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도 평가기준 세분화한 하천 퇴적물 오염평가 개정안 시행
개정된 기준은 우리나라 수생태계 환경이 반영된 평가기준을 하천과 호소로 나누어 유기물, 영양염류(완전연소가능량, 총질소, 총인) 3종, 금속류(구리, 납, 니켈(신규), 비소, 수은, 아연, 카드뮴, 크롬) 8종 등 11개 항목별로 세분화하고 4등급(Ⅰ~Ⅳ)으로 평가하고 있다.
또한 항목별 평가결과에 따라 오염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퇴적물의 지점별 평가기준을 보통, 약간 나쁨, 나쁨, 매우 나쁨 등 4단계로 평가하도록 했다.
기준치는 퇴적물의 지질학적 특성, 국내 환경에서의 오염물질이 저서생물에 미치는 영향 등을 조사해 설정했다.
개정된 평가기준은 향후 오염된 퇴적물을 선별하여 준설과 같은 정화 조치의 필요성이 있는지 판단하는 데 활용될 예정이다.
일반적으로 퇴적물에는 유기물, 영양염류, 금속류 등 다양한 오염물질이 축적돼 장기간 수질과 수생태계를 오염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이에 국립환경과학원은 퇴적물의 오염도를 과학적으로 평가하는 기준이 필요함에 따라 2011년부터 퇴적물 오염평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허인애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공학연구과 연구관은 “이번 평가기준 개정을 통해 퇴적물 오염도 평가의 신뢰성과 객관성이 한층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개정된 ‘하천·호소 퇴적물 오염평가 기준’의 세부 내용은 국립환경과학원 누리집(www.nier.go.kr) 내 ‘정보마당→법령정보→예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웹사이트: http://www.nier.go.kr
연락처
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공학연구과
허인애
032-560-7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