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이 뽑은 최고의 취업스펙은 ‘전공’
취업포털 잡코리아(www.jobkorea.co.kr)가 최근 2년 내에 신입직으로 취업에 성공한 남녀직장인 60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드러난 사실이다.
‘취업에 가장 도움이 됐다고 생각하는 요인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37.7%가 ‘전공학과’라고 답했다. 이어 면접(28.4%) 학점(18.8%), 출신학교(18.7%) 대외활동 경험(16.0%) 순으로 답변이 높았다.
특히, ‘전공학과’가 취업에 가장 도움이 됐다는 응답자는 이공계를 전공한 직장인 중 44.3%로 비(非) 이공계 전공자(34.1%)에 비해 10.2%포인트나 높았다.
이공계 전공 직장인들은 전공학과(44.3%) 다음으로 면접(24.1%)과 출신학교(18.4%) 순으로 가장 도움이 됐다고 답했고, 비 이공계 전공 직장인들은 전공학과(34.1%) 다음으로 면접(30.8%)과 학점(19.6%) 출신학교(18.8%) 자기소개서(16.3%) 순으로 도움이 됐다는 답변이 높았다.
직무관련 대외활동이나 동아리활동 등의 경험은 약 2명중 1명(49.1%)이 ‘있다’고 답했다.
이공계 전공자 중에는 58.0%가, 비 이공계 전공자 중에는 44.3%가 직무관련 대외활동이나 동아리 활동 등을 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이공계 전공자들이 주로 참여한 직무 경험 대상은 연구소 및 관련산업 인턴십 참여(46.3%), 전공 관련 동아리 활동(41.5%) 공모전/경진대회 참가(32.5%) 순으로 많았고,
비 이공계 전공자들이 주로 참여한 직무 경험 대상은 전공 관련 동아리 활동(43.1%) 연구소 및 관련산업 인턴십 참여(31.6%) 공모전/경진대회 참가(29.9%) 순으로 많았다.
현재 전공을 살려 일하고 있을까?
현재 전공을 살려 일하고 있는가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 5명중 3명(64.6%)이 전공을 살려 일하고 있다고 답했다. 특히 이공계 전공 직장인 중에는 85.4%가, 비 이공계 전공자 중에는 53.4%가 전공을 살려 일하고 있다고 답했다.
실제 업무를 하며 느낀 ‘실무에서 일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역량은 ’꼼꼼함과 세심함‘(22.1%), ’데이터 이해 및 분석력‘(21.3%) ’논리적인 사고력과 추리력‘(20.7%) ’적극성과 추진력‘(20.0%) 순으로 집계됐다.
특히, 이공계 전공 직장인들은 ‘데이터를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할 줄 아는 분석력’이 필요하다는 답변이 27.8%로 가장 높았고, 이어 ▲논리적인 사고력과 추리력 (25.9%) ▲창의력(23.1%) ▲탄탄한 전문지식(18.9%) 순으로 필요하다고 답했고,
비 이공계 전공 직장인들은 ‘꼼꼼함과 세심함’이 필요하다는 답변이 24.9%로 가장 높았고, 이어 ▲적극성과 추진력(23.4%) ▲정직함과 성실함(18.1%) ▲데이터 분석력(17.8%) ▲논리적인 사고력과 추리력(17.8%) 순으로 필요하다는 답변이 높았다.
<조사개요>
기간: 2014년 10월 22일 ~ 11월 4일
대상: 최근 2년이내 신입직으로 취업한 남녀 직장인 605명
방법: 웹+모바일 설문조사
내용: 취업 성공 요인
웹사이트: http://www.jobkorea.co.kr
연락처
잡코리아
좋은일 연구소
현영은 과장
02-3466-5203 (직)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