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보건관리대책 작업환경 변화에 맞춰 신뢰성·전문성 강화

과천--(뉴스와이어)--고용노동부는 지금까지 추진해온 반도체업체의 보건관리대책에 신뢰성과 전문성을 보강한 방안을 마련하여 지도에 나서기로 했다.

반도체산업의 경우, 작업 공정 및 공정에 사용하는 화학 물질의 변경 주기가 빠르다는 점을 감안하여 반도체산업의 환경 변화에 맞춰 사업장 보건관리시스템을 보완할 필요에 따른 것이다.

이번 방안은 기존 반도체 보건관리대책을 대폭 보강한 것이다.

우선, 회사별로 ‘보건관리추진단’ 구성·운영하게 하고, 정부는 ‘모니터링위원회’를 통해 회사별 보건관리 이행실태를 점검하며, 물질안전보건자료에 대한 신뢰성 평가 및 협력업체의 작업환경 실태에 대해서도 지도·점검하기로 했다.

노·사와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보건관리추진단’은 작업환경 및 근로자 건강관리 등 보건관리 활동의 계획(Plan)부터 이행(Do), 평가(Check), 보완(Act)하는 전 과정에 전문적인 지도·자문 역할을 하게 된다.

아울러, 고용부는 지방관서에서 점검해오던 사업장별 개선계획 이행 실적을 제출받아 이 내용을 대학·안전보건공단 등의 전문가그룹으로 구성된 ‘반도체 보건관리 모니터링위원회’에서 평가받게 함으로써 모니터링의 전문성도 대폭 보강하기로 했다.

모니터링위원회에서는 사업장별 보건관리추진단의 활동과 개선실적을 6개월 주기로 모니터링하여 보건관리 활동이 개선으로 이어지는지를 점검하고, 사업장별 보건관리 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다.

한편, 물질안전보건자료의 신뢰성 평가를 위해 사업장이 취급하는 화학제품을 수거·분석하여 화학물질의 유해·위험정보가 적정하게 기재되어 전달되는지를 검증할 계획이다.

또한, 설비·보수 작업을 하는 협력업체 근로자에게 유해 정보가 제대로 제공되고 있는지, 안전·보건교육 지원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집중 점검할 예정이다.

안경덕 산재예방보상정책국장은 “전문가들로 구성된 보건관리 추진단의 활동을 적극 지원하여 전문성과 신뢰도를 높이고 이를 바탕으로 보건관리시스템이 현장에 잘 정착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웹사이트: http://www.moel.go.kr

연락처

고용노동부
산업보건과
김정호 서기관
044-202-7741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