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작가 최초 볼로냐 라가치상 2년 연속 수상…유미 작가, ‘나의 작은 인형 상자’ 출간

- 한국작가 최초, 볼로냐 라가치상 2년 연속 수상에 빛나는 화제작

- 컬쳐플랫폼, 정유미 작가 “나의 작은 인형 상자” 출간

- - 세계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그림책의 노벨상’ 2015 볼로냐 라가치상 우수상 수상작

서울--(뉴스와이어)--컬쳐플랫폼이 그림책 ‘나의 작은 인형 상자’ 한국어판을 애니메이션 DVD를 포함해서 출간했다.

지난 해 <먼지아이>를 통해 ‘그림책의 노벨상’ 볼로냐 라가치상 뉴호라이즌 부문에서 한국그림작가로는 처음으로 대상을 받은 정유미 작가의 신간 <나의 작은 인형 상자>는 2015 볼로냐 라가치상 픽션 부문 우수상 수상작. 40여 개국 1,455종 출품작과 경쟁해 한국 작가 작품으로는 최초로 라가치상을 2년 연속 휩쓰는 쾌거를 올리며 국내외 출판계로부터 다시금 조명받고 있다. 글과 그림을 함께 작업해 2년 연속 수상한 작가는 볼로냐 라가치상의 50년 역사 속에서도 정유미 작가가 두 번째 기록이라 더 의미가 깊다.

<나의 작은 인형 상자>는 한 소녀가 직접 만든 작은 인형 상자 안을 여행하면서 4명의 캐릭터들을 만나 겪게 되는 이야기를 다룬다. 소녀는 여행의 과정에서 자신의 내면을 더 깊이 이해하게 되고, 좁은 공간에서 벗어나 더 넓은 세상으로 나아갈 용기를 얻게 된다. 그간의 작품을 통해 여성의 심리 발달을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표현해 온 정유미 작가는 소녀의 성장 이야기를 ‘인형 놀이’를 통해 상징적으로 풀어냈다. 소녀의 내면을 작은 인형 상자의 공간으로 표현하고, 소녀를 닮은 4명의 캐릭터를 통해 자아의 다양한 모습들을 그려낸다.

2006년 애니메이션으로 먼저 제작된 <나의 작은 인형 상자>는 세계 4대 애니메이션 영화제 중 하나인 히로시마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 경쟁 부문에 공식 초청된 것을 비롯해 미장센단편영화제 최우수상을 받으며 작품성을 인정 받았다. 또한, 베를린 국제단편영화제, 이탈리아 마티타 애니메이션영화제, 대만 국제애니메이션영화제, 전주국제영화제, SICAF 등 유수의 영화제에서 일찍이 관심을 모은 작품이다. 이후 2014년 한국출판산업진흥원 우수출판콘텐츠 제작 지원작으로 선정되어 본격적으로 그림책화 되었으며, 책으로 재탄생 되기까지 이야기를 각색하는 과정과 연필로 세밀하게 75컷의 원화를 그려내는 작업이 진행됐다.

생동감 넘치는 캐릭터, 세밀한 디테일, 섬세한 심리묘사를 통해 그림책에 생명력을 불어 넣은 작품으로 호평 받고 있는 <나의 작은 인형 상자>는 국내외 평단으로부터 “만남의 기대와 불안을 생생하게 표현한 수작”(엄혜숙, 그림책 비평가), “세밀한 디테일이 돋보이는 사실적인 그림체, 시각적 내러티브의 독창적인 구조가 돋보이는 작품”(라가치상 심사위원회), “페이지를 한 장 한 장 넘길 때마다 놀라울 정도로 생동적, 직접적, 그리고 시각적으로 정교한 언어를 통해 이것이 우리의 삶의 일부임을 말해주고 있다”(마르셀라 테루시, 볼로냐 대학교 아동문학 교수), “정교하면서도 감성이 담긴 그림체가 주는 신묘한 분위기가 음미하는 걸 넘어 사색할 거리마저 준다”(<웰컴 투 동막골> 박광현 감독) 등 추천사를 어어가고 있다.

그림책과 애니메이션, 각기 다른 두 매체의 매력을 모두 경험할 수 있는 정유미 작가의 <나의 작은 인형 상자>는 교보문고, 영풍문고, 반디앤루니스, 알라딘, 인터파크, 예스24, 땡스북스 등에서 구매할 수 있다.

<나의 작은 인형 상자> 추천사
“만남의 기대와 불안을 생생하게 표현한 수작”
(엄혜숙 그림책 비평가)

“세밀한 디테일이 돋보이는 사실적인 그림체, 시각적 내러티브의 독창적인 구조”
(라가치상 심사위원회)

“한 장 한 장 넘길 때마다 놀라울 정도!
생동적, 직접적, 그리고 시각적으로 정교한 언어를 통해 이것이 우리의 삶의 일부임을 말해주고 있다”
(마르셀라 테루시, 볼로냐 대학교 아동문학 교수)

“정교하면서도 감성 담긴 그림체가 주는 신묘한 분위기가 음미하는 걸 넘어 사색할 거리마저 준다”
(<웰컴 투 동막골> 박광현 감독)

