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잉글랜드 의학 저널에 게재된 광범위 내성 결핵(XDR-TB)에 대한 오츠카제약(Otsuka)의 델라마니드(Deltyba®) 효능 결과
- 2b상 임상에 근거한 데이터 분석에 의하면 기저 요법(background regimen)을 병용한 델라마니드(delamanid)는 치료하기 어려운 XDR-TB 환자에 대한 치료 옵션으로 전망이 밝다.i
- 델라마니드와 기저 요법을 병용한 환자의 경우, 위약과 기저 요법 병용한 환자에 비해 2개월 후 감염력 없는 환자가 증가했으며, 델라마니드를 2개월만 투여한 환자에 비해 6개월 이상 투여한 환자들의 사망률이 더 낮았다.
- 2014년까지 미국을 포함한 100여 개의 국가에서 XDR-TB가 한 건 이상 발견되었다고 보고하였다. WHO는 광범위 내성 결핵(XDR-TB)을 1차 항결핵제인 이소니아지드(isoniazid)와 리팜피신(rifampicin)에 대해 내성이고, 플루오르퀴놀론(fluoroquinolone) 항생제 중 적어도 한 가지와 2차 항결핵 주사제 중 한 가지에 대해 내성을 갖는 결핵으로 정의한다.
라트비아의 리가 이스트대에 재직하는 결핵 전문의이자 대표 연구자인 Andra Cirule박사는 “XDR-TB는 가장 치사율이 높고 치료하기 힘든 결핵 중 하나다. XDR-TB가 불치병이 되는 걸 막아야 할 더 많은 신약이 긴급히 필요한데, 이 분석을 보면 델라마니드가 기존의 표준 치료법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적인 옵션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XDR-TB는 2차 결핵 치료제의 남용 또는 관리 부실로 발현되며, 이는 치료 옵션을 심각하게 제한시킨다.ii 100여개 국가에서 이 위험한 균주를 최소 한 건 이상 발견하였다고 보고하였으며, 미국에서는iii 감염된 환자가 최소 3 개 주에서 사람들에게 노출되어 현재 미 보건당국이 접촉 자를 추적 조사하고 있다.
“이 연구의 중요한 결과물은 인류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는 결핵에 대한 오츠카제약의 지속적인 연구와 헌신을 재확인시켜 준다. 오츠카제약은 40년 넘게 가장 치료가 힘들다고 알려진 광범위 내성 결핵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 개발을 최우선시 하였으며, 앞으로 이 가공할 결핵 균주 퇴치를 위한 진전을 기대하고 있다”고 오츠카제약의 항결핵 글로벌 프로젝트 리더인 마스히로 요시타케(Masuhiro Yoshitake) 전무는 강조했다.
델라마니드는 새로운 약물군 최초의 화합물(니트로-디하이드로-이미다조옥사졸)로 다제 내성(MDR-TB) 균주를 포함하는 결핵균에 대해 살균력이 있다. 이 결핵 치료제는 유럽연합 , 일본 및 한국 에서 승인을 받았다. 2014년 10월 WHO는 MDR-TB 치료에 있어 델라마니드 사용에 관한 중간 정책 지침을 발표했으며, 2015년 5월 WHO는 비교 연구를 통해 효능, 안전성 및 비용 효과가 과학적으로 입증된 의약품을 수록한 필수 의약품 목록에 델라마니드를 추가했다.
오츠카제약은 MDR-TB와 관련하여 새로운 소아용 제형을 개발하고 있는 유일한 기관이다. 6~18세의 연령 그룹에 대한 연구는 종결되었으며, 이는 영아부터 5세까지 아동을 대상으로 진행 중인 추가 연구와 함께 분석되고 있다. 소아에 대한 MDR-TB 약물의 안전하고 정확한 투여량에 관한 자료가 과거에는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이 연구는 TB 연구에 중요한 공헌을 할 것이다.
본 연구에 관한 추가 사항
델라마니드의 효능은 대규모, 무작위, 위약 대조 2상 임상 시험에서 확인되었다. 임상 시험에는 2개월의 치료 기간 및 1개월의 추적 관찰 기간 중 MDR-TB 환자 481명(204 연구), 6개월 간의 공개형 치료 임상(208 연구)까지 계속한 환자 213명, 그리고 원래 무작위 배정 환자 481명(116 연구) 중 24개월 간 추적 관찰 연구를 마친 환자 421명이 포함되었다. 델라마니드를 100mg씩 1일 2회 WHO 권장 OBR과 병용한 환자는 위약을 병용한 환자(29.6%)에 비해 2개월 후 SCC를 획득한 환자(45.4%)가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게 53% 증가했다(p=0.008).
