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업계, 1.1조 규모 사물인터넷 기회 혜택 위해 ‘GSMA 임베디드 SIM 규격’ 준수
인도삿, 텔레2, 텔레포니카 | 비보 등의 모바일 사업자, 최근 상용 솔루션 출시…전세계 M2M 연결의 75%가 GSMA 임베디드 SIM 규격 기반한 서비스
.
알렉스 싱클레어(Alex Sinclair) GSMA 임시사무총장 겸 최고기술책임자는 “모바일 사업자들이 스마트 미터, 교통신호, 홈시큐리티 등 광범위한 서비스를 위해 확장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으며 안전한 연결을 제공할 수 있게 해주는 이러한 글로벌 표준에 모든 업계가 단합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며 “현재 상용 솔루션이 이미 출시된 상황에서 더 많은 사업자들과 생태계 구성업체들이 이 규격을 채택함으로써 IoT를 사용해 포착할 수 있는 엄청난 시장기회를 놓치지 않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GSMA 인텔리전스(GSMA Intelligence) 연구에 의하면, 전세계 M2M 연결의 약 75%[3]가 현재 GSMA 솔루션을 배포 또는 제휴한 모바일 사업자들에 의해 제공되고 있으며, 이는 이 규격의 강점을 규명하는 증거이기도 하다. 분석전문업체인 머시나 리서치(Machina Research) 역시 최근 발행한 보고서에서 2020년경[4] 임베디드 SIM 연결이 추가되는 전체 이동기기 중 임베디드 점유율 25%를 차지할 것으로 확신한 바 있다.
프로필 상호운용성 및 테스트 규격 업데이트
최근 공개된 GSMA 임베디드 SIM 규격은 사업자가 제조업체와 상관없이 조건을 준수하는 모든 eUICC에 다운로드 할 수 있는 SIM 프로필을 만들 수 있도록 ‘프로필 상호운용성(Profile Interoperability)’ 기능을 포함한다. 이 기능은 사업자들이 더 많은 M2M 기기들을 간편하게 연결하게 해줌으로써 시장 진출이 용이하고 분열을 줄이고 원조 장비 제조업체들과 M2M 서비스 제공업체들에게 추가적인 상업적 유연성을 제공한다. GSMA는 또한 제품들이 알맞은 보안 수준을 갖추고 GSMA 임베디드 SIM 규격을 준수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새로운 테스트 규격을 공개했다.
모바일 360 시리즈 컨퍼런스에서 GSMA 임베디드 SIM 논의
GSMA의 커넥티드 리빙 프로그램(Connected Living Programme)은 2015년 4분기에 케이프타운, 두바이, 애틀랜타, 브뤼셀에서 진행되는 GSMA 모바일 360 시리즈(GSMA Mobile 360 Series) 행사들에 참가한다. 워크숍, 패널 토론, 기조 프레젠테이션 등을 통해, 커넥티드 리빙 팀은 GSMA 임베디드 SIM 규격 채택과 저전력 광역 네트워크와 IoT 네트워크 보안 개발 등에 대해 토론할 계획이다. 모바일 360 시리즈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www.mobile360series.com/ 참조.
GSMA 임베디드 SIM에 대한 자세한 정보: http://www.gsma.com/connectedliving/connected-living-mobilising-the-internet-of-things/.
참고사항
[1] 상용 솔루션을 출시한 업체들: AT&T, 벨 캐나다(Bell Canada), 에티살랏(Etisalat), 인도삿(Indosat), NTT 도코모(NTT Docomo), 오렌지(Orange), 텔레2(Tele2), 텔레포니카 | 비보(Telefonica | Vivo), 텔레포니카 그룹(Telefonica Group), 텔리아소네라(Teliasonera), 보다폰(Vodafone)
[2] 머시나 리서치 (https://machinaresearch.com/)
[3] GSMA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2015년 2분기 기준으로 GSMA 임베디드 SIM 규격을 론칭한 모든 사업자들의 휴대 M2M 연결은 2억7300만 건에 이르고 이는 전세계 전체 휴대 M2M 연결의 75%에 해당한다.
[4] 머시나 리서치 (https://machinaresearch.com/)
GSMA 소개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는 세계 모바일 사업자의 이익을 대표한다. GSMA는 광의의 모바일 생태계에 속한 250여개 업체를 포함해 800개에 육박하는 모바일 사업자를 하나로 묶고 있다. 단말기 및 기기 제조사, 소프트웨어 기업, 장비 공급사, 인터넷 기업은 물론 인접 산업 분야 기관들이 GSMA와 함께 하고 있다. GSMA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obile World Congress),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 모바일 360 시리즈 컨퍼런스 등 업계 선도적인 행사를 주최하고 있다.
상세 정보는 GSMA 웹사이트(www.gsma.com)와 트위터: @GSMA에서 볼 수 있다.
비즈니스 와이어 (businesswire.com) 원문 보기: http://www.businesswire.com/news/home/20151007005533/en/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웹사이트: http://www.gsma.com
연락처
GSMA 홍보대행
찰리 메레디스-하디(Charlie Meredith-Hardy)
+44 7917 298428
CMeredith-Hardy@webershandwick.com
GSMA 홍보실
pressoffice@gsm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