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응급센터 119 ‘한옥지원센터’ 7월 오픈
*1기 한옥정책(2000년, 북촌가꾸기) : 북촌을 대상지로 정해 전체적인 보수에 대한 비용을 지원해 한옥 멸실에 대한 응급처치.
*2기 한옥정책(2008년, 한옥선언) : 대상지를 경복궁 서측, 인사동, 돈화문로, 운현궁 일대로 확대, 비용을 2배로 상향해 지원. 한옥가치 발굴.
서울시는 25일(목) 2020년을 목표로 한 한옥정책 장기종합계획인 제3기‘서울한옥자산선언’을 발표, 7가지 주요 실천과제를 단계적으로 실시해 한옥자산을 지속가능하게 보호하면서도 시민들의 편리한 한옥살이를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시는 ‘14. 7월부터 22인의 한옥장인·한옥전문가들과 10차례에 걸친 의견수렴과 한옥청책을 거쳐‘서울한옥자산선언’실행방안들을 마련했다.
우선 119개념의 한옥응급센터 기능을 갖춘 ‘한옥지원센터’(계동한옥 개보수)7월 오픈한다. 센터는 보수가 필요한 한옥에 한옥장인(대목·소목·미장·철물·창호)이 즉각 출동해 한옥을 점검하고 보수한다. 또 장마, 동절기엔 방역 등 점검을 실시한다.
이외에도 한옥에 관한 기본정보, 비용지원, 정책 및 연구 정보, 한옥살이, 한옥관련업체 및 장인리스트, 한옥산업 및 마을복덕방, 한옥살이 네트워크 정보를 모두 제공한다.
한옥지원센터에는 서울시, 국가한옥센터, 한국문화재기능인협회, 한옥장인이 협업해 근무하며 한옥건축협동조합 등과도 연계 현장에 직접 투입되어 기술R&D개발, 모니터링 등을 통해 해결방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그동안 한옥 전체를 보수하는데 비용을 지원했던 방식을 개선한 것이다.
시는 한옥 지붕경관이 한옥을 대표하는 공공재로 보고 관련 지원을 신설했다. 특히 빗물이 새 천막으로 덮어놓은 한옥 천막지붕을 수선하는 데 최고 1,000만원 내로 우선 지원한다. 아울러 비용뿐 아니라 직접 기와 및 목재 등 물품을 지원한다.
개보수 지원 대상도 확대한다. 그동안 북촌과 같은 특정 한옥 밀집지 중심으로 전통한옥에 한해 지원했다면 앞으로는 서울시 전역의 도시한옥, 리모델링 및 신축되는 양옥과 결합된 한옥(한식기와+목구조)까지 확대해 차등 지원한다.
전통한옥 : 전통한옥 양식에 따라 한옥 채 구분, 마당, 담장, 대문 등의 구성이 갖춰진 한옥을 말한다.
도시한옥 : 전통한옥 양식을 다 갖추지는 않았지만 실제 거주 위주로 1920~1960년대 지어진 한옥을 말한다.
아울러 한옥 한 채 한 채 뿐 아니라 한옥이 밀집된 골목의 기반시설 정비까지도 신규 지원해 실제 한옥살이가 불편하지 않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한옥과 관련된 정보를 한 곳에서 얻을 수 있는 한옥포털도 내년 2월 중 오픈한다.
아울러 물리적인 한옥 위주 지원에서 한옥을 만드는 사람, 거주자를 지원하는 ‘삶과 사람, 공동체 중심’의 지원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명품한옥’ 및 ‘한옥명장’ 인증제를 오는 9월 도입한다. 시의 지원을 받은 한옥 중 한옥미를 잘 살린 한옥건축을 명품한옥으로 인증하고, 건축에 참여한 장인을 한옥명장으로 함께 인증하는 방식이다.
시는 이력관리와 부분수선 지원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거주자를 대상으론 교육을 지원한다. 지난 4월부터 시민청에서 시민들과 장인(대목, 소목, 철물 등)들이 직접 이야기하는 시민교실을 운영 중이며 이를 심화학습, 체험교실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시는 필요한 경우엔 특별건축구역으로 지정해 건폐율이나 조경비율 등을 완화 또는 배제, 보다 창의적이고 삶에 편리한 한옥건축을 유도한다.
시는 목재·기와 등 양질의 한옥 자재를 저렴하게 대량구매하고 적기에 공급하기 위해 목재유통센터·한옥공장·한옥교육원을 건립예정인 횡성군과 협업해, 지속가능한 한옥산업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시민 누구나 쉽게 이용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어린이집, 주민센터, 학교 등을 공공한옥으로 지어 2020년까지 공공한옥건축을 34개소에서 100개소로 확대한다.
단지내 시설, 청사 등 공공시설 내 한옥인테리어 공간을 도입한다.
시는 재단, 조례, 조직 등 지속가능한 기반도 구축한다. 최근 제정·시행된‘한옥 등 건축자산의 진흥에 관한 법률’(‘15.6.4)에 맞춰 서울시 조례를 제정 중이며, ‘16년엔 서울한옥재단 설립도 추진한다.
관련 법률에선 한옥 뿐 아니라 근현대건축자산에 대한 지원 근거도 함께 마련된 만큼 시 건축자산(423건)에 대한 지원도 마련해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는 한옥박람회·한옥디자인공모·목조건축 국제학술 심포지엄 등을 통해 다양한 한옥체험과 교육, 산업화, 학술의 장을 마련한다.
한국문화재기능인협회와 공동주최로 조직위원회를 7월내 구성 준비하고 국제컨벤션센터, 서울광장, 오픈한옥에서 연계 진행할 계획이다.
진희선 서울시 주택건축국장은 “지금은 한옥을 단순히 지키는 것을 넘어 좋은 주거문화로서 시민들의 일상에 함께하는 한옥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으로 보전과 일상이 양립하는 새로운 한옥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며, “한옥산업 활성화와 한옥장인 양성, 젊은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한옥조성과
안인향
02-2133-55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