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디지털/IEEE/슈나이더 일렉트릭, 오픈포그 컨소시엄 이사회 참여

IEEE, 일본 국가 팀, 17개 신입 회원사 및 신규 실무그룹 협력해 범세계적 규모로 포그 컴퓨팅 이니셔티브 확대

프레몬트, 캘리포니아--(Business Wire / 뉴스와이어)--오픈포그 컨소시엄(OpenFog Consortium, 이하 오픈포그)이 국제전기전자공학회(Th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약칭 IEEE)와 제휴했다고 밝혔다. 또한 GE디지털(GE Digital), IEEE, 슈나이더일레트릭(Schneider Electric)의 이사회 합류와 17개 회원의 신규 참여, 일본의 최초 국가 팀 가세 등 컨소시엄의 급속한 성장과 포그 컴퓨팅에 대한 시장의 관심을 반영하는 새로운 소식도 발표했다. 신입 회원사는 포그 컴퓨팅 연구와 기술 분야의 선도 기업으로 포그 컴퓨팅(fog computing)용 오픈 레퍼런스 아키텍처를 구축하고자 하는 오픈포그의 작업을 지원하게 된다. 포그 컴퓨팅은 엔드-투-엔드 사물인터넷(IoT) 솔루션의 엣지(edge: 원격지)에서 인텔리전스를 제공한다.

GE디지털과 IEEE,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즉각 오픈포그 이사회(Board of Directors)에서 활동하게 된다. 그레그 페트로프(Greg Petroff) GE디지털 최고경험책임자, 파스칼 브로셋(Pascal Brosset) 슈나이더 일렉트릭 글로벌 솔루션 전략/기술 담당 선임 부사장, 더글러스 N 주커만(Douglas N. Zuckerman) IEEE 통신학회 전 회장(박사) 겸 IEEE 평생회원, 러셀 싱(Russell Hsing) 대만 국립교통대학(National Chiao Tung University) 학장이 이사회 신임 위원으로 참여했다.

파스칼 브로셋 슈나이더 일렉트릭 글로벌 솔루션 전략/기술 담당 선임 부사장은 “올바른 표준으로 지원되는 클라우드-투-엣지(cloud to edge)부터 디바이스 통합과 상호 운용성은 산업용 IoT의 막대한 잠재력을 현실화할 열쇠”라고 강조하고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오픈포그 컨소시엄 합류로 자동화 아키텍처의 중심부에서 IT/OT 간극을 좁히기 위해 오픈 네트워킹 표준을 선구적으로 도입한 것과 발맞춰 표준 개발과 도입 노력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레그 페트 GE디지털 최고경험책임자는 “폐쇄적인 기술 사일로의 장벽을 허물고 다양한 아키텍처 노력을 효과적인 통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은 산업용 인터넷을 발전시키는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오픈포그 컨소시엄과의 협력이 표준 관련 커뮤니티 통합에 도움이 되리라 본다”며 “이로써 세계에서 가장 어려운 도전을 해결하는 데 힘을 모으는 작업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오픈포그는 IEEE 산하 통신 학회(Communications Society)를 통해 IEEE와 새로 전략적 제휴를 맺음으로써 포그 네트워킹 콘셉트와 아키텍처를 공동 개발, 공동 홍보하고 마케팅, 교육, 표준 관련 이니셔티브에서 협력하게 됐다. 하비 A 프리먼(Harvey A. Freeman) IEEE 통신학회 회장은 “IEEE와 오픈포그의 협정 체결로 중요 기술 분야 성장을 촉진하는 활동에서 IEEE가 보다 적극적으로 산업에 참여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IEEE는 인류를 위한 기술을 발전시키는 세계 최대의 전문기관이다.

헬더 안투네스(Helder Antunes) 오픈포그 컨소시엄 회장은 “IEEE와 맺은 이번 협력 협정이 포그 기술의 일대 발전으로 이어질 풍부한 기술과 경험을 가져다 줄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는 “오픈 아키텍처 확립과 더불어 산업 혁명을 주도할 우수사례 교육이라는 목표에 더욱 신속히 다가갈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일본에서는 최초의 오픈포그 국가 팀이 출범했다. 아시아 최초로 오픈포그 기여 회원(contributing member)이 된 사쿠라 인터넷(SAKURA Internet)은 일본 내 IoT 시나리오 성장 촉진과 일본 내 미래 테스트베드 주도 등 두가지 혁신 분야의 좌장을 맡는다. 이 팀에 함께 하는 그 밖의 오픈포그 회원사는 ARM, 시스코(Cisco), 델(Dell), 후지쓰(Fujitsu), 인텔(Intel),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도시바(Toshiba) 등이다. 오픈포그 지역 팀은 현지 시간, 현지 언어를 기반으로 회동하며 로봇공학과 같은 핵심적인 지역 이니셔티브에 초점을 맞춘다.

