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MA, ‘2015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의 구체사항 발표
- GSMA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기치 아래 주요 산업체, 기업, 브랜드 및 기술에 능통한 소비자들을 위해 아시아 행사의 브랜드 이미지를 새롭게 하고 있다.
-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Mobile World Congress Shanghai) 2015
GSMA의 존 호프만(John Hoffman) CEO는 “우리가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기치 아래 상하이에서 4년째 행사를 개최함에 따라 우리는 아시아 내 행사를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고 확대하며 브랜드 이미지를 새롭게 하고 있다”며 “아시아는 세계에서 가장 큰 모바일 시장으로서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는 참가 기업체들이 전세계 참관인들과 접촉할 뿐 아니라 국제적 브랜드들로 하여금 급성장하고 역동적인 아시아 시장에서 사업 기회를 잡을 수 있게 할 것이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를 주요 산업체, 기업, 브랜드 및 첨단 기술에 능통한 소비자들을 위한 주요 전시행사로 계속 발전시키게 되어 매우 기쁘다”고 덧붙였다.
상하이 행사, 혁신에 주안점 두어
화웨이(Huawei)는 ‘2015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의 플래티넘 이벤트 스폰서(Platinum Event Sponsor)인 동시에 전시회 출품 업체이다. 전시회에서는 네트워크 인프라, 모바일 핸드셋 및 기기,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한 모바일 산업의 미래를 보여주는 광범위한 주요 기술, 제품 및 서비스가 전시될 예정이다. 이밖에 제품 및 기술을 전시할 것으로 확인된 기업은 알카텔-루슨트, 차이나 모바일, 젬알토, LeTV, 모질라, SK 텔레콤, 쑤저우 스네일(Suzhou Snail), 비자, ZTE 등이며, 베를린, 홍콩, 이스라엘, 한국, 대만 등은 지역전시관을 설치할 예정이다.
또 전시장에는 참관인들이 미래의 정보통신망에 연결된 생활을 체험할 수 있게 하는 ‘정보통신망에 연결된 도시 체험 센터’(Connected City Experience Centre)도 설치될 예정이다. 참관인들은 세계 주요 회사에서 선정된 정보통신망에 연결된 서비스, 제품 및 솔루션을 통해 차세대 스마트 홈, 스마트 도시, 학교 교실, 차고, 소매점 등을 체험하게 될 것이다. 또한 ‘쇼케이스 스테이지’(Showcase Stage)가 상하이에 다시 와서 음악, 패션, 게임, 보건 및 건강 증진법 등을 포함한 여러 가지 모바일 콘텐트를 선보이는 인기 높은 행사를 개최할 예정이다.
뿐만 아니라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 전시회 참관인들은 ‘액세서리 구역’, ‘디바이스 구역’ ‘게임 구역’, ‘앱 랩’(App Lab) 및 ‘혁신 랩’(Innovation Lab), ‘스타트업 앨리’(Start-up Alley) 등도 돌아볼 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 또 ‘시어터 디스트릭트’(Theatre District)는 광범위한 주제를 논의할 세션을 제공하는 다수의 파트너 행사를 주최할 예정이다.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 전시회에 관한 더 상세한 정보는www.mwcshanghai.com/see-do/exhibition/에서 볼 수 있다.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 대형 회의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 대형 회의 프로그램은 끊임 없이 변화하는 모바일 산업에 영향을 미치는 현재 및 미래 추세에 대한 심도 있는 통찰력을 제공하는 예지력 있는 기조연설과 별도로 마련된 토론 세션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회의에는 모바일 산업계와 관련 산업부문의 최고 경영진 및 전문인들이 참가할 예정이다. 회의 프로그램은 디지털 상거래, 기업 모바일화, 혁신 기업 및 신생기업, LTE, 5G, M2M, 사물인터넷(IoT), 모바일 신분 확인 및 개인화, 네트워크 가상화 및 새로운 모바일 인터넷 관련 사업 모델 등 광범위한 주제를 포함할 것이다.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 회의에서 발표할 논문은 2015년 3월 27일까지 접수할 예정이다. 논문 공모를 포함한 회의 프로그램에 관한 더 상세한 정보는www.mwcshanghai.com/learn/conference/에서 볼 수 있다.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 소규모 회의 및 행사
