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MA, 2015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MWC) 신기록 수립

- 2014년 대비 참석률 54% 증가

뉴스 제공
GSMA
2015-07-23 10:50
홍콩--(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GSMA가 오늘 7월 15~17일까지 상하이에서 열리는 2015 GSMA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에 100여 개국 및 지역 약 4만여 명[1]이 방문했다고 보도했다. 3일에 걸친 신제품 전시 및 컨퍼런스는 기술 트렌드에 민감한 새비 컨슈머(savvy consumer)뿐만 아니라 관련 산업분야 최대 및 가장 영향력 있는 모바일 운영기업, 모바일 기기 제조기업, 장비 공급기업, 소프트웨어 제조사 및 인터넷 회사 경영진들의 관심을 받았다.

존 호프만(John Hoffman) GSMA 최고경영자(CEO)는 “올해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는 모바일 기술이 전 지역 소비자와 기업에 미치고 있는 엄청난 영향을 강조하면서 아-태지역 내 크게 성장하고 있는 모바일 생태계를 보여주었다”며 “방문자들은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전시, 컨퍼런스 및 기타 다양한 회의, 행사와 프로그램들을 통해 모바일 기술을 통해 실현되는 무한한 가능성을 경험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상하이 신국제전시센터(SNIEC, Shanghai New International Exhibition Centre) 3개 홀에서 개최된 2015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는 350여 전시 출품사와 후원사들에 의해 주최되었다. 3400여명이 컨퍼런스 프로그램에 참여하였고 350여명의 최고경영자(CEO)를 포함한 고위급(C-level) 임원들로 구성된 대표단이 이 중 55% 이상을 차지하였다. 뿐만 아니라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에서 발표된 수많은 관련 산업 소식을 보도할 전세계 660여 국제 매체들과 산업분석가들도 이 행사에 참여했다.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는 상하이 디지털 정보 페스티벌(Shanghai Digital Information Festival)과 함께 상하이 신국제전시센터(SNIEC)에서 개최된 최초의 전시회로 방문자들은 이 두 전시회를 모두 관람할 수 있었다. 상하이 디지털 정보 페스티벌은 약 2만 명의 관람객이 방문하였으며, 320여 전시업체들[2]이 교육, 의료, 여행, 엔터테인먼트 등 여러 분야에서 시민들이 모바일 기술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시연하는 프로그램, 행사 및 다양한 활동들을 하여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를 더욱더 빛나게 했다. 이 두 행사는 상빙(Shang Bing) 산업정보기술부 차관(Vice Minister), 펭보(Peng Bo) 중국 사이버행정부 차장(Deputy Director), 시궈화(Xi Guohua) 차이나모바일 회장(Chairman), 루이민(Lu Yimin) 차이나 유니콤 사장, 푸신화(Fu Xinhua) 상하이 지역경제정보화위원회 부회장 및 상하이 지역상무위원회 부회장 등을 포함한 정부 및 업계 지도자들이 참석한 개회식을 시작으로 공식 개최되었다.

업계 지도자들의 컨퍼런스 프로그램 헤드라인(Headline) 장식

2일째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 컨퍼런스 프로그램에는 BSH 가전, 차이나 모바일, 지앤디(G&D), 호주 정부, 중국 통신장비 전문기업 화웨이(Huawei), 아이디어 셀룰러(Idea Cellular), 일본 이동통신회사 KDDI, 엘지 유플러스(LG Uplus), 노키아(Nokia), 일본 NTT 도코모(NTT DOCOMO), 텔레노어 그룹(Telenor Group), 텔스트라(Telstra) 등을 포함한 각 사 대표들의 기조 연설이 포함되었다. 또한 컨퍼런스 기간 동안 디지털 커머스(digital commerce), 기업 모바일화(enterprise mobility), LTE, 5세대 이동통신(5G), 기계간 통신(M2M), 사물인터넷(IoT), 모바일 식별(mobile identity)과 개인화(personalization) 및 모바일 인터넷 신사업 모델 등을 주제로 한 강연이 펼쳐졌다.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는 또한 방문객들에게 지식 축적, 통찰력 습득, 모범 경영사례 공유 등의 기회를 제공하는 다양한GSMA 및 협력사 프로그램도 진행하였다. 이 교육 프로그램은 디지털 커머스, 디지털 헬스(digital health), 게임, 혁신, 사물인터넷, LTE 및 차세대 네트워크, 모바일 엔터테인먼트, 소매시장, 스마트 시티(smart cities) 이외에 다양한 부문에 중점을 두고 진행되었다.

모바일을 통한 선도 기업 공개행사(Showcase)

2015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 전시회는 알카텔-루슨트 상하이 벨(Alcatel-Lucent Shanghai Bell), 알리바바(Alibaba), 보쉬 지멘스 가전(BSH, Bosh Siemens Home), 차이나 모바일, 차이나 텔레콤, 차이나 유니콤, 화웨이, 케이티(KT Corporation), 레노버(Lenovo), 중국 르티비(LeTV), 미구(Migu), 노키아, SK 텔레콤, 비자(Visa), 중국 네트워크 솔루션 기업 ZTE 등을 포함한 관련 업계뿐만 아니라 모바일 생태계 관련 기업들이 참석했으며 14개 전세계 모바일 기업 하이라이트 전시장도 제공하였다.

