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MA,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 2015’ 에서 연설할 첫 번째 기조 연사 명단 발표

- BSH 홈 어플라이언스, 아이디어 셀룰러, KDDI, 노키아, NTT도코모, 텔레노어, 텔스트라 경영진들, 기조 세션에 참가

-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 2015

뉴스 제공
GSMA
2015-04-02 13:55
런던--(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GSMA는 모바일업계 연례 행사인 2015 GSMA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GSMA Mobile World Congress Shanghai)에 참여할 첫 기조연설자 명단, 신규 전시업체, 추가 행사 및 프로그램 등 구체적인 사항들을 오늘 발표했다.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는 2015년 7월 15~17일 상하이에 위치한SNIEC(Shanghai New International Expo Centre)에서 개최된다.

GSMA의 마이클 오하라(Michael O’Hara) 최고마케팅책임자는 “오늘 발표된 기조 연사들은 오늘날 모바일 업계를 구성하는 동향, 기회, 문제 등에 관한 중요한 통찰력을 참석자들에게 전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는 회의 외에도 광범위한 교육 프로그램은 물론, 디지털 상거래분야의 새로운 발전, 또는 모바일 엔터테인먼트분야 핫토픽 등 참석자들의 다양한 이해에 맞는 경험을 제공할 것이다”고 말했다.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 기조 프로그램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 프로그램은 이틀간 3가지 회의 기조 세션이 열릴 예정이며 모바일 업계 최신 동향을 모색하기 위해 C급 경영진을 초청한다. 2015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의 기조 프로그램에 참석하기로 확정된 첫 번째 연사들은 다음과 같다.

· 카스텐 오텐버그(Karsten Ottenberg), CEO, BSH 홈 어플라이언스(BSH Home Appliances)
· 앤 부베로(Anne Bouverot), 사무총장, GSMA
· 히만슈 카파니아(Himanshu Kapania), 관리이사, 아이디어 셀룰러(Idea Cellular)
· 타다시 오노데라(Tadashi Onodera),회장, KDDI
· 라지브 수리(Rajeev Suri), CEO, 노키아(Nokia)
· 카오루 카토(Kaoru Kato), 사장 겸 CEO, NTT도코모(NTT DOCOMO)
· 얀 프레드릭 바크사스(Jon Fredrik Baksaas), 사장 겸 CEO, 텔레노어그룹(Telenor Group), GSMA 회장
· 데이비드 토디(David Thodey), CEO, 텔스트라(Telstra)

회의 프로그램은 디지털 상거래, 기업 이동성, 혁신과 신생기업, LTE와 5G, M2M, 만물인터넷, 모바일 신원 확인과 개인화, 네트워크 가상화, 모바일 인터넷을 위한 신규 사업 모델 등 광범위한 주제들을 다룰 예정이다.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 논문 공모는 2015년 4월 10일(금)까지 접수한다. 논문 공모를 비롯한 회의 프로그램에 관한 추가정보는 www.mwcshanghai.com/learn/conference/ 에서 확인할 수 있다.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 신규 참가 전시업체들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 전시에 참가하는 것은 네트워크 인프라, 휴대전화 단말기와 기기에서부터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등에 이르기까지 모바일 업계의 미래를 구성하는 각종 신기술, 제품, 서비스들이 스포트라이트를 받을 수 있는 기회이다. 치타 모바일(Cheetah Mobile), 드로이더스(Droiders), 레노보(Lenovo), OMA(Open Mobile Alliance), PCCW, SD 얼라이언스(SD Alliance), 사일런트 서클(Silent Circle), SOTI(SOTI, Inc.) 등이 가장 최근에 전시 참가를 등록했으며 지역별 전시관은 인도(인도 인터넷 및 모바일 협회), 인도네시아, 태국, 워싱턴주(USA) 등이 새로 추가됐다. 이미 전시 등록한 업체들은 에어와치(Airwatch), 알카텔-루슨트(Alcatel-Lucent), 애스키(Askey), 차이나 모바일(China Mobile), 파 이스톤 텔레커뮤니케이션즈(Far Eastone Telecommunications), 젬알토(Gemalto), 화웨이(Huawei), LeTV, 모질라(Mozilla), 노키아 네트웍스(Nokia Networks), SK텔레콤(SK Telecom), 쑤저우 스네일(Suzhou Snail), 비자(Visa), ZTE 등이다. 베를린, 홍콩, 이스라엘, 한국, 선전, 대만 등은 이미 지역별 전시관을 등록했다. 추가정보는 www.mwcshanghai.com/see-do/exhibition/ 에서 확인할 수 있다.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의 신규 프로그램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는 전시 및 회의는 물론, 참석자들의 구체적인 필요에 부응하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한다. CCTV와 협력하여 진행하는 모바일 인터넷 서밋(The Mobile Internet Summit)에서는 온오프라인 상거래, 협력, 보안 이슈 같은 핫 토픽을 두고 모바일 및 인터넷 리더들간에 열띤 토론이 벌어질 전망이다. 자세한 사항은 www.mwcshanghai.com/mobile-internet-summit/ 에서 확인할 수 있다.

디지털 커머스 서밋(The Digital Commerce Summit)에서는 제품 출시 간편화, 운영 문제 극복 등을 위해 모바일 사업자, 서비스 제공업체들을 대상으로 우수 관행을 공유한다. 이 프로그램은 또 호환성을 향한 협력, 규모의 경제 성장에 논의하고 소매, 공공 서비스, 금융, 기타 애플리케이션 분야에 관한 다양하고 생생한 사례연구도 공유될 예정이다. 자세한 정보는 www.mwcshanghai.com/digital-commerce-summit/ 에서 볼 수 있다.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 참가 등록 시작

모든 참가자들과 패스 타입(pass types)을 위해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 등록이 시작됐다. 패스타입 등록 및 참가 등록 관련 웹사이트: www.mwcshanghai.com/attend/register/.

2015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에 참여하는 법

전시 및 후원 방법을 포함하여 2015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에 대한 추가 정보는 www.mwcshanghai.com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소셜 미디어 채널을 통해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의 신규 공지사항이나 업데이트를 받으려면 트위터 계정 #MWCS15 또는 @GSMA를 팔로우하거나 링크드인(LinkedIn) 전시 페이지를 통해 업데이트를 받을 수 있다. 중국 내에서는 시나 웨이보(Sina Weibo) http://weibo.com/mwcshanghai 또는 위챗(WeChat)의 GSMA 계정을 통해서도 정보를 얻을 수 있다.

GSMA 소개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는 세계 모바일 사업자의 이익을 대표한다. GSMA는 광의의 모바일 생태계에 속한 250여개 업체를 포함해 800개에 육박하는 모바일 사업자를 하나로 묶고 있다. 단말기 및 기기 제조사, 소프트웨어 기업, 장비 공급사, 인터넷 기업은 물론 인접 산업 분야 기관들이 GSMA와 함께 하고 있다. GSMA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obile World Congress),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 모바일 360 시리즈 컨퍼런스 등 업계 선도적인 행사를 주최하고 있다.

상세 정보는 GSMA 웹사이트(www.gsma.com)와 트위터: @GSMA에서 볼 수 있다.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웹사이트: http://www.gsma.com

연락처

GSMA 홍보대행
자오 칭(Zhao Qing)(베이징)
+8610 8569 9916
qzhao@webershandwick.com

윌 장(Will Zhang)(베이징)
+8610 8569 9855
wzhang@webershandwick.com

아바 라우(Ava Lau)(홍콩)
+852 2533 9928
alau@webershandwick.com

GSMA 홍보실
pressoffice@gsma.com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