또한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에서는 다수의 다른 소규모 회의와 파트너 행사 및 세미나 등이 열릴 예정이다. GTI아시아 회의(GTI Asia Conference)가 4차년도에 다시 상하이에서 열리게 되고, 차이나 유니콤도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에서 국제 파트너 회의(International Partners Meeting)를 열 예정이다. ‘인터내셔널 MVNO서밋’(International MVNO Summit)은 MVNODynamics.com과 공동으로 회의를 열고 전세계 MVNO 들의 사업 기회를 모색하고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새로 열리는 ‘스마트 홈 서밋’(Smart Home Summit)에서는 소비자들의 요구사항과 최신 솔루션 및 서비스 그리고 스마트 홈의 미래 발전에 초점을 맞춰 모바일의 확산이 소비자들의 가정 경험을 어떻게 변화시키는 지를 검토할 것이다.
이밖에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 프로그램에는 ‘디지털 상거래 서밋’(Digital Commerce Summit), ‘기업IoT(사물인터넷) 서밋’(Enterprise IoT Summit), ‘글로벌 디바이스 서밋’(Global Device Summit), ‘이노베이션 워크숍’(Innovation Workshop), ‘모바일 인터넷 서밋’(Mobile Internet Summit) 및 ‘스마트 도시 서밋’(Smart Cities Summit)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들 행사에 관한 더 상세한 정보는www.mwcshanghai.com/learn/에서 볼 수 있다.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의 파트너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의 1차 미디어 및 업계 단체 파트너들은 미국상공회의소 상하이 지부, 블룸버그, C114차이나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중국이동통신협회(CMCA),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Mobile Communications), 모바일 몬데이 상하이(MobileMonday Shanghai), 상하이 TD-LTE인더스트리-쿰-테크놀러지컬 이노베이션 앤 스트래티지 얼라이언스(Shanghai TD-LTE Industry-cum-Technological Innovation and Strategy Alliance, SCIA), 테크놀러지 채널 오브 텐센트 온라인 미디어 그룹(Technology Channel of Tencent Online Media Group) 및 예스키(Yesky) 등이다.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 등록 접수 개시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 참가 등록 접수가 개시됐다.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의 대형 회의와 전시회에 참가하고 기타 각종 소규모 회의와 행사에 우선 예약할 수 있게 하는 ‘골드’ 및 ‘실버’ 패스를 구입하고자 하는 참관인들은 지금 등록할 수 있으며 각 전시회 별 참관 패스는 2015년 초부터 판매할 예정이다. 등록 및 패스에 관한 정보는 www.mwcshanghai.com/attend/register/에서 볼 수 있다.
2015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 참여
‘2015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의 참관, 전시 또는 후원 방법을 포함하여 이 행사에 관한 더 상세한 정보는 www.mwcshanghai.com에서 볼 수 있다.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의 진전사항과 업데이트는 소셜 미디어 채널 - 트위터에서는 #MWCS15를 사용하고, @GSMA에서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를 검색하거나 우리의 ‘링크드인 쇼케이스 페이지’(LinkedIn Showcase Page)를 통해 정기적인 업데이트를 할 수 있다. 중국에서는 시나웨이보(http://weibo.com/mwcshanghai)나 WeChat의 GSMA계정을 통해 정기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
GSMA 소개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는 세계 모바일 사업자의 이익을 대표한다. GSMA는 광의의 모바일 생태계에 속한 250여개 업체를 포함해 800개에 육박하는 모바일 사업자를 하나로 묶고 있다. 단말기 및 기기 제조사, 소프트웨어 기업, 장비 공급사, 인터넷 기업은 물론 인접 산업 분야 기관들이 GSMA와 함께 하고 있다. GSMA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obile World Congress),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 모바일 360 시리즈 컨퍼런스 등 업계 선도적인 행사를 주최하고 있다.
