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노동·기업·금융 규제 10% 완화 시 성장률 1.5%p 상승’

韓규제수준, ’00년 6.26점→’13년 6.86점으로 14년간 0.6점 상승… 강도 높은 규제개혁 필요

노동규제 심할수록 상대적 취약계층인 청년층·장년층·여성 고용률 낮아져

규제개혁위원회 추진력 높이려면 위상 강화해야… 독립행정위원회로 개편 제안

서울--(뉴스와이어)--노동·기업·금융 규제수준을 10% 완화하면 경제성장률이 1.5% 포인트 증가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 원장 권태신)이 30일(목) 오후 2시30분 전경련 컨퍼런스센터에서‘한국경제 재도약을 위한 규제개혁 과제’세미나를 개최하고 이같이 밝혔다.

노동·기업·금융 규제 수준 10% 완화 시 경제성장률 1.5% 포인트 상승

발표자로 나선 최진욱 고려대 교수가 2001년부터 2014년까지 OECD 회원국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노동·기업·금융 규제수준을 10% 완화*할 경우 다음년도 경제성장률이 1.5% 포인트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규제수준을 10% 완화한다는 것은 10점 만점을 기준으로 1점을 높인다는 의미**다.

* 프레이저재단(Fraser Institute)에서 발표하는 세계경제자유지수(Economic Freedom of the World index)를 구성하는 항목(5개) 중 전체규제수준의 세부항목인 △노동시장규제, △금융시장 규제, △기업규제 지수를 활용해 연구

** 각 항목과 전체규제수준은 0에서 10까지의 값을 갖으며, 값이 낮을수록 규제의 정도가 심한 상황을 의미하고, 값이 높을수록 정부의 개입이 적은 상황을 의미함

최 교수는 “우리나라의 경우 노동·기업·금융규제수준이 2000년 6.26점에서 2013년 6.86점으로 14년 간 0.6점 상승했다”며, “그간 추세를 볼 때 규제수준을 한 단위 올리는 것이 쉽지 않은 만큼 피부에 와 닿는 경제성장을 이끌어내려면 보다 강도 높은 규제개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변양규 거시연구실장은 “고용보호와 같은 노동력 사용에 대한 규제가 심할수록 노동시장의 상대적 취약계층인 청년층과 장년층, 그리고 여성의 고용률은 상대적으로 낮아진다”고 주장했다. 변 실장은 또 “노동력 사용에 대한 규제가 높은 국가일수록 자영업자의 비중도 높다”며, “노동력 사용에 대한 직접적인 규제가 높을수록 임금근로자 일자리가 충분하지 못해 자영업자 비중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규제개혁위원회, 독립행정위원회로 개편해야

이종한 한국행정연구원 연구위원은 규제개혁위원회를 독립행정위원회로 개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재 규제개혁위원회는 민간 비상임위원으로 구성돼 있으며, 실질적인 업무는 국무조정실이 담당하고 있다. 이에 이 박사는 “규제개혁위원회가 이처럼 위상이 모호해 지속적인 규제개혁 추진이 사실상 어려운 구조”라며, “규제개혁위원회의 조직적 위상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또 위원회의 국회 참석과 보고의무를 부과해 국회와 긴밀한 협력관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현행 규제등록시스템은 규제판단과 등록단위 결정이 어려운 실정”이라며, “미국과 같이 규제법전 방식*으로 전환해 규제관리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 규제법전 : 미국에서는 행정부의 규칙제정만 규제로 판단하고 규칙제정에 따라 만들어진 규제는 일괄적으로 규제법전에 재편됨. 국회에서 만들어진 법률의 시행을 위해 만들어진 규칙을 규제분야별로 구분해 규제법전에 등록

한편 이광호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ICT 융합으로 혁신적인 제품이 개발되고 있지만 국내 규제체계와 글로벌 규제체계가 서로 달라 시장출시가 가로막히고 서비스개발이 지연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연구위원 “우리나라는 수출주도형 경제체제를 갖고 있기 때문에 국내 규제체계를 가능한 글로벌 규제체계와 조화시켜 국내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이끌어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웹사이트: http://www.keri.org

연락처

한국경제연구원
미래성장동력실
이병기
02-3771-0031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