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지자체, ’16년 농식품 수출확대계획 공유
수출 비상점검 TF는 정부, 지자체와 농진청·산림청 등과의 협업을 통한 수출확대를 위해 ‘15년 7월 구성되었으며,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실장을 팀장으로, 9개도와 농진청·산림청의 농식품 수출 업무 담당 국장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16년 들어 처음으로 개최된 금번 회의에서는 각 기관들의 ’16년 농식품 수출확대 계획과 중점 추진방향에 대해 공유하고, 기관간 협업을 통해 각 사업의 시너지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경기도는 인니·말련 등 주요 할랄 관련 국가 대상 판촉전을 개최하고, 안성과수농협 APC·고양선인장작목회 등에 대해 시설개선·물류 지원 등을 강화할 예정이다.
강원도는 해외 상설매장(미국, 캐나다) 운영을 활성화하고, 도내 수출기업 협의체를 지속 육성해 나갈 계획이다.
충청북도는 해외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를 개최하고 중국·이슬람권 시장 공략 및 유기농식품 수출기반 구축을 위한 마케팅을 강화한다.
충청남도는 인삼에 대해 말련, 홍콩, 베이징 등 주력시장을 집중 공략하고, 6차산업 제품을 중심으로 수출유망상품을 지속 발굴한다.
전라북도는 쌀, 삼계탕(중국), 딸기(동남아) 등에 대한 해외 홍보·판촉을 강화하고, 플로리스트 초청 꽃꽂이 시연회 개최 등 화훼류 수출을 지원한다.
전라남도는 수출기업의 자금지원을 위해 수출기업 특례보증, 수출보험지원을 강화하고, 중국 통관애로 해소를 위한 매뉴얼을 제작, 배포한다.
경상북도는 품목별 ‘수출 진흥기금’ 운용을 통해 전략품목들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수출현장 간담회를 통해 현장 애로 해소를 추진한다.
경상남도는 우수 가공식품 수출기반 마련을 위한 시설지원을 확대하고, 가공 수출전문업체 육성과 국가별 맞춤형 마케팅으로 해외시장을 개척한다.
제주특별자치도는 한중 FTA를 활용한 대중수출확대 및 일본시장 회복을 위해 中 바이어 초청 행사, 日 현지 판촉(BUY-JEJU) 등을 추진한다.
회의를 주재한 이준원 식품산업정책실장은 “'16년 1월말 기준 국가 전체 수출액이 전년동기 대비 18% 이상 감소하고, 농식품 분야도 6% 가량 감소하는 등 국가 전체적으로 수출이 비상상황임”을 강조하며, “어려운 여건하에서도 수출확대를 이루어내기 위해서는 농식품부, 농진청, 산림청 등 유관기관뿐만 아니라, 지자체도 함께 목표를 공유하고 협업을 통해 효율을 극대화 해야만 한다”고 말했다.
웹사이트: http://www.mafra.go.kr
연락처
농림축산식품부
수출진흥과
유재형 사무관
044-201-2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