상세 정보는 GSMA 웹사이트(www.gsma.com)와 트위터: @GSMA에서 볼 수 있다.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에 대한 산업계의 지지
상하이 시 경제 및 정보화위원회(Shanghai Municipal Commission of Economy and Informatization) 리우 지안(Liu Jian) 부위원장
“모바일 기술은 스마트 도시를 구축할 수 있게 하여 교통, 교육, 유통, 에너지, 공익 사업 시설 및 사람들의 일상 생활의 여러 다른 측면을 혁신하고 향상시키고 있다. 중국의 3대 주요 이동통신 사업자들과 많은 이동통신 업체들은 지속적으로 새로운 서비스를 도입함으로써 중국의 모바일 기술을 세계로 확산시켜 세계 최대 모바일 시장에서 새로운 글로벌 추세를 이끌고 있다. 우리는 중국에서 개최되는 이 같은 세계적 수준의 행사에 참가하여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산업 발전을 도모하고 사람들의 생활을 향상시키기 위해 정보를 공유하고 경험을 교류하며 신기술의 개발을 촉진하게 되어 영광이다.”
상하이 시 관광청(Shanghai Municipal Tourism Administration) 쳉 메이홍(Cheng Meihong) 부청장
“우리는 ‘2015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의 개최 도시로서 상하이 시당국과 2,400만 시민을 대표하여 이 세계적 수준의 행사를 진심으로 환영한다. 우리는 GSMA 및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 주최측과 협력하여 중국의 현대화 모습과 상하이의 관광 명소를 소개함으로써 중국 모바일 기술의 발전을 촉진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다. 우리는 전세계의 모바일 전문가, 전문직 종사자, 미디어 및 기술 열성자들을 상하이에서 만나게 되기를 기대한다.”
알카텔-루슨트(Alcatel-Lucent)의 줄리아 후(Julia Hu) 기업 및 마케팅 홍보 담당 수석 부사장
“모바일 산업은 지난 몇 년 동안에 네트워크 기술을 새로 개발하고 풍부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뿐 아니라 지능적 디바이스에 대한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엄청난 변화를 이룩했다. 통신 사업자와 콘텐트 제공업체, 디바이스 제조업체 등 모두가 이러한 새로운 시장 기회의 활용을 꾀하고 있지만 어려운 기술적 난관에 부닥치고 있다. 우리는 GSMA가 전세계 관련 업계의 대표자들을 모아서 이러한 기회와 문제점을 협의하고 협력하도록 하여 모바일 기술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에 대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
차이나 모바일의 리 유에(Li Yue) 최고경영자(CEO)
“우리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와 ‘모바일 아시아 엑스포’의 오랜 파트너로서 모바일 인터넷이 새 차원의 산업 혁신을 촉진하는 새로운 모바일 통신 시대에 진입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 우리는 ‘2015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 개최 시 업계 파트너들과 협력하여 4G 네트워크를 도입하고 4G 서비스의 상호 호환성과 국제 로밍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와 동시에 우리는 국제 로밍 요율을 낮추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여 융합 통신의 신속한 발전을 위한 기반이 되는 새로운 시대의 통신을 구현하고, 글로벌 모바일 통신의 발전을 위한 새로운 길을 여는데 주력하고 있다.”
차이나 텔레콤의 양 지에(Yang Jie) 사장 겸 최고운영책임자(COO)
“우리는 중국에서 열리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를 고대하고 있다. 우리는 이 글로벌 행사를 통해 모바일 인터넷 시대의 모범 사례를 공유하고, 업계 파트너들과 함께 고객들에게 최고의 서비스와 경험을 전달하기 위한 기술과 애플리케이션을 협의하여 멋진 모바일 인터넷 세계를 구축할 것이다.”
