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MA, 휴대폰 보유 및 사용의 성 격차(Gender Gap) 조사 발표

- 중-저소득국 내 17억 명 이상의 여성이 휴대폰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며, 이로 인한 성 격차에 해당하는 여성이 2억 명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 있다.

뉴스 제공
GSMA
2015-03-06 15:00
스페인 바르셀로나--(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스페인 바르셀로나--(비즈니스 와이어)—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가 오늘 ‘성 격차 연결: 중-저소득국 내 모바일 접속 및 사용(Bridging the Gender Gap: Mobile Access and Usage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휴대폰 채택 및 이용 장벽뿐만 아니라 여성의 휴대폰 소유 현황 조사 및 여성의 모바일 기술 활용을 가속화하기 위한 모바일 생태계 내 이해관계자들을 위한 실질적 기회 발견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2010년 간행된 보고서 ‘여성과 모바일:글로벌 기회(Women and Mobile: A global Opportunity)’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이 보고서는 먼저 중-저소득국가 남성과 여성 간 휴대폰 소유의 불균형을 강조했다.

앤 부베로(Anne Bouverot) GSMA 회장(Director General)은 “휴대폰의 편재와 구입능력은 우리에게 사회 및 경제발전을 증진하고 강화할 수 있는 전례 없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연구 결과가 보여주듯이, 특히 여성들이 휴대폰 소유자 및 모바일 서비스 소비자로서 뒤쳐지는 경향이 있다. GSMA는 휴대폰 소유 및 사용의 성 격차(gender gap) 문제를 다룸으로써 여성의 실질적 이익, 모바일 산업과 경제 전반 등에 대한 연구를 지속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 광범위한 연구는 벤치마킹 연구를 착수한 5년 간 휴대폰 사용이 크게 증가했고, 휴대폰 보급률 역시 개도국을 중심으로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하지만, 이 연구는 이러한 휴대폰 산업 발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여성들이 시대에 뒤쳐져 있고, 이들이 점점 더 하나로 연결되고 인터넷 세계에 속해 있는 지에 대한 문제가 남아있다고 보고 있다.

주요 연구 결과

이 연구는 17억 명 이상의 중-저소득국가 여성들이 휴대폰을 소유하고 있지 않으며, 평균적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14% 정도 휴대폰을 소유할 가능성이 더 낮아 휴대폰 소유에 대한 남녀 간 성 격차가 2억 명에 이르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남아시아 국가 여성들의 38%가 남성에 비해 휴대폰을 소유할 가능성이 더 낮다고 알려주고 있으며, 이는 휴대폰 소유에 대한 성 격차가 세계의 일부 지역에서 더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흥미로운 것은 휴대폰을 소유한 여성들의 경우, 이들이 남성에 비해 휴대폰 사용 빈도가 낮음에도 불구하고 휴대폰 사용 특히, 모바일 인터넷과 같은 더 복잡한 서비스 이용에 있어 여성들 간에도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조사가 이루어진 대부분의 나라의 경우, 남성들에 비해 휴대폰을 소유한 여성들이 훨씬 적음에도 음성 서비스 이외에 문자와 데이터 서비스에서는 더 많이 이용하고 있다고 나타났다.

고객 관점에서 여성의 휴대폰 소유와 이용을 가로막는 5대 장벽은 비용, 네트워크 품질 및 접속범위, 보안 및 괴롭힘, 이동통신사와 대리점에 대한 신뢰 및 기술적 사용능력과 자신감 등이다. 교육 및 수입 측면에서 남성과 여성 간 사회적 인식과 차이가 여성들의 모바일 서비스 접근과 사용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뿐만 아니라 이는 남성에 비해 더 예민한 여성들에게 휴대폰 소유와 사용 장벽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여성을 위한 휴대폰의 유용성

이 보고서는 휴대폰이 중-저소득 국가 여성들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해 중요한 도구가 된다고 밝히고 있다. 휴대폰 소유자 및 비소유자를 포함하여 인터뷰를 진행한11개국의 많은 여성들은 다음과 같이 응답했다.

· 응답자의 최소 89%가 휴대폰이 친구 및 가족과 연락을 지속하는데 도움을 주거나 줄 것이라고 답했다.

· 응답자의 약 75%가 휴대폰이 시간을 절약하거나 절약할 수 있다고 답했다.

· 응답자의 약 68%가 휴대폰을 소유하고 있으면 더 안전함을 느끼거나 느낄 것이라고 답했다.

· 응답자의 최소 58%가 자유와 독립성을 느낄 것이며 또는 느꼈다고 답했다.

· 11개 국 중 10개국 여성의 최소 60%가 휴대폰 소유가 금전을 절약하거나 절약할 것이라고 답했고, 각 국 여성의 최소 60%가 휴대폰이 생활을 보다 편리하게 만들거나 또는 저비용으로 생활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거나 줄 것이라고 주장했다.

