진료환자 4명 중 3이 여성이고, 여성 환자의 60%가 30~50대인 셈이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과 김종헌 교수는 여성에게서 편두통 환자가 많고 특히 30~50대에 집중된 것과 관련해, “편두통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젠 및 프로게스테론과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가임기 여성에서 더욱 유병률이 높다고 알려져 있으며, 실제 일부 여성은 월경 때 편두통이 발생하기도 한다”고 설명하였다.

각 연령대별 ‘편두통’ 환자의 성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2013년을 기준으로 건강보험 적용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을 계산한 결과, 남성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진료인원이 늘어나는 추세를 보인 반면, 여성은 40대~70대에서 약 2,000명(인구 10만명당)으로 고르게 많은 편이었다.

또한, 각 연령대에서 남성과 여성의 차이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점차 벌어지다가 50대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다.

50대 인구 10만명당 진료인원은 남성 603명에 비해 여성 2,026명으로 3.35배 격차가 벌어지는 것을 아래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신경과 김종헌 교수는 편두통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편두통의 원인은 아직 확실치는 않으나 유전적인 요인이 있으며, 실제 다른 유전병과 같이 유전되는 편두통이 밝혀지기도 했다. 그 외에도 신경염증, 혈관수축, 중추 민감화(central sensitization) 등 다양한 학설이 있다.

편두통은 두통의 분류에 의하면 일차적 두통에 해당하며, 뚜렷한 이상소견 없이 두통이 발생한다. 따라서 국제 두통학회의 편두통 진단 기준에 의해 진단하게 되는데, 이 중에서 진단의 가치가 가장 높은 세 가지는 ① 광공포증, ② 심한 두통으로 인한 일상생활의 장애, ③ 구역(nausea)이다. 이 세 가지 중 두 가지 이상의 증상이 있으면 편두통이라 할 수 있다.

일반 두통과 구분되는 증상으로 흔하지는 않지만 두통이 발생하기 전 전구증상이 동반될 수 있는데, 환자마다 전구 증상은 달라서 눈앞에서 아지랑이 피는 것이 보이는 시각 증상에서 마치 뇌경색과 같이 한쪽 팔다리에 힘이 빠지는 증상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편두통의 예방법으로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는 것은 충분한 잠, 운동, 영양섭취이다. 그 외에 자신에게 발생하는 편두통의 악화 요인에 대해 스스로 잘 알고 있어야 한다. 악화 요인으로는 일반적인 증상(수면장애, 피곤, 스트레스) 외에 특정 음식, 커피와 같은 음료수, 약, 날씨, 월경 등이 있을 수 있다. 음식과 같이 피할 수 있는 것은 가능하면 피하는 것이 좋고, 월경과 같은 피할 수 없는 요인이 있는 경우는 예방약을 복용함으로써 증상을 약하게 할 수 있다. 다만, 평소 습관적으로 두통약을 복용하는 것은 그 자체가 만성두통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그 밖에 두통을 악화시킬 수 있는 어깨 목 등의 통증을 평소에 치료해 두는 것이 좋다.

두통의 고통으로 인해 일상생활에 큰 지장을 주고 업무에 지장을 초래하게 되는데, 이로 인한 우울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만성편두통으로 발전할 수 있어 치료가 더욱 힘들어질 수 있다.

웹사이트: http://www.nhic.or.kr

연락처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책임연구원
윤영덕
02-3270-98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