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0월 대학정보공시
대학알리미는 대학의 주요정보를 개방(연 4회, 100개 항목)함으로써, 학생·학부모들에게 학교 선택을 위한 필요 정보를 제공하고 대학에게는 교육의 질 제고를 유도하는 교육부의 정부3.0 추진 정책이다.
공시 항목별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대학의 연구역량 강화 및 정부의 연구비 지원 확대 등에 따라 국외 학술지 게재 논문 건수 및 연구비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학협력선도대학 육성사업(LINC) 등을 통해 정부와 대학의 산학협력 활성화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특허출원 실적 및 현장중심 실무형 교육과정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의 지속적인 대학강의 내실화 유도 및 이에 부응한 대학의 노력으로 전임교원 강의 담당 비율 및 소규모 강좌 비율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의 주거 안정 및 교육비 부담 경감을 위한 기숙사 확충 사업으로 기숙사 수용률(18.1%)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부 및 비수도권대학(지방대학)의 자체 교육역량 강화 노력에 따라 지방대학의 연구 및 산학협력 실적 등이 향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공시항목의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전임교원의 연구 실적
전국 4년제 일반대학 174개교의 ‘13년도 전임교원 1인당 국외 학술지 평균 논문 실적은 0.355편으로 전년(0.342편) 대비 3.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공립대학의 경우 0.469편으로 전년(0.450편) 대비 4.2% 증가하였고, 사립대학은 0.318편으로 전년(0.308편) 대비 3.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대학의 경우 0.468편으로 전년(0.455편) 대비 2.9% 증가하였으며, 비수도권대학은 0.273편으로 전년(0.260편) 대비 5.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13년도 전임교원 1인당 국내 학술지 평균 논문 수는 0.551편으로 전년(0.566편) 대비 2.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② 연구비(수혜실적)
전국 4년제 일반대학 174개교의 ‘13년도 연구비 현황은 46,673억원으로 전년(45,895억원) 대비 1.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공립대학은 16,854억원으로 전년(15,854억원) 대비 6.3% 증가하였고, 사립대학은 29,819억원으로 전년(30,041억원) 대비 0.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대학은 26,647억원으로 전년(26,791억원) 대비 0.5% 감소하였고, 비수도권대학은 20,026억원으로 전년(19,103억원) 대비 4.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③ 특허출원 실적
전국 4년제 일반대학 174개교의 ‘13년 국내 특허출원은 총 13,162건, 해외 특허출원은 2,571건으로 전년(11,686건, 2,278건) 대비 각각 12.6%, 12.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공립대학은 국내 4,497건, 해외 864건으로 전년(3,932건, 712건) 대비 각각 14.4%, 21.3% 증가하였고, 사립대학은 국내 8,665건, 해외 1,707건으로 전년(7,754건, 1,566건) 대비 각각 11.7%, 9.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대학은 국내 6,774건, 해외 1,616건으로 전년(6,171건, 1,437건) 대비 각각 9.8%, 12.5% 증가하였고, 비수도권대학은 국내 6,388건, 해외 955건으로 전년(5,515건, 841건) 대비 각각 15.8%, 13.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④ 현장실습 운영현황
전국 4년제 일반대학 174개교의 ‘13년 현장실습 이수 학생은 54,228명으로 전년(42,477명) 대비 27.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참여기업체수는 32,390개로 전년(25,525개) 대비 26.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공립대학의 현장실습 이수 학생 및 참여기업체 수는 15,073명, 8,300개로 전년(11,305명, 6,381개) 대비 각각 33.3%, 30.1% 증가하였고, 사립대학의 현장실습 이수 학생 및 참여기업체 수는 39,155명, 24,090개로 전년(31,172명, 19,144개) 대비 각각 25.6%, 25.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대학의 현장실습 이수 학생 및 참여기업체 수는 15,923명, 10,393개로 전년(14,462명, 9,560개) 대비 각각 10.1%, 8.7% 증가하였으며, 비수도권대학의 현장실습 이수 학생 및 참여기업체 수는 38,305명, 21,997개로 전년(28,015명, 15,965개) 대비 각각 36.7%, 37.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⑤ 교원 강의 담당 비율
전국 4년제 일반대학 174개교의 ‘14학년도 2학기 전임교원 강의 담당 비율은 61.8%로 전년(58.6%)대비 3.2%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공립대학 전임교원 강의 담당 비율은 60.0%로 전년(57.5%)대비 2.5%p 증가하였고, 사립대학은 62.2%로 전년(58.8%)대비 3.4%p 증가하였다.
수도권대학 전임교원 강의 담당 비율은 56.7%로 전년(54.7%)대비 2.0%p 증가하였고, 비수도권대학은 64.8%로 전년(60.9%)대비 3.9%p 증가하였다.
전임교원 강의담당 비율이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은 정부가 재정지원사업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전임교원 확보를 유도하고, 대학도 이에따라 강의 내실화에 노력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⑥ 학생 규모별 강좌수
전국 4년제 일반대학 174개교의 ‘14년도 2학기 개설 총 강좌수는 285,491건으로 전년(283,818건) 대비 0.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규모별 강좌수로 살펴보면, 20명 이하 소규모 강좌 비율은 41.9%로 전년(41.1%) 대비 0.8%p 증가한 반면, 21∼50명 이하 중규모 강좌는 44.0%로 전년(44.1%) 대비 0.1%p 감소, 51명 이상 대규모 강좌는 14.1%로 전년(14.8%) 대비 0.7%p 감소하였다.
대학 강의 질 개선을 위한 대학의 강의 내실화 노력이 지속됨에 따라 20명 이하 소규모 강좌가 꾸준히 증가한 반면 중대규모 강좌는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⑦ 기숙사 수용 현황
전국 4년제 일반대학 174개교의 ‘14년도 기숙사 수용률은 18.1%로 전년(17.8%) 대비 0.3%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공립대학의 경우 21.4%으로 전년(21.1%) 대비 0.3%p 증가하였고, 사립대학은 17.2%으로 전년(16.9%) 대비 0.3%p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대학의 경우 14.1%로 전년(13.3%) 대비 0.8%p 증가하였으며, 비수도권대학은 20.8%로 전년(20.8%)과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웹사이트: http://www.moe.go.kr/
연락처
교육부
교육통계과
송명석 사무관
044-203-6320
-
2018년 12월 17일 1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