사회 및 경제적 유용성

이 보고서는 중-저소득국 남녀간 휴대폰 소유와 사용의 동등성을 획득하는 것이 2억 명 이상의 여성들에게 신규 교육 및 고용 기회의 효용과 같은 사회/경제적 혜택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2020년까지 모바일 산업의 약 천7백억 달러의 시장 가능성을 실현시키고 사회에 경제적으로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앤 부베로 사장은 “이를 종합해보면, GSMA의 연구는 휴대폰 소유 및 사용의 성 격차가 여성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복잡한 사회·경제적 및 문화적 장벽으로 더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모바일 산업, 정책 입안자 및 기타 이해관계자들의 개입 없이는 휴대폰 소유 및 사용의 성 격차가 자연적으로 좁혀지기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1] 2010년 GSMA, 체리 블레어 재단(Cherie Blair Foundation), 바이탈 웨이브 컨설팅(Vital Wave Consulting) 공동 발간 보고서 ‘여성과 모바일:글로벌 기회(Women and Mobile: A Global Opportunity)’
참조 : http://www.gsma.com/mobilefordevelopment/wp-content/uploads/2013/01/GSMA_Women_and_Mobile-A_Global_Opportunity.pdf

[2] GSMA 인텔리전스 발간 보고서 ‘2014 모바일 경제(The Mobile Economy 2014)’
참조 : http://www.gsmamobileeconomy.com/GSMA_ME_Report_2014_R2_WEB.pdf

보고서 결과는 알타이 컨설팅(Altai Consulting)이 실시한 1차 및 2차 연구를 근거로 하였다. 1차 현지조사 연구는 중국, 콜롬비아, 콩고민주공화국(DRC), 이집트, 인도, 인도네시아, 요르단, 케냐, 멕시코, 니제르 및 터키 등 11개국에서 진행되었으며, 휴대폰 소유자 및 미소유자11,000명의 여성과 남성이 인터뷰에 참여했다. 약 80 여 개의 포커스 그룹(조사 또는 연구를 위해 각 계층을 대표하는 연구팀)과 120명 이상의 전문가가 현지조사에 참여했다. 2차 연구 자료와 결합된 연구 결과들은 중-저소득 국가 내 휴대폰 소유의 성 격차를 측정하고 여성들의 모바일 기술 및 혜택 이용을 보장하기 위해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 동향 및 권고사항 파악에 사용되었다.

보고서 전문은 다음 웹페이지(www.gsma.com/gender-gap-2015) 참조.

GSMA 커넥티드 위민 프로그램

GSMA 커넥티드 위민 프로그램(GSMA connected women programme)은 여성들의 휴대폰 접촉 및 사용을 활성화 하기 위해 지난 2010년 10월 미국무장관 힐러리 클린턴(Secretary of State Hillary Rodham Clinton)이 착수한 m위민 프로그램(mWomen Programme)과 정보통신기술(ICT)에 대한 성 격차 감소, 여성 재능 유치 및 보유, 세계 무대에서 기술분야 여성 리더십 장려 등을 목적으로 2012년 벨기에 브뤼셀에서 시작된 시장 개발 및 GSMA 커넥티드 위민(GSMA Connected Women)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모바일 서비스 성과를 기반으로 한다.

이 프로그램은 연구발표, 기술지원, 회의 소집, 지원사례 연구, 성공사례, 디지털 사용능력 향상을 위한 툴킷(toolkits) 등을 통한 m위민 프로그램과 GSMA 커넥티드 위민 두 프로그램의 추진력과 소비자와 근로자로서 여성이 가진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성 격차와의 연결을 기반으로 한다. 자세한 사항은 다음 웹페이지( www.gsma.com/connectedwomen) 참조.

GSMA 소개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는 세계 모바일 사업자의 이익을 대표한다. GSMA는 광의의 모바일 생태계에 속한 250여개 업체를 포함해 800개에 육박하는 모바일 사업자를 하나로 묶고 있다. 단말기 및 기기 제조사, 소프트웨어 기업, 장비 공급사, 인터넷 기업은 물론 인접 산업 분야 기관들이 GSMA와 함께 하고 있다. GSMA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obile World Congress),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 모바일 360 시리즈 컨퍼런스 등 업계 선도적인 행사를 주최하고 있다.

상세 정보는 GSMA 웹사이트(www.gsma.com)와 트위터: @GSMA에서 볼 수 있다.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웹사이트: http://www.gsma.com

연락처

GSMA 홍보대행
찰리 메레디스-하디(Charlie Meredith-Hardy)
+44 7917 298428
CMeredith-Hardy@webershandwick.com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