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M2M 연맹, 사물인터넷(IoT) 가속화를 위한 GSMA 내장형 SIM 규격 지지
- 서비스 구축을 위한 글로벌 M2M협회(GMA)와 M2M 세계연맹 회원, 현재 GSMA 규격에 따라 사업운영자가 제공하는 전체 글로벌 M2M 접속의 65% 차지
- 2015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obile World Congress 2015):GSMA
알렉스 싱클레어(Alex Sinclair) GSMA 최고기술책임자(CTO)는 “현재 GSMA 내장형 SIM 규격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를 출시하거나 채택한 선도 네트워크 사업자들의 수는 전세계 20여 개가 넘는다. 선도 M2M 연맹 회원들의 지지는 이 산업이 향후 시장을 큰 규모로 이끌 중요한 요소가 되는 공통적이며 세계적인 표준을 바탕으로 확고하게 결속되고 있음을 시사해준다”고 밝혔다.
9개 M2M 세계연맹 회원사들인 에티살랏(Etisalat), 케이피엔(KPN), 일본 NTT 도코모(NTT DOCOMO), 로저스(Rogers), 싱텔(Singtel), 텔레포니카(Telefónica), 텔스트라(Telstra), 빔펠컴(VimpelCom), 텔레노어 커넥션(Telenor Connexion) 등은 GSMA 규격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글로벌 사물통신협회(GMA)는 도이치텔레콤(Deutsche Telekom), 오렌지(Orange), 텔레콤 이탈리아(Telecom Italia), 텔리아소네라(TeliaSonera), Bell Canada, SoftBank 등의 6개 유력 통신사업자들이 소속되어 있는 협력조직으로,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에서 내장형 SIM 카드를 이용한 다국적 서비스의 생생한 시연을 공개할 계획이다.
글로벌 M2M협회(Global M2M Association, GMA)
GMA 창립 회원사 중 하나인 텔리아소네라의 한스 달버그(Hans Dahlberg) 글로벌 M2M 서비스 책임자는 “인터넷(IoT)의 잠재적 성장가능성은 모바일 네크워크에 점점 많은 압박을 가하는 M2M 연결 장치의 수가 크게 증가하게 될 것이다”며 “모바일 생태계에서 살아가는 사업자들은 시장 규모가 증가할 수 있도록 공통적인 기반 위에 서비스를 구축하여 사물인터넷(IoT) 서비스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우리는 GSMA 내장형 SIM 규격을 따르는 GMA 서비스 실시를 정했다”고 밝혔다.
M2M 세계연맹(M2M World Alliance)
랜디 브라이슨(Randy Bryson) M2M 세계연맹 회장(chairman)은 “우리는 GSMA 내장형 SIM 규격과 결합된 고유하고 완벽한 단일 글로벌 SIM 솔루션이 전세계 M2M 통신의 채택을 신속하게 추진시킬 것으로 믿고 있다”며 “GSMA 내장형 SIM 규격을 우리 연맹 솔루션에 통합함으로써, 연맹 회원사들은 고객들의 다양한 M2M 및 사물인터넷(IoT) 연결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지역에 따라 강력하고 유연하며, 비용 효과적인 지원을 제공할 것이다”고 말했다.
업무절차 백서 발간
GSMA는 그 동안 eUICC 기반의 M2M 서비스 제공 시 OEM 생산자와 이동통신 사업자를 돕기 위해 “사물통신(M2M) 무선 SIM 권한설정(provisioning)을 위한 업무 절차”에 대한 백서를 발간해왔다. 업무절차 백서는 프로파일 교환(swaps) 단계적 가이드를 제공하고 전형적 업무 절차뿐만 아니라 잠재적 구축 모델의 경우 상세 가이드를 제공한다.
GSMA 이노베이션 시티 내 솔루션 공개시연
GSMA는 프로파일이 방송으로 교환되는 GSMA 이노베이션 시티에서 내장형 SIM 규격을 2차례에 걸쳐 공개적으로 시연한다. 이 공개 시연 행사는 독일 스마트 카드 제조사인 G&D(Giesecke & Devrient), 시에라 와이어리스(Sierra Wireless), TST의 협력 하에 글로벌 M2M협회(GMA)와 M2M세계연맹의 주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GSMA 내장형 SIM 규격이 구축될 수 있는 두 가지 실제 시나리오를 강조한다.
GSMA 이노베이션 시티는 바르셀로나 피라 그란비아 3번 전시장(Hall 3) 내 3A11과 3A31 전시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해당 시연은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전시기간인 2015년 3월 2일(월)~5일(목)까지 4일간 열리게 된다.
GSMA 내장형 SIM 규격은 모바일 네트워크 사업자들에게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 또는 스마트 미터(smart meters)에서와 같이 종종 밀폐된 M2M 접속 장치를 위한 확장가능하고, 신뢰성 있는 안전한 접속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규격은 또한 사업자 무선자동등록 관리를 용이하게 하여 최종 사용자에게 유연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GSMA 내장형 SIM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다음 웹페이지(http://www.gsma.com/connectedliving/connected-living-mobilising-the-internet-of-things/)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사물통신(M2M) 시 무선 SIM 등록을 위한 절차 백서” 사본은 다음 웹페이지 (http://www.gsma.com/connectedliving/business-processes-for-remote-provisioning-in-m2m/)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 GSMAi(GSMA Intelligence)에 따르면, 2014년 4분기 현재 전세계 무선 전화 M2M 접속의 65%에 대한 GSMA 내장형 SIM 규격 계정 출시에 할당된 전체 사업자 접속량은 1억5천7백70만 건에 이른다. GSMAi는 2015년도 4분기 말 접속량은 약 3억 천 6백80만 건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AT&T, 에티살랏(Etisalat), 엔티티 도코모(NTT DOCOMO), 텔레포니아(Telefónica), Vodafone 등은 이미 GSMA 내장형 SIM 규격 기반의 서비스를 출시했다.
GSMA 소개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는 세계 모바일 사업자의 이익을 대표한다. GSMA는 광의의 모바일 생태계에 속한 250여개 업체를 포함해 800개에 육박하는 모바일 사업자를 하나로 묶고 있다. 단말기 및 기기 제조사, 소프트웨어 기업, 장비 공급사, 인터넷 기업은 물론 인접 산업 분야 기관들이 GSMA와 함께 하고 있다. GSMA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obile World Congress),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 모바일 360 시리즈 컨퍼런스 등 업계 선도적인 행사를 주최하고 있다.
상세 정보는 GSMA 웹사이트(www.gsma.com)와 트위터: @GSMA에서 볼 수 있다.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웹사이트: http://www.gsma.com
연락처
GSMA 홍보대행
찰리 메레디스-하디(Charlie Meredith-Hardy)
+44 7917 298428
CMeredith-Hardy@webershandwick.com
GSMA 홍보실
pressoffice@gsm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