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MA, 글로벌 저전력 장거리 통신 기술(LPWA) 시장 위한 모바일 업계 기술표준 합의 환영

3GPP, NB-IoT LPWA 기술 표준 동의∙∙∙2016년 상용 구축 개시와 함께 파일럿 및 오픈 랩 테스팅 진행

뉴스 제공
GSMA
2015-12-18 15:25
런던--(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모바일 업계가 떠오르는 저전력 장거리 통신 기술(Low Power Wide Area, 약칭 LPWA) 시장을 위한 기술 표준에 합의했으며 3GPP가 이들 표준을 승인했다고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가 오늘 발표했다. 협대역 IoT(NB-IoT), 수신범위 확대 GPRS(EC-GPRS), LTE-MTC(Machine Type Communication) 공동표준에 대한 업계 협력은 마키나리서치(Machina Research[1])가 2020년께 약 5890억 달러에 달해 사물지능통신(M2M) 시장의 약 47%를 차지할 것으로 추정한 이 시장에서 통신 사업자와 그 생태계 파트너가 기회를 포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게 된다. 3GPP 릴리즈13(Release 13)에 포함될 이들 보완 기술은 허가 받은 주파수를 통해 제공되며 모든 LPWA 사용 케이스를 아울러 소비자 선택권을 확보하고 사물인터넷(IoT) 시장 활성화를 지원하게 된다.

세계 주요 모바일 사업자 27개사,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업체, 칩셋, 모듈 및 인프라 업체가 지지하고 있는 GSMA의 ‘모바일 IoT 이니셔티브’(Mobile IoT Initiative[2])는 LPWA 솔루션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해 힘을 쏟고 있으며 올 연말 완전 상용 솔루션 가동과 더불어 2016년 초 복수의 글로벌 파일럿 프로그램을 수행할 예정이다. GSMA는 또한 1월 18~22일 3GPP 특별 실무회의도 주최한다.

알렉스 싱클레어(Alex Sinclair) GSMA사무총장 대행 겸 최고기술책임자는 “이는 통신사업자가 기존의 고품질 매니지드 네트워크와 서비스 플랫폼 및 세계적인 고객 관리 능력을 확장함으로써 업계 표준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한 중요한 진전”이라며 “저전력 장거리 통신 기술 시장은 사물인터넷의 고성장 분야로 발달 과정에서 막대한 기회를 제시한다”고 말했다. 이어 “공동의 글로벌 비전으로 분절화를 제거하고 산업 표준 솔루션 가용성에 속도를 내며 시장 잠재력을 십분 발휘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NB-IoT 포럼/오픈 IoT 랩

최근 발표된 NB-IoT 포럼(NB-IoT Forum[3])의 회원사들은 이를 GSMA의 ‘모바일 IoT 이니셔티브’의 일부로 편재하고 NB-IoT 기술을 위한 글로벌 생태계 육성에 주력한다는 데 합의했다. 포럼의 핵심 축은 ‘오픈 IoT 랩’(Open IoT Labs) 설립이다. 모든 통신 사업자, 모듈 벤더 또는 애플리케이션 업체에게 제공될 이 랩은 LPWA 기술의 상용화 개발 및 가속화를 촉진하고 다양한 수직산업에 대한 기업의 NB-IoT 지원 기기와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독려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 랩은 또한 엔드 투 엔드 및 상호운용 테스트 기회도 제공하게 된다.

루크 이벳슨(Luke Ibbetson) 보다폰그룹(Vodafone Group) 연구개발 이사/NB-IoT 포럼 회장은 “이는 중대한 전기로 3GPP가 이 기술에 대한 합의에 도달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NB-IoT 포럼은 업계의 엔드-투-엔드 생태계를 구축하고 전 세계에서 막강한 새로운 가능성을 가동할 준비를 지원하게 된다”고 밝혔다.

