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연구원, 도내 철강산업 체질개선 필요
현재 당진지역은 포항, 광양과 함께 국내 3대 철강생산지로 급부상하고 있지만, 2009년 이후 철강재의 글로벌 공급과잉 심화와 건설·조선 등 전방 수요산업 부진 등으로 국내 철강업계의 경영여건도 악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17일 충남연구원 백운성 책임연구원은 충남리포트 162호에서 “최근 중국 연해지역의 철강생산 확대와 당진항의 설비 확장 등으로 충남지역에 중국산 저가 철강재 유입이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며 “도내 주요 철강산업의 현주소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이를 바탕을 한 고부가가치화, 지역 내 발전방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충남의 연간 조강량을 보면, 2005년 405만 톤에서 2010년 1,545만 톤으로 5년 만에 4배나 증가하였다. 철강산업의 생산지수도 동 기간 중 전국 대비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백 연구원은 “지난해 300인 미만의 도내 철강제조업체 144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조사기업의 최근 3년간 매출평균은 230억 원 수준으로 지난 2011년에 비해 연평균 0.9%씩 감소추세를 보였다”며, “이는 철강산업의 생산과잉 및 수익성 악화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조사된 144곳의 특성에 맞는 정책수요를 발굴하고 지원하기 위한 그룹화를 실시해보니, 특히 성장보육단계(A그룹)와 자립성장단계(B그룹)에 해당되는 기업들에 대한 맞춤형 정책지원이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강조했다.
즉 A그룹은 성장초기 단계의 고성장기업군으로 기술역량 대비 생산 및 마케팅 역량이나 경영노하우가 부족해 시장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지원이 요구되는 기업군이다. 현재 조사기업의 43.8%(63곳)가 존재하며, 기술지원(62.4%), 사업화지원(60.8%), 인력양성(60.7%) 순으로 지원수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B그룹은 주력제품이 안정적으로 매출로 연결되나, 향후 새로운 사업영역의 발굴이 요구되는 기업군이다. 전체 기업의 18.8%(27개)를 차지하며, 기술지원(64.2%), 인력양성(63.8%), 사업화지원(61.8%) 순으로 필요한 정책을 요구했다.
이에 백 연구원은 “국내외 동향 변화 속에 충남 철강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당진을 중심으로 한 북부권은 생산-가공-부산물 활용 등 철강생산기반 전반을 아우르는 자원순환형 산업클러스터 조성, △철강기업의 품질향상과 기술경쟁력 제고를 위해 종합적인 기업지원플랫폼 구축, △소재-가공산업, 철강-수요산업, 대-중소기업 연계를 강화할 수 있는 산학연 협력체계 구축 등을 모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충남연구원 소개
충남연구원은 1995년 6월 충청남도와 16개 시군이 충남의 발전과 도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공동 출연하여 설립한 종합정책연구기관이다.(현재 15개 시군) 이에 연구원은 충청남도 및 시군의 중장기 발전 및 지역경제 진흥, 지방행정과 관련된 정책 과제의 체계적인 연구와 개발 등에 대한 전문적·체계적인 조사분석, 연구활동을 통하여 각종 정책을 개발·제시하고 있다. 특히 2015년은 개원 20주년이 되는 해인만큼 ‘발전’을 뺀 충남연구원으로 명칭도 바꾸었다. 충남연구원은 ‘더불어 행복한 충남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개방과 공유, 소통과 협력으로 도민과 함께하는 열린 연구원으로 거듭나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s://www.cni.re.kr
연락처
(재)충남발전연구원
기획조정연구실
정봉희 홍보팀장
041-840-1123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