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산업현장 사망사고 대폭 감소

과천--(뉴스와이어)--지난해 산업현장에서 작업하다 법령을 위반한 사고로 사망한 근로자수는 756명으로 ‘13년에 비해 150명(16.6%) 감소하였다.

업종별로는 최근 5년간 계속 증가추세를 보이던 건설업에서 사망자가 114명(22.5%) 감소하여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다만, 서비스업, 임업 등 기타업종에서는 사망재해가 21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별로는 추락 등 일반적인 사망재해는 127명(15.5%), 질식 등에 의한 사망재해는 27명(58.7%) 감소하였으나 화재·폭발·누출 등 화학사고에 의한 사망재해는 전년과 동일(40명) 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근로자가 동시에 2명 이상 사망한 사고는 14건 발생하여 30명이 사망하였으며, 전년 대비 63명(67.7%) 감소하였다.

고용노동부는 작년에 사망재해가 크게 감소한 것은 고위험 사업장에 대한 안전관리 강화, 원청의 하청근로자 안전관리책임 확대, 중대재해 발생 사업장에 대한 작업중지 등 강력한 제재 등의 정책효과 때문이라고 풀이했다.
* ’13년 대비 제재 강화 : 작업중지 61건(43.9%↑), 안전보건진단 54건(54.0%↑), 개선계획수립 25건(193%↑), 사용중지 29건(96.7%↑), 시정명령 146건(57.3%↑), 과태료 부과 858백만원(15.3%↑) 증가

특히, 그동안 계속 증가하던 건설현장 사망재해가 작년에 감소로 전환된 것은 건설업 본사 중심의 재해예방활동과 자치단체 등 공공 발주기관의 적극적인 재해예방 노력의 결과로 분석되었다.

한국전력공사, 서울시 등 많은 공공발주기관이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특화된 사업을 적극 전개하였다.
* (서울시) 입찰참가제한 확대, 안전관리계획 승인절차 및 시공단계별 안전성 검토 강화 (한국전력) 위험작업 상시 확인시스템 구축, 고소작업용 안전장치 개발 등

안경덕 산재예방보상정책국장은 “지난해에 사망사고가 감소했으나 여전히 선진국에 비해 2~3배 높은 편이고, 최근 2명이상 사망하는 질식재해가 잇따라 발생하여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하며, “금년도에는 화학사고 등 중대재해의 선제적 예방을 위해 고위험 사업장 안전관리를 더욱 강화하는 한편, 추락·끼임·질식 등 사고다발 패턴 Top3를 집중관리 하는 방식의 ‘기획감독’을 적극 실시하여 이러한 감소세를 가속화시켜 나갈 방침이다”고 밝혔다.

웹사이트: http://www.moel.go.kr

연락처

고용노동부
산업안전과
김선철 사무관
044-202-7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