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인사관리학회 공동 ‘능력중심 HR 브리프’ 발간
공정인사 지침의 현장 정착을 위한 길잡이
* 능력중심 HR 브리프 주요구성: 이달의 Focus, 기업 Story(평가제도 및 퇴직관리 사례), 인사노무관리 이슈분석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은 창간호 인사말에서 ‘공정인사 지침의 현장 적용을 위한 실천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기’라며,
‘기업은 관행화된 인력운영 시스템을 개편하려는 끊임없는 창조적 파괴를 추진하고, 근로자는 연공이라는 현실에 안주하기 보다는 능력과 성과에 따라 공정하게 보상을 받는 시스템의 도입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창간호에는 공정인사 정착을 위한 기업 개선사례가 다수 소개되었다.
권기욱 건국대학교 교수는 평가체계가 인력운영의 핵심이라며 최근 ‘월드클래스 300’에 가입한 자동차 차체부품 업체인 A기업을 소개하였다.
권 교수는 A기업에 대해 ‘기업의 전략·목표와 평가제도를 연계하고 직원들에게 기업이 기대하는 성과와 역량을 구체적으로 전달하여 기업과 직원이 서로 윈-윈하게 된 사례’라고 하였다.
< A기업의 평가 시스템 개편 >
1) 모든 직원에게 동일한 평가항목을 적용하던 것을 기업의 전략·목표와 개인 업무의 특성을 반영하여 평가지표를 구체화·정량화
2) 사무 관리직만을 대상으로 평가를 해오던 것을 현장 관리직까지 확대하고, 현장 관리직이 갖추어야 할 5개의 역량(평가기준)을 구체적으로 마련
3) 평가결과를 급여, 훈련, 배치전환과 연계하여 기업의 생산성 향상 등 도모
나동만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박사는 현재 성과 부진자에 대한 상시퇴출과 퇴직자지원이 미흡하다며, 이제는 노동조합도 기업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공정인사 차원에서 인력순환은 불가피하다는 점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였다.
나 박사는 코오롱인더스트리를 소개하며 퇴직관리제도를 개선하려는 국내 기업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는 것을 희망적인 신호로 보았다.
< 코오롱 인더스트리의 인력운영 개편 >
1) (평가) 평가의 공정성 확보를 위해 근로자의 태도, 능력, 업적을 기반으로 구체적인 평가기준을 마련하고, 평가결과와 보상·교육훈련을 연계
2) (보상) 연공급을 완화하고 성과 중심의 승진제도를 도입하여 근로자들의 동기부여 수준을 높임
3) (교육훈련) 직급별 기대역할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직원들의 능력향상을 도모하고, 성과가 부진한 근로자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마련
4) (퇴직관리) 희망퇴직제도에 그쳤던 퇴직관리 방식을 개선하여 전직지원 제도 도입. 주변 산학기관들과 연계하여 퇴직예정자 지원을 적극 검토
한편, 윤동열 울산대학교 교수는 ‘공정인사 지침에 따라 인사제도를 개편하기 위해 노력 중인 사업장이 78.3%에 달한다’며 최근 경총의 조사결과를 인용하면서 현장의 인력운영 개편 분위기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김기선 한국노동연구원 박사는 공정한 인사평가제도 확립이야말로 인력운영의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라고 하며, 평가의 공정성, 평가결과와 인사조치 사이의 균형을 핵심으로 강조하였다.
정부는 ‘능력중심 HR 브리프’를 기업 및 노사관계 전문가 등에게 배포하고(1천부), 웹진 형태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또한, 노사의 공정인사 지침 적용을 뒷받침하기 위해 전문인력을 활용한 컨설팅 지원을 강화하고, 우수사례를 확산하며 9월중 공정하고 합리적인 인사평가모델도 개발·보급할 계획이다.
웹사이트: http://www.moel.go.kr
연락처
고용노동부
고용노동부 근로기준정책과
사무관 최승훈
044-202-7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