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 ‘통일연구네트워크’ 구축…22일 국제학술대회 개최
통일-남북교류 교내 학술기관 연계
22일 ‘남북협력의 과제와 미래’ 국제학술대회
건국대 통일연구네트워크에는 건국대 통일인문학연구단, 북한 축산연구소, 이주 사회통합 연구소, 아시아디아스포라 연구소, 법학연구소, 동화와 번역연구소, 전략산업연구회, 뷰티디자인전공 등 8개 연구소와 학과가 참여한다.
건국대 통일연구네트워크는 첫 학술행사로 건국대 개교 70주년을 기념해 오는 22일 교내 새천년관과 해봉부동산학관에서 ‘포스트 통일, 남북협력의 과제와 미래’를 주제로 ‘2016 통일연구네트워크 국제학술대회’를 연다. 건국대는 이같은 학문간 경계를 넘어 통일과 남북 교류 관련 대규모 학술 교류와 융복합 연구를 통해 통일 한반도 시대를 능동적으로 준비하는 선도적 역할을 해나가기로 했다.
이번 학술대회는 △통일인문학 분과 ‘코리언의 정서적 통합 방안’ △축산 분과 ‘통일 이후의 한반도 축산의 발전 전략’ △디아스포라 분과 ‘통일과 디아스포라’ △법제협력 분과 ‘남북 법제의 현재와 통일 이후의 법제적 모색’ △에너지 분과 ‘북한 에너지 문제와 남북의 에너지 협력 방안’ △아동문학 분과 ‘남북한 아동문학과 통일 시대의 전망’ △사회통합 분과 ‘통일 이후 사회통합의 방향’ △뷰티문화예술 ‘남북한 뷰티문화예술 동반성장’ 등 8개 분과별 주제로 나뉘어 총 28개의 연구발표가 진행된다.
국민대 안드레이 란코프 교수(러시아)와 영국 캠프리지대 권헌익 석좌교수의 ‘포스트 통일, 무엇을 준비할 것인가’를 주제로 한 기조 발표를 시작으로 2, 3부 분과별 발표와 토론에 이어 4부에는 다시 모여 건국대 김성민 인문학연구원장의 사회로 한국월드비전 양호승 회장, 통일준비위원회 사회문화분과 김성재 위원장, 이종석 전 통일부 장관 등이 대표 패널로 ‘리부팅 코리아, 어디에서 시작할 것인가’를 주제로 토론에 나선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통일 문제에 대한 각 분야의 연구 주제와 축적된 학술역량을 공유하고 포스트 통일을 염두에 둔 남북협력의 과제와 대응 방안을 모색한다.
건국대 김성민 통일인문학연구단장은 “통일 한반도는 먼 미래의 일이 아니라 지금 여기서 준비해야 할 현재적 과제”라며 “민족 사학 건국대학교는 통일과 남북교류와 관련한 학내외의 유기적 연구협력 시스템을 구축해 통일 한반도의 미래를 개척하는 선도적 역할을 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웹사이트: http://www.konkuk.ac.kr
연락처
건국대학교
홍보실
02-450-3131~2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