차이나 유니콤(China Unicom, 리엔통)의 루 이민(Lu Yimin) 사장
“최근 이동 통신이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의 업무와 생활 방식뿐 아니라 여가시간을 즐기는 방식도 완전히 바뀌었다. GSMA가 중국 및 세계 각국에서 잇따라 성공적으로 개최한 행사는 모바일 산업의 이러한 혁신적 발전 추세를 잘 보여 주고 있다. 아시아, 특히 중국은 전세계 모바일 통신의 발전을 주도하고 있으며, 우리는 이 같은 세계적 수준의 행사를 수용하기 위해 GSMA과 협력할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우리는 모바일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주요 사업가, 산업 전문인, 미디어, 기술 열성자 등과 핵심 사업 전략을 공유함은 물론 혁신적인 기술과 서비스를 더욱 많이 소개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에릭슨의 창 강(Chang Gang) 동북아시아 지역 마케팅 책임자
“에릭슨은 연결을 통해 혜택을 볼 수 있는 것은 모두 연결시키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회’(Networked Society) 구축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 우리는 전세계 통신 사업자 및 산업체들과의 협력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혁신을 이뤄 통신기술과 모바일 서비스를 통해 개인과 기업체 및 사회가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룩하도록 고취하고 있다. 에릭슨은 GSMA가 세계 최고 수준의 새로운 행사에서 추구하는 목표를 공유한다. 우리 다 함께 힘을 모아 ‘네트워크로 연결된 사회’의 변화를 가져오는 힘을 중국과 전세계를 위해 발휘합시다.”
화웨이 테크놀러지스의 리얀 딩(Ryan Ding) 제품 및 솔루션 담당 사장 겸 이사회 이사
“지난 3년 동안 개최된 ‘모바일 아시아 엑스포’는 아시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행사로서 업계 내의 대화를 촉진하고 모바일 기술 업계 전체의 발전을 증진했다. 우리는 3년 동안 전세계 고객 및 파트너들과 함께 모바일 및 정보통신기술(ICT)의 고도 발전을 확인하고 주도했다. GSMA는 규모와 영향력, 그리고 가치가 더 큰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를 통해 더욱 영향력 있는 행사를 개최할 것으로 믿는다. 우리는 전세계에서 상하이로 오는 기존 파트너들과 새로 참여하는 파트너들을 통해 우리의 혁신과 기술력을 세계에 과시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ZTE 코퍼레이션의 시 리롱(Shi Lirong) 사장
“모바일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스마트 도시가 형성됨에 따라 전세계 통신 산업이 유례없이 좋은 기회를 맞고 있다. 이동통신 기술은 지난 몇 십년 동안에 의사 소통의 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꿔 놓았을 뿐 아니라 전세계를 더욱 광범위하게 변화시켰다. ICT의 경계가 빠른 속도로 허물어져서 모바일 ICT시대에 진입했다. GSMA와 그 회원사들은 전세계 통신 산업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ZTE는 GSMA의 회원으로서 모바일 ICT 시대를 맞아 브랜드 이미지를 새롭게 한 GSMA의 상하이 행사에서 파트너들과 함께 경험과 혁신기술을 공유함으로써 보다 살기 좋은 세계를 만들게 되기를 바란다.”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웹사이트: http://www.gsma.com
연락처
GSMA 대행
자오 칭(Zhao Qing) (베이징)
+8610 8569 9916
qzhao@webershandwick.com
윌 장(Will Zhang) (베이징)
+8610 8569 9855
wzhang@webershandwick.com
아바 라우(Ava Lau) (홍콩)
+852 2533 9928
alau@webershandwick.com
GSMA 홍보실
pressoffice@gsm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