제프 페더스(Jeff Fedders) 오픈포그 컨소시엄 회장은 “업계는 IoT 변화와 아키텍처의 새로운 지평을 정의하는 데 앞장서기 위해 오픈포그를 적극 수용하고 있다”며 “새 이사회 위원인 IEEE, 슈나이더 일렉트릭, GE디지털은 우리가 이 같은 방향으로 발 빠르게 나아가도록 도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일본의 혁신적인 이해관계자를 신입 회원으로 맞게 돼 기대가 크다”며 “최근 설립된 우리의 일본 국가위원회(Japan Country Committee)를 지원하는 아시아 최초의 기여 회원 사쿠라 인터넷과 더불어 도시바와 후지쓰가 새로운 영향 멤버(influencing members)로 참여하게 됐다”고 소개했다. 페더스 회장은 “IoT 업계 선도 기업인 이들 기업이 산업 자동화, 로봇공학, 머신러닝 분야의 전문 기술로 포그 아키텍처 정의에 기여해 주리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쿠라 인터넷(SAKURA Internet)의 오가사하라 오사무(Osamu Ogasahara)는 “포그 컴퓨팅은 인터넷과 컴퓨팅 능력으로 창출되는 가치를 획기적으로 제고할 혁신이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오픈포그 컨소시엄 내 이니셔티브는 이 혁신을 구현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사쿠라 인터넷은 인터넷 인프라에 계속 초점을 맞추면서 미래 데이터 시장 표준화와 같은 새로운 모델 개발에 기여하고자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픈포그 실무그룹은 포그 컴퓨팅을 위한 개방형 상호 운용 아키텍처 개발에 박차를 가하는 한편, 클라우드부터 사물을 아울러 컴퓨터 사용, 네트워킹, 저장 및 제어 자원 및 서비스 배포에 초점을 맞추게 된다. 이 컨소시엄은 ‘오픈포그 아키텍처 백서’(OpenFog architecture white paper) 발간의 후속 작업으로 통신, 보안, 테스트베드, 관리 용이성, 소프트웨어 인프라 분야의 포그 컴퓨팅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무그룹을 추가로 결성했다.

이 작업에는 신규 기여 회원사인 GE디지털, 사쿠라 인터넷(SAKURA Internet), 슈나이더 일렉트릭이 참여한다. 그 밖의 신규 회원사는 애리조나 주립대학교(Arizona State University), 포그혼 시스템즈(FogHorn Systems), 후지쓰(Fujitsu), 조지아주립대학교(Georgia State University(, MARSEC Inc., 대만 국립교통대학교, 네비올로 테크놀로지스(Nebbiolo Technologies), 프리즘테크(PrismTech), 리얼타임 이노베이션(Real-Time Innovations), 스티븐 로우(Steven Low)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박사, 스티흐팅 imec 네덜란드(Stichting imec Nederland), 도시바(Toshiba), 반더빌트 대학교(Vanderbilt University), 웨인대학교(Wayne University) 등이다.

차기 오픈포그 회의(meeting)는 5월17~18일 뉴저지주 프린스턴에 위치한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개최된다. 기조 연설에는 데니스 스트리글(Dennis Strigl) 전 버라이존 커뮤니케이션즈(Verizon Communications) 사장 겸 최고운영책임자, 미국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 국가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 미국 공군연구소(U.S. Airforce Research Laboratory) 관계자, 학계 저명 연구자들이 나선다.

오픈포그(OpenFog) 개요

ARM, 시스코(Cisco), 델(Dell), 인텔(Intel),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프린스턴대학교(Princeton University)가 2015년 11월 결성한 ‘오픈포그 컨소시엄’(OpenFog Consortium)은 포그 컴퓨팅 기술 및 개발의 선도적 사상가와 개척자를 대표하는 글로벌 회원 단체다. 자세한 정보는 웹사이트(www.openfogconsortium.org )나 트위터(@openfog)에서 확인할 수 있다.

비즈니스 와이어(businesswire.com) 원문 보기: http://www.businesswire.com/news/home/20160412005906/en/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오픈포그 아키텍처 백서: http://goo.gl/1mipmj

웹사이트: http://www.openfogconsortium.org

연락처

오픈포그 컨소시엄(OpenFog Consortium)
제니퍼 쿠퍼만(Jennifer Kupferman)
510-492-4027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