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출판 강이, 30여 년 발품 팔아 찾아낸 봉화 ‘옛 이동통신 봉수’ 출간
- 30여 년 동안 산으로 출근한 인문학의 보고 한 권의 책으로
- 국내 최초 우리나라 봉수 218개소 실태조사
- 2014년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우수출판콘텐츠 선정도서
광복 이후 지금까지 한 번도 정부차원에서 체계적으로 조사가 이뤄진 적이 없었던 우리나라 봉수가 한 권의 책으로 나온 것이다. 지난 30여 년 동안 최전방 DMZ의 도라산봉수에서 제주도 오소포연대까지 전국의 봉수대가 있는 곳이면 어김없이 발로 뛰며 찾아다닌 결과물이다.
삼국시대부터 조선말까지 국가안위를 책임졌던 우리나라 봉수는 현재 얼마나 남아 있을까? ‘옛 이동통신 봉수’에는 우리나라 봉수 218개소 중 멸실된 곳 7개소를 제외한 현존하는 211개소와 봉수의 시원지로 알려진 진해 망산도비문 1개소가 국내 최초로 공개된다. 이 중에서 유적상태가 절반정도 보존된 곳은 61개소, 담장만 남은 곳이 79개소, 복원된 곳은 71개소다.
이 책의 저자인 최진연(61) 데일리안 관방유적 전문 기자는 카메라에 담은 봉수대 사진 400컷과 역사자료, 주변 환경 등을 토대로 소상하게 정리한 내용을 인문학적 깊이와 형식으로 책에 담았다.
우리나라 봉수는 시기적으로 약간씩 차이가 있으나, 조선말에 편찬된‘증보문헌비고’에는 남북한 통틀어 676개소가 축조됐다고 한다. 하지만 문헌에 없는 것까지 합하면 얼마가 될지 알 수 없다.
봉수전문 학자들에 따르면 한반도에는 남북한 통틀어 1,150여 기가 있으며, 북한에 650여 기, 남한에는 500여 기가 파악되고 있는데, 이중에서 400여 기는 지금까지 흔적이 남아 있다고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봉수는 산 정상에 축조돼 있기 때문에 실제로 조사하기란 여간 힘들고 어려운 일이 아니다. 또한 오랜 세월이 흐르면서 자연 유실되거나 위치를 찾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저자는 “무거운 카메라장비를 둘러메고 접근이 어려운 산봉우리를 찾아다니는 것은 고행의 연속이었다며, 알려지지 않은 봉수대는 등산로가 없어 톱으로 잡목을 헤쳐 가며 길을 냈다.”고 말했다.
또한 “생태보호 구역이 늘면서 남해와 서해안의 봉수 주변에는 뱀들의 출몰이 많아 소름이 끼칠 정도였으며, 특히 고흥반도가 한눈에 조망되는 봉수대에는 독사가 바글거렸고, 여수지역 도서(島嶼)인 안도봉수에서는 짚단만한 구렁이와 마주쳐 혼비백산(魂飛魄散)했던 일도 생생하다.”고 했다.
그리고 “비 내리는 산등성이에서 방향을 잃었다가 애써 찾아냈지만 유적이 멸실돼 어이없던 때, 험준한 계곡으로 몸을 싫어 나르던 자동차가 추락하는 사고도 있었다.”고도 덧붙였다.
봉수는 새천년시대가 열리면서 수난을 당했다. 특히 전망 좋은 봉수대는 해맞이 장소로 관광 상품화가 됐고, 지자체 이벤트 행사로 몸살을 앓고 있다.
일부 지역의 봉수는 천편일률적으로 복원돼 봉수원래의 모습을 잃어버리거나, 타 지역 봉수축제에 영향을 받아 마구잡이로 파헤쳐지기도 했다. 유적전문가가 없는 업체가 공사를 하면서 멀쩡하게 남아 있던 봉수가 사라지는 안타까운 일도 있다.
반면에 경북 영덕군 오지의 대리마을은 옛부터 매년 사월초파일이면 주민들이 봉수에 올라가 천신에게 고사를 지내며 마을전체가 공동체의 일원임을 다지는 제사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 들어 역사향기를 맡으면서 산행을 즐기는 사람들이 부쩍 늘고 있다. 마음의 치유를 위해 자연속의 힐링, 트레킹 명소로 봉수대가 국민들에게 인기를 끌자 정부차원에서도 세계유산등재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최첨단의 무기가 범람하는 이 시대에 연기와 횃불을 보내던 고대통신인 봉수의 존재는 이제 무의미해졌지만 목숨 걸고 지켜준 옛 군인들의 예지(銳智)가 번뜩이던 거화선은 산등성이에 홀로남아 자신을 찾아줄 사람을 그리워하고 있다. 그곳에는 지금 산불감시초소가 세워져 세월의 무상함을 더해 준다.
저자는 “전국에 산재한 봉수를 연차적으로 조사해 원형이 잘 보존된 유적을 우선 선별해 숲길 따라 등산로를 개설하고 봉수주변의 잡목을 벌채한 후 관광자원으로 활용하면 국가브랜드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된다.”고 밝혔다.
그는 30여 년간 전국의 관방유적만 전문으로 찍어 국내서 독보적인 사진·동영상 자료를 확보하고 있다. 그동안 그가 펴낸 책으로는‘경기도산성 여행’‘우리 터. 우리 혼 남한산성’‘수원화성 긴 여정’‘옛 다리, 내마음속의 풍경’ 등 10여 권이 있다.
황혼 무렵 나그네의 시선은 남산에 멎게 된다. 어둠 속에 묻힌 산은 마법에서 풀린 듯 갑자기 꼭대기에서 별 네 개를 토해 낸다. 산봉우리에서 반짝이는 별 네 개를 볼 때면 자신도 모르게 어떤 전율을 느끼리라. 다른 세상에서 오는 빛이라고 생각될 만큼 타오르는 빛은 실은 별이 아니다. 봉화다. 모든 일이 잘돼 가고 있음을 알리는 신호용 횃불이다.
봉화는 꼭 위험을 경고하는 것만 아니다. 평상시 조선 전역의 만사가 평화롭다는 신호로도 사용된다. 각 지방에서 올라오는 전갈들을 서울에 알리기 위해 약 15분 정도 타오르다가 다시 어둠속으로 사라져 간다. 목멱산봉수는 전국 방방곡곡에 뻗쳐 있는 봉화들의 집결지로서 소위 횃불 전신술의 마지막 지점이다.
-퍼시벌 로웰(Percival Lowell)의 《조선, 고요한 아침의 나라》에서
우리 터 우리 혼
“옛 이동통신 봉수”
오늘도 팔도가 무사하다 봉화가 전해 주네
글·사진 : 최진연 / 펴낸곳 : 리드리드출판(주) / 발행일 : 2014년 11월 30일
판 형 : 153*223mm / 쪽 수 : 464쪽 책 / 값 : 33,000원 / 분 야 : 인문,역사
도서출판 강이│서울시 마포구 큰우물로 76│전화 02-719-1424│팩스 02-719-1404
(도서출판 강이는 리드리드출판(주)의 임프린트 출판 브랜드입니다.)
연락처
도서출판 강이
02-719-1424
홍보대행 동아이지에듀
사업기획본부
김잔디 사원
02-8233-4302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