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MA의 새로운 연구, 디지털 사회의 발전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전반적인 성장에 중요하다는 사실 재확인
- GSMA, ITU, ICANN 및 ISOC 아시아 태평양 공유 보고서 및 방콕 디지털 사회 정책 포럼
각 조직에 의해 독자적으로 개발된 보고서는 국가 경제 및 시장의 발전뿐만 아니라 아시아 국가들이 직면한 급속한 인구성장 및 농촌-도시 이주에서 발생하는 도전의 극복을 위해 디지털 및 모바일 기술의 가능성에 대한 일반적인 결론 및 권고사항을 공유한다. 이 연구 결과는 오늘 방콕의 쉐라톤 그랜드 수쿰빗(Sheraton Grande Sukhumvit)에서 개최된 ‘GSMA-ITU 디지털 사회 정책 포럼 2015(GSMA-ITU Digital Societies Policy Forum 2015)’에서 공유되었다.
크리스 줄(Chris Zull) GSMA 아시아 스펙트럼 디렉터는 “고속 모바일 광대역 기술의 발전 및 증가하는 스마트폰의 가용성과 저렴한 가격으로 모바일 기술은 디지털 사회를 위한 필요한 연결 및 콘텐트 전달에 매우 적합하다”며 “오늘날 무선 네트워크는 많은 다른 기술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특히 낙후된 고정 네트워크 인프라를 가진 도시화 수준이 낮은 개발 도상국에서 더 효율적으로 넓은 영역을 커버할 수 있다”고 밝혔다.
조직 간 협력 및 공동 작업
‘GSMA-ITU 디지털 사회 정책 포럼2015’는 GSMA과 ITU가 공동 주관하고 ICANN과 iSOC이 지원하는 최초의 이벤트 중 하나다. 이 행사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디지털 사회와 관련된 문제의 논의뿐만 아니라 이러한 새로운 연구 보고서 및 정책 주변에서 틀이 마련된 디지털 사회 구축을 위한 신흥 국가계획의 검토를 위해 정보통신 분야에서100여명의 정책 입안자, 규제자, 산업 및 기타 이해관계자를 소집했다. 또한 모바일 광대역에 대한 스펙트럼 정책 및 라이선스의 역할에 초점을 맞춘 포럼에서 다양한 국가의 전문가들이 기술 및 스펙트럼 수요의 글로벌 동향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에 걸쳐 디지털 사회 구축으로 나아가는 길의 도전과 기회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공유했다.
디지털 사회 정책 포럼에는 한 국가의 기술 및 인프라, 특히 모바일 인프라가 디지털 사회의 수요 충족을 보장하는 작업을 위해 정부 및 사업자를 포함한 주요 이해관계자들이 한데 모인다. 성공을 위해 투자뿐만 아니라 디지털 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구축하는 캠페인 생성에 대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적절한 스펙트럼 및 세금제도에 대한 액세스가 필요하고, 이는 여러 채널과 언어를 통해 사용이 편리하고 접근 가능해야 한다. 방글라데시, 인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파키스탄, 태국 등 해당 지역의 6개 국가가 디지털 사회 이니셔티브에 참여하고 있으며, 태국은 포럼의 최초 개최국이다.
새로운 GSMA 보고서 ‘아시아의 디지털 사회 구축(Building Digital Societies in Asia)’은 https://gsmaintelligence.com/research/2015/06/building-digital-societies-in-asia/510/ 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다.
GSMA 소개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는 세계 모바일 사업자의 이익을 대표한다. GSMA는 광의의 모바일 생태계에 속한 250여개 업체를 포함해 800개에 육박하는 모바일 사업자를 하나로 묶고 있다. 단말기 및 기기 제조사, 소프트웨어 기업, 장비 공급사, 인터넷 기업은 물론 인접 산업 분야 기관들이 GSMA와 함께 하고 있다. GSMA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obile World Congress),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 모바일 360 시리즈 컨퍼런스 등 업계 선도적인 행사를 주최하고 있다.
상세 정보는 GSMA 웹사이트(www.gsma.com)와 트위터: @GSMA에서 볼 수 있다.
비즈니스와이어(businesswire.com) 원문 보기: http://www.businesswire.com/news/home/20150624006561/en/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웹사이트: http://www.gsma.com
연락처
GSMA 홍보대행
룽나파 차른위셋(Rungnapa Charnwiset)
+662 343 6061
rungnapa@webershandwick.com
완라파 콤카이(Wanlapa Komkai)
+662 343 6062
wkomkai@webershandwick.com
찰리 메레디스-하디(Charlie Meredith-Hardy)
+44 7917 298428
CMeredith-Hardy@webershandwick.com
GSMA 홍보실
pressoffice@gsm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