144쪽 / 양장 제본 / DVD포함 / 가로226mm 세로177mm 높이25mm / 23,800원
ISBN 979-11-954032-4-0 (03800)

작가 소개
정 유 미 WWW.JOUNGYUMI.COM

정유미 작가는 볼로냐 국제 아동 도서전에서 <먼지아이>와 <나의 작은 인형 상자>로 2년 연속 라가치상을 수상하고, 자그레브 국제애니메이션 영화제에서 <연애놀이>로 그랑프리를 수상하면서 국내 외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2014년 한국 그림 작가로는 처음으로 라가치상 대상(뉴 호라이즌 부문)을 수상한 <먼지아이>는 2009년 단편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어 깐느 영화제 감독주간에서 첫 상영을 가졌고, 그 후 전세계 70여 개 이상의 영화제에서 상영되었다. 스티븐 스필버그가 어드바이저로 있는 뉴욕 햄튼 국제 영화제에서 최우수 단편영화상을 받았고, 크로아티아 타보 국제 영화제에서는 그랑프리와 최우수 애니메이션 상을 동시에 수상하는 등 국내외에서 10여 개의 주요 상을 받았다. <먼지아이>는 유럽 공영 예술채널 Arte와 스페인 문화 채널 Televisió de Catalunya를 통해 유럽 7개국에서 방영되었다.

2013년 <연애놀이>는 베를린 국제 영화제 단편 경쟁부문에 공식 초청받았고, 그 후 60개 이상의 국내외 영화제에서 초청 상영되고 있다. 세계 4대 애니메이션 영화제 중 하나인 크로아티아 자그레브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에서 한국 애니메이션으로는 최초로 그랑프리를 수상했으며, 체코에서 열린 World Festival of Animated Film, Varna에서는 장편과 단편 애니메이션 중 단 한편에게 부여되는 대상인 그랑프리를 수상했다. 그 밖에도 Holland Animation Film Festival 단편 애니메이션 부문 그랑프리 수상 등 20여 개 주요 국제상을 휩쓸었으며, <연애놀이> 역시 유럽 공영 예술채널 Arte를 통해 유럽 6개국에서 TV방영되었다.

2010년, <수학시험>은 한국 애니메이션으로는 최초로 베를린 국제 영화제 단편 경쟁부문에 공식 초청받았고, 이후 세계 3대 단편영화제 중 하나인 핀란드 탐페레 국제단편영화제와 미국 아스펜, 스웨덴 웁살라, 스위스 시네마토 등의 국제 영화제에서 상영되었다. <수학시험>은 유럽 예술채널 Arte를 통해 유럽 6개국에서 TV 방영되었다.

이 외에도 정유미 작가의 45일간의 그림일기를 담은 그림책, <파라노이드키드>는 스페인어로 남미 6개국에 출간되었다. 또한, 중국 메르디앙 출판사를 통해 출간한 한국 전래 동화 <호랑이와 곶감>은 중화권 전역에서 판매되고 있다.

Education:
국민대학교 회화과 졸업 (2000-2004)
한국영화아카데미 애니메이션 연출 전공 졸업 (2004-2006)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조형예술과 예술전문사 과정 휴학 중 (2012)

Filmography :
애니메이션
<나의 작은 인형 상자 My Little Doll’s House> 2006
<먼지아이 Dust Kid> 2009
<수학시험 Math Test> 2010
<연애놀이 Love Games> 2013

Book
<먼지아이 Dust Kid> 2012
<파라노이드 키드 Paranoid Kid> 2012
<호랑이와 곶감 Tiger and Persimmon> 2014
<나의 작은 인형 상자 My Little Doll’s House> 2015

컬쳐플랫폼 소개
컬쳐플랫폼은 애니메이션, 출판, 영화 기획을 하는 콘텐츠 개발 회사이다. 2008년 애니메이션과 영화 기획을 중심으로 하는 회사를 시네마플랫폼이란 이름으로 설립했고, 2011년 출판으로 영역을 넓히면서 ㈜컬쳐플랫폼으로 확장하였다. 컬쳐플랫폼에서는 정유미 작가의 <먼지아이>, <나의 작은 인형 상자>를 한국어 판으로 출간해 볼로냐 라가치상을 2년 연속 수상하며 영어와 스페인어 버전으로 해외에 수출했고, <파라노이드 키드>역시 영어, 스페인어로 수출했습니다. 한국 전래동화인 <호랑이와 곶감>은 중국 출판사를 통해 출간해 중화권 전역에서 판매되고 있다. 애니메이션 <먼지아이>,<수학시험>,<연애놀이>는 깐느 영화제, 베를린 영화제 등의 주요 영화제에서 상영되었고, 유럽 6개국에 TV방영권을 수출했다. <은행원>, , <수학영재, 형주>, <태교로드무비> 등의 장편 영화 시나리오는 영화진흥위원회와 CJ 문화재단의 개발비 지원을 받아 개발 중이다.

보도자료 다운로드: http://blog.naver.com/cpbooks

웹사이트: http://www.cultureplatform.com

연락처

컬쳐플랫폼
기획팀
김기현 대표
02-338-0240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