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쓴메밀 들어간 가공식품 진위 여부 및 혼합 비율 알아내는 기술 개발

전주--(뉴스와이어)--농촌진흥청(청장 이양호)은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쓴메밀이 들어간 가공식품의 진위 여부와 보통 메밀이나 밀가루와 섞였을 때의 혼합 비율까지 알아내는 기술을 개발했다.

‘쓴메밀’은 히말라야가 원산지로 고혈압, 뇌동맥경화, 동맥경화, 폐출혈, 궤양성질환 등 성인병을 예방하는 루틴(rutin)함량이 보통 메밀보다 70배 높은 작물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연간 약 500톤을 생산하고 있으며, 이중 약 90%는 새싹, 차, 국수 등 가공식품으로 유통되고 있다.

‘쓴메밀’의 수요가 늘면서 종자 혼입이나 혼입률을 다르게 표시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번에 개발한 판별 기술은 ‘쓴메밀’과 보통 메밀의 엽록체 유전자 중 두 종간의 변이가 발생한 부위를 증폭시켜 구분하는 방법이다.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소에서는 쓴메밀의 엽록체를 차세대염기서열분석(NGS, next generation sequencing) 기법으로 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유전자은행(NCBI)에 등록된 보통 메밀의 엽록체 염기서열과 비교해 변이영역을 탐색했다.

그 다음 변이 영역을 대표하는 ‘쓴메밀’과 보통 메밀 구분용 InDel 마커를 선발하고 검출한계를 검토해 다양한 메밀 가공품에 대한 ‘쓴메밀’과 보통 메밀을 구분할 수 있게 했다.

농촌진흥청은 이 같은 연구 결과를 특허출원(10-2014-0084400, 10-2015-0005894)하고, 국제학술지인 PlosOne에도 게재 예정이다.

이 기술을 이용하면 ‘쓴메밀’과 보통 메밀을 100%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고, 분쇄 형태 등 육안으로 원재료를 확인할 수 없는 가공식품에 대해서도 ‘쓴메밀’ 사용 여부와 함량까지 진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쓴메밀 가공식품의 품질 관리와 유통 체계를 바로잡는데 기여할 전망이다.

농촌진흥청에서는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보다 빠르게 보급하기 위해 농산물품질관리원,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다양한 기관에 기술을 이전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소 정진철 소장은 “쓴메밀은 루틴함량이 높아 항당뇨, 성인병 관련 질환 예방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그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라며, “이번에 개발한 기술로 ‘쓴메밀’의 생산부터 유통까지 품질 관리가 가능하며, 이를 통해 품질에 대한 소비자 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라고 전했다.

한편, 농촌진흥청은 2009년 쓴메밀 품종 ‘약선’을 육성하고, ‘100% 메밀국수 제조 기술’을 처음으로 개발했다. 이어 기능 활성 물질 함량을 높인 ‘쓴메밀 새싹채소 생산 기술’을 개발·보급해 소비자들이 편하게 쓴메밀 관련 식품을 맛볼 수 있게 해왔다.

웹사이트: http://www.rda.go.kr

연락처

농촌진흥청
고령지농업연구소
조광수 연구사
033-330-1650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