이로써 GSMA 혁신도시는 상하이에서 3년만에 모바일 기술이 전세계 글로벌 시민의 삶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능형 모바일(intelligent mobile) 관련 제품 및 서비스로 가득한 실생활 도시 환경을 제시했다. GSMA 혁신도시에 방문한 1만 2000명 이상의 관람객들은 모바일 생활을 실현하는 커넥티드 리빙(Connected Living), 디지털 커머스, 개인 정보 및 네트워크 2020 등 GSMA의 중추 산업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화웨이, IBM, 케이티(KT), 필(Peel), 피타소프트(Pittasoft), Oral-B, 퀄컴(Qualcomm Incorporated), 씬 필름 전자(Thin Film Electronics ASA) 및 Visa 등의 협력사 쌍방향 제품 시연을 경험하였다.

모바일과 게임을 접목한 세계 최대 e스포츠 기업인 ESL(Electronic Sports League)이 한국과 중국 최고의 게임 스타들을 초청하여 워크래프트 III(Warcraft III) 준결승전 단체전을 주최했다. 3일 내내 약 5000명의 관람객들이 상하이 신국제전시센터(SNIEC) ESL 경기장을 방문했고, 7월 17일 금요일에 벌어진 결승전에서는 실시간 온라인 시청자를 포함한 전세계 약 75만 명이 게임을 시청했다. 전시회 하이라이트는 기기 시연, 제품 발표, 테크 무한 패션쇼(the Tech Unlimited Fashion Show), 쇼케이스 대담(Showcase Dialogues), 모바일 기기 무한 쇼케이스(Device Unlimited Showcase) 등 최신 모바일 기기 및 제품을 선보인 쇼케이스 무대였다.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 탄소 중립(Carbon Neutral) 인증

GSMA는 국제적으로 인증된 영국표준협회(BSI) 국제표준규격인 PAS(Publicly Available Specification) 2060 표준에 따른 탄소 중립 인증 과정 중에 있다. GSMA는 탄소 배출 제로(carbon neutrality)를 달성하기 위해 상하이 월드 모바일 콩그레스의 탄소 배출량(carbon footprint)을 감소시키기 위한 조치에 들어갔고 이에 따라 잔여 배출물 상쇄를 위한 탄소 배출권(carbon credit)을 구매할 계획이다. GSMA가 구매한 탄소 배출권은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이 인증한 여러 탄소배출(CER) 프로젝트에 사용될 예정이다.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 공식 파트너사

차이나 모바일과 화웨이는 플래티넘 파트너(Platinum Partners)이며, 전략적 파트너로는 중국 이동통신협회(CMCA)와 상하이 TD-LTE 산업기술혁신전략연합(SCIA)이 있으며, 공식 협력 언론사로는 블룸버그(Bloomberg Media), 중국 IT 정보 사이트인 C114, 미국 경제뉴스 전문방송사 CNBC, 모바일 월드 라이브 TV(Mobile World Live) 및 텐센트 온라인 미디어 그룹 산하 기술 채널(Technology Channel) 등이 있다.

존 호프먼 GSMA CEO는 “중국 정부 당국과 상하이시, 플래티넘 파트너사인 차이나 모바일과 화웨이, 전시 출품사, 후원사, 협력사 및 관람객 등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의 성공적 개최에 도움을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린다”고 소감을 전하며, “2015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의 성공으로 벌써부터 내년에 다가올 상하이 행사가 기대된다”고 전했다.

2016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는 2016년 6월 27일부터 시작되는 주간에 개최될 예정이다.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의 신문 보도와 하이라이트 영상물은 다음의 모바일 월드 라이브(Mobile World Live) 사이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http://www.mobileworldlive.com/mobile-world-congress-shanghai-2015.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의 기조 발표문 역시 모바일 월드 라이브를 통해 시청할 수 있다.

각주

[1] 이 수치는 행사 참가자가 아닌 대표단, 전시회 출품 관계자, 기업 및 언론 매체 등을 포함한 행사 참석 인원을 말한다.
[2] 상하이 디지털 정보 페스티벌이 제공한 전시 참여 정보.

GSMA 소개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는 세계 모바일 사업자의 이익을 대표한다. GSMA는 광의의 모바일 생태계에 속한 250여개 업체를 포함해 800개에 육박하는 모바일 사업자를 하나로 묶고 있다. 단말기 및 기기 제조사, 소프트웨어 기업, 장비 공급사, 인터넷 기업은 물론 인접 산업 분야 기관들이 GSMA와 함께 하고 있다. GSMA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obile World Congress),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 모바일 360 시리즈 컨퍼런스 등 업계 선도적인 행사를 주최하고 있다. 상세 정보는 GSMA 웹사이트(www.gsma.com)와 트위터: @GSMA에서 볼 수 있다.

비즈니스와이어(businesswire.com) 원문 보기: http://www.businesswire.com/news/home/20150722005078/en/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웹사이트: http://www.gsma.com

연락처

GSMA 홍보대행
브렌다 부(Brenda Bu)(베이징)
+8610 8569 9928
bbu@webershandwick.com

비비엔 우(Vivienne Wu)(베이징)
+8610 8569 2395
vwu3@webershandwick.com

아바 라우(Ava Lau)(홍콩)
+852 2533 9928
alau@webershandwick.com

GSMA 홍보실
pressoffice@gsm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