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화물피해 대책위원회, “화물피해도 ‘세월호 배상’에 반드시 포함해야”
- 정부와 여당, 대통령 담화를 지키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 화물피해자는 가장으로 가정이 파탄나고 방황자 늘고 있어
- 인명피해와 화물피해를 구분하면서 보상 범위를 축소해선 안돼
다음은 세대위가 발표한 성명서 원문이다.
<성 명 서>
전국민과 유가족, 현장 생존자, 화물피해자 등 직접 피해자에게 큰 충격과 상실감을 안겨준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지 8개월이 넘어 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피해자들의 정신적 피해와 가장의 역할을 포기한 생활의 어려움에 대한 국회와 정부의 무관심은 그 고통을 더욱 가중시키고 절망에 빠뜨리고 있습니다.
세월호 관련 화물피해자에 대한 피해구제는 인명피해가 너무 커 처음부터 누구 하나 관심이 없었고, 사망, 실종, 부상자, 피해자에 대한 국민들의 정서 때문에 저희 화물 피해자들은 화물피해 보상에 대하여는 입도 뻥긋하지 못한 채 끙끙거리며 심한 가슴앓이를 해 왔습니다.
그런데도 이제 와서 국회는 인명피해와 화물피해를 구분한다며 보상 범위를 축소하고 있습니다. 저희 화물피해자들은 실낱 같은 기대에 하루하루 근근이 견디며 살아온 삶이 절망의 늪에 빠지고 산 사람이 굶어 죽을 지경인 상황에 직면해 있습니다.
저희 화물피해자들은 다음의 2가지를 강력하게 요구합니다.
1. 정부와 국회는 세월호 화물피해자들에 대한 피해배상을 회피하지 말고 세월호 유가족 피해와 크게 다를 것이 없다는 차원에서 배상을 해 줄 것과,
2. 화물피해자들은 모두 한 가정의 가장으로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데 지금 상당한 생활고를 겪고 있습니다. 재기와 회복을 위하여 긴급생활지원 자금을 지급해 줄 것과 6개월 후 적용되는 이율(연 5.6%)을 낮춰 줄 것을 간곡히 부탁 드립니다.
정부당국은 어느 부처도 지금까지 세월호 사고로 화물피해를 당한 화주들에 대하여 화물피해 보상과 관련한 답변을 명확하게 한 사실이 없고, 전화를 할 때마다 이곳 저곳으로 전가하여, 어느 곳에 하소연조차 할 수 없는 지경입니다.
세월호 사고 화물피해자들은 대부분 생계형 운수업을 하는 화물차, 제주도로 이사를 가는 이삿짐(상당수), 제주도 건설현장에 쓰일 자재, 건설중장비 등 피해를 본 안타까운 피해자들이고 가정의 생계를 책임진 사람들입니다.
정부와 국회에서조차 버림받은 상황이라면 차라리 현장에서 죽는 것이 더 나았다고 자탄하고 통곡하고 있습니다. `세월호 사고 화물피해자들이 빠른 시일 내에 정부로부터 피해 배상(보상)을 받고 생업에 복귀할 수 있도록` 세월호 사고 피해 배상(보상) 특별법안에 필히 반영하여 줄 것을 강력하게 요청 드립니다. -세월호 화물피해 보상대책위원회 위원장 이원일 외 피해자 일동 드림.
금융소비자원(www.fica.kr, 대표 조남희, 이하 ‘금소원’)은 ‘세월호’ 여객선 침몰사고와 관련하여 세월호 사고의 피해 보상상담을 실시하고, 화물피해 신고를 접수 한데 이어 화물피해자를 중심으로 ‘세월호 사고 화물피해 보상대책위원회’(공동위원장 이원일, 약칭 ‘세대위’)의 발족을 지원하였고, 화물피해자들이 신속한 피해 구제를 받을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fica.kr
연락처
금융소비자원
총괄지원본부
간사 임예리
02-786-2238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