임상 시험 결과에 따르면, 부작용은 QT 간격 연장을 제외하고 델라마니드 및 위약 치료 그룹에 균일하게 분포되었다. 심전도 상 QT 간격 연장 발생 빈도의 경우, 1일 2회 델라마니드 100mg을 투여한 환자는 9.9%였고 위약과 OBR을 병용 투여한 환자는 3.8%였다. 이 경우 실신이나 부정맥 등의 임상적 징후는 동반되지 않았다.xiii
결핵에 관한 정보
WHO에 의하면, 결핵은 단일 감염원으로 인해 HIV/AIDS 다음으로 세계인의 목숨을 많이 앗아가는 질환이다. 2013년 약 9백만 명이 결핵에 걸렸던 것으로 추산되며, 그 중 150만명이 결핵 또는 결핵과 관련된 이유로 사망했다.iii 기존 기저 요법을 따르자면, 환자는 장기간 여러 가지 항결핵제를 투여해야 하며, 일부 항결핵제에 대해 내성일 경우 2년 이상 투여해야 한다. 2013년 약 480,000명이 MDR-TB에 걸렸다.iii
오츠카제약 소개
오츠카제약은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으로 ‘세계인의 건강을 위하여 보다 우수하고 혁신적인 제품을 창조하고 제공한다’는 기업 철학을 견지하고 있다. 오츠카제약은 질병 치료를 위한 의약품 및 일상적인 건강 유지를 위한 기능성 식품을 위주로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제품을 연구, 개발, 제조 및 판매하고 있다. 오츠카제약은 Otsuka Holdings Co. Ltd,에서 전체 지분을 소유한 일본 2위 제약회사이다. 오츠카그룹의 전 세계 직원수는 약 43,000명에 이르며, 당사의 제품은 전 세계 80개 이상의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다.
오츠카제약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https://www.otsuka.co.jp/en/ 참조.
i Gupta R, Geiter L, Wells C. 광범위 내성 결핵(XDR-TB) 치료를 위한 델라마니드. N Engl J Med 2015년; 372 (28).
세계보건기구(WHO). XDR-TB: 광범위 내성 결핵. http://www.who.int/tb/challenges/mdr/xdr/en/ (2015년 6월 접속)
ii 세계보건기구(WHO). 글로벌 결핵 보고서 2014년. http://apps.who.int/iris/bitstream/10665/137094/1/9789241564809_eng.pdf (2015년 6월 접속)
iii 로이터 통신. 미 보건부 관리들은 결핵 환자와 접촉했을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을 찾고 있다. 2015년 6월 10일. http://in.reuters.com/article/2015/06/09/us-usa-health-tuberculosis-idINKBN0OP1W420150609 (2015년 6월 접속).
iv Matsumoto M, Hashizume H, Tomishige T, et al. OPC-67683, a Nitro-Dihydro-Imidazooxazole Derivative with Promising Action against Tuberculosis In Vitro and In Mice. PLoS Med. 2006년 11월;3(11):1167-214.
v 유럽의약품청 일반인을 위한 Deltyba의 유럽 공공 평가 보고서(EPAR) 요약. EMA/731960/2013 EMEA/H/C/002552 http://www.ema.europa.eu/docs/en_GB/document_library/EPAR_-_Summary_for_the_public/human/002552/WC500166235.pdf (Accessed June 2015)
vi 제약 및 의료기청(PMDA). 2014년 6월 승인 신약. http://www.pmda.go.jp/files/000197902.pdf (2015년 6월 접속).
vii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MFDS). http://ezdrug.mfds.go.kr/kfda2 (2015년 7월 접속)
viii 세계보건기구(WHO). MDR-TB 치료에 있어 델라마니드 사용에 관한 중간 지침. 2014년 10월. http://www.who.int/tb/features_archive/delamanid/en/ (2015년 6월 접속)
ix 세계보건기구(WHO). 핵심 요약서: 필수 의약품 선택 및 사용(2015). 필수 의약품 선택 및 사용에 관한 제20회 WHO 전문가 위원회 보고서. 2015년 4월 20-24일 http://www.who.int/medicines/publications/essentialmedicines/Executive-Summary_EML-2015_7-May-15.pdf (2015년 6월 접속)
ClinicalTrials.gov Identifiers NCT01859923 and NCT01856634.
Nachman S, Ahmed A, Amanullah F, et al. Towards early inclusion of children in tuberculosis drugs trials: a consensus statement. The Lancet Infectious Diseases. 2015년; 15(6):711-720.
x Gler MT, Skripconoka V, Sanchez-Garavito E, et al. 다제 내성 폐결핵에 대한 델라마니드. N Engl J Med 2015년; 372 (28). 2015년; 15(366):2151-60.
xi 세계보건기구(WHO). 다제 내성 결핵에 대한 단기 기저 요법. 2013년 5월. http://www.who.int/tb/publications/Short_TB_regimens.pdf (2015년 6월 접속).
연락처
글로벌
오츠카제약 SA
마크 데스티토(Marc Destito)
커뮤니케이션 디렉터
+41 78 881 03 22
일본
오츠카제약 PR 부서
제프리 길버트(Jeffrey Gilbert)
+81 3 63 61 73 79
이 보도자료는 Otsuka Pharmaceutical Co., Ltd.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