GSMA ‘모바일 IoT 이니셔티브’

‘모바일 IoT 이니셔티브’(Mobile IoT Initiative)는 허가 받은 주파수에서 LPWA 솔루션을 상용 제공하는 데 속도를 내고자 고안됐다. LPWA 네트워크는 데이터 전송률이 낮고 오랜 배터리 수명을 요하며 종종 원거리 지역에서 오랜 시간 무인 상태로 운영되는 M2M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만들어졌다.

LPWA 네트워크는 산업용 자산 추적, 안전 감시, 용수 및 가스 계측, 스마트 그리드, 도시 주차, 자판기, 거리 조명 등 광범위한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이 기술은 사람 또는 애완동물 위치 추적기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 연결에도 사용될 수 있다. LPWA 모듈은 비용이 적을 뿐만 아니라 연결 비용도 저렴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는 시장 발전에 기여할 전망이다. IoT 애플리케이션은 요구사항이 다양해 단일 기술로는 모든 LPWA 사용 사례에 대처할 수 없다. 이는 이 이니셔티브가 3개의 보완적 3GPP 인가 표준에 주력해온 이유기도 하다.

각주

[1] 미국 달러 기준(2011년) 연결이 LPWA 기술에 적합하거나 적용할 수 있게 될 M2M 시장의 실질 가치

[2] GSMA의 ‘모바일 IoT 이니셔티브’는 AT&T, 알카텔-루슨트(Alcatel-Lucent), 벨 캐나다(Bell Canada), 차이나 모바일(China Mobile), 차이나 텔레콤(China Telecom), 차이나 유니콤(China Unicom), 도이치텔레콤(Deutsche Telekom), 에릭슨(Ericsson), 에티살라트(Etisalat), 화웨이(Huawei), 젬알토(Gemalto), 인텔(Intel), KDDI, 노키아(Nokia), NTT도코모(NTT DOCOMO), 오버츄어 테크놀로지스(Oberthur Technologies), 오레두(Ooredoo), 오렌지(Orange), 퀄컴 인코퍼레이티드(Qualcomm Incorporated), 시에라 와이어리스(Sierra Wireless), 싱텔(Singtel), 텔레콤 이탈리아(Telecom Italia), 텔레포니카(Telefonica), 텔레노어(Telenor), 텔스트라(Telstra), 유-블록스(u-blox), 버라이존 와이어리스(Verizon Wireless), 보다폰(Vodafone) 등 업계 핵심 주자가 지원하고 있다.

[3] NB-IoT 포럼은 차이나 모바일, 차이나 유니콤, 에릭슨, 에티살라트, GSMA, GTI, 화웨이, 인텔, LG유플러스, 노키아, 오버츄어 테크놀로지스, 퀄컴 인코퍼레이티드, 텔레콤 이탈리아, 텔레포니카, 보다폰 등 업계 핵심 주자가 지원하고 있다.

GSMA 소개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는 세계 모바일 사업자의 이익을 대표한다. GSMA는 광의의 모바일 생태계에 속한 250여개 업체를 포함해 800개에 육박하는 모바일 사업자를 하나로 묶고 있다. 단말기 및 기기 제조사, 소프트웨어 기업, 장비 공급사, 인터넷 기업은 물론 인접 산업 분야 기관들이 GSMA와 함께 하고 있다. GSMA는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obile World Congress),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상하이, 모바일 360 시리즈 컨퍼런스 등 업계 선도적인 행사를 주최하고 있다.

상세 정보는 GSMA 웹사이트(www.gsma.com)와 트위터 @GSMA 에서 볼 수 있다.

비즈니스 와이어(businesswire.com) 원문 보기: http://www.businesswire.com/news/home/20151217005265/en/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웹사이트: http://www.gsma.com

연락처

GSMA 홍보대행
찰리 메레디스-하디(Charlie Meredith-Hardy)
+44 7917 298428
CMeredith-Hardy@webershandwick.com

GSMA 홍보실
pressoffice@gsma.com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