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94.5% “퇴사충동 속에 일해”
취업포털 잡코리아(대표 윤병준)가 최근 직장인 1,139명을 대상으로 ‘퇴사충동을 느끼는 순간’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잡코리아 설문조사에서 직장인 94.5%가 근무 중 퇴사충동을 느껴본 적이 있다고 답했다. 성별, 결혼 여부, 자녀 유무 등 응답군에 따른 응답 차이는 크지 않았다. 상대적으로 퇴사충동을 많이 느꼈던 그룹은 ▲워킹대디(96.9%)와 ▲워킹맘(96.7%)이었으며, ▲자녀가 없는 기혼남성 그룹은 퇴사충동을 느꼈다는 비중이 86.0%로 전체 응답군 중 가장 낮아서 눈길을 끌었다.
그렇다면 직장인들은 언제 가장 퇴사충동을 느낄까? 잡코리아에 따르면 직장인들이 가장 퇴사충동을 느끼는 순간은 ‘낮은 급여, 나쁜 복리후생 등 열악한 근무환경을 깨달았을 때(30.9%)’였다. 이어 ‘상사, 동료, 부하직원과의 관계가 원만치 않을 때(16.4%)’, ‘일이 재미없고, 적성에 맞지 않을 때(13.9%)’가 나란히 퇴사충동을 느끼는 순간 2, 3위에 올랐다. ‘반복되는 야근, 격무에 시달릴 때(10.5%)’, ‘회사에 비전이 없다고 느낄 때(10.4%)’도 퇴사충동을 느끼는 순간 5위 안에 들었다.
퇴사충동 사유로 ‘박봉과 열악한 근무환경’을 1위로 꼽는 데는 대부분의 응답군에서 이견이 없었다. 다만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 즉 ▲워킹맘 그룹에서만 ‘박봉’이 퇴사충동 사유 3위로 밀려 눈길을 끌었다. 워킹맘들은 박봉보다는 ‘살림과 육아, 일을 병행하는 것이 힘에 부친다고 느낄 때(21.8%)’와 ‘아픈 아이, 어린 자녀를 두고 출근할 때(20.2%)’를 퇴사충동 순간 1, 2위에 꼽았다. 반면 ▲워킹대디 그룹에서는 ‘낮은 급여(27.3%)’와 ‘승진 누락, 나쁜 고과(18.2%)’가 퇴사충동을 느끼는 주요 이유로 꼽혔다.
또 똑같이 기혼인 경우에도 살림과 육아에 따른 스트레스가 퇴사충동으로 이어지는 비중은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즉 퇴사충동 사유로 ‘살림 및 육아, 일의 병행’을 꼽는 응답은 기혼 남성(2.6%)보다 기혼여성(17.8%)에게서 6.8배나 높게 나타났다.
이처럼 많은 직장인들이 퇴사충동을 느끼면서도 일을 하는 이유는 안타깝게도 ‘돈’이었다. 잡코리아에 따르면 퇴사충동을 느껴봤다고 답한 직장인의 47.6%가 ‘어쨌든 돈은 벌어야 하니까’를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을 계속하는 이유로 꼽았다. 퇴사충동 속에서도 직장생활을 계속하는 이유 2위는 ‘더 괜찮은 직장을 알지 못해서(17.8%)’가 차지했으며, ‘이직 기회를 잡지 못해서(16.8%)’가 그 뒤를 이었다. ‘일시적으로 드는 충동적인 생각일 뿐이라서’를 꼽는 응답은 12.2%에 그쳤다.
퇴사충동을 느낄 때 직장인 5명 중 2명은 이직을 준비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잡코리아가 직장인들에게 퇴사충동을 느낄 때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묻자 30.3%가 ‘채용공고를 찾아보는 등 적극적으로 이직을 준비한다’고 답했으며, 13.5%는 ‘기업이 열람할 수 있도록 이력서를 공개해 두는 등 소극적으로 이직을 준비한다’고 답했다. ‘사표를 던진다’고 답한 직장인은 1.4%에 그쳤다. 반면 견디고 마음을 추스르는 직장인도 적지 않았다. 조사에 참여한 직장인의 20.2%는 ‘가족을 생각하며 버틴다’고 답했고, ‘휴가나 여행 등 조금 쉬면서 마음을 재정비 한다(18.7%)’, ‘동료들과 회포를 풀며 잊는다(9.3%)’ 등의 응답도 적지 않았다.
웹사이트: http://www.jobkorea.co.kr
연락처
잡코리아
커뮤니케이션팀
현영은 과장
02-3466-5203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