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 '16.6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 발표

’16.5월 5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133천원으로 전년동월대비 2.9%(+88천원) 증가

월평균 총근로시간은 169.9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11.3시간(+7.1%) 증가

’16.6월 1인 이상 사업체의 종사자 수는 16,685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370천명(+2.3%) 증가

과천--(뉴스와이어)--고용노동부가 29일 16년 6월의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1. 근로실태 부문

(임금총액) ’16.5월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근로자(상용+임시·일용)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133천원으로 전년동월(3,045천원)대비 2.9%(+88천원) 증가

(종사상지위별) 상용직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313천원으로 전년동월(3,219천원)대비 2.9%(+94천원) 증가, 임시·일용직은 1,431천원으로 전년동월(1,399천원)대비 2.3%(+33천원) 증가

(규모별) 상용 5~300인 미만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2,886천원으로 전년동월대비 2.9%(+81천원) 증가, 상용 300인 이상은 4,124천원으로 0.6%(+23천원) 증가

(산업별) 월평균 임금총액이 많은 산업은 금융 및 보험업(5,367천원),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4,880천원) 순이며, 적은 산업은 숙박 및 음식점업(1,858천원),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1,998천원) 순

전년동월대비 임금상승률이 높은 산업은 예술,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7.8%), 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6.8%) 순이며, 낮은 산업은 교육서비스업(0.0%),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0.9%) 순

(근로시간) ’16.5월 상용 5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근로자(상용+임시·일용)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은 169.9시간으로 전년동월(158.6시간)대비 11.3시간(+7.1%) 증가

* 근로일수가 전년동월대비 1.4일이 증가함에 따라 근로시간이 증가

(종사상지위별) 상용근로자 1인당 월평균 총근로시간은 176.2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12.2시간(+7.4%) 증가하였고, 임시·일용근로자는 110.2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3.5시간(+3.3%) 증가

(규모별) 상용 5~300인 미만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총근로시간은 171.1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11.8시간(+7.4%) 증가, 상용 300인 이상은 165.0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9.9시간(+6.4%) 증가

(산업별)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총근로시간이 긴 산업은 부동산업 및 임대업(190.7시간), 제조업(184.6시간) 순이며, 근로시간이 짧은 산업은 교육서비스업(143.3시간), 건설업(146.7시간) 순

2. 고용부문 (잠정결과)

(종사자) ’16.6월 마지막 영업일 현재,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종사자 수는 16,685천명으로 전년동월(16,315천명)대비 370천명(+2.3%) 증가

(종사상지위별) 상용근로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387천명(+2.9%) 증가하고, 임시·일용근로자는 1천명(0.0%) 감소, 기타종사자는 16천명(-1.6%) 감소

(규모별) 상용근로자 300인 미만 사업체의 종사자 수는 전년동월(13,832천명)대비 342천명(+2.5%) 증가한 14,174천명, 300인 이상은 전년동월(2,483천명)대비 28천명(+1.1%) 증가한 2,511천명

(산업별) 산업별로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105천명, +7.9%), 도매 및 소매업(+78천명, +3.9%),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49천명, +5.4%) 등에서 주로 증가

산업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사회복지 서비스업(+59천명), 보건업(+46천명) 등이 증가하고,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16천명),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14천명) 등은 감소

(입·이직자) ’16.6월 중 입직자 수는 665천명으로 전년동월(642천명)대비 23천명(+3.5%) 증가, 이직자 수는 629천명으로 전년동월(637천명)대비 8천명(-1.3%) 감소

’16.6월 입직률은 4.2%로 전년동월대비 동일, 이직률은 4.0%로 전년동월대비 0.2%p 하락

(규모별) 상용 300인 미만 사업체의 입직자 수는 603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8천명(+3.1%) 증가, 이직자 수는 554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12천명(-2.1%) 감소

상용 300인 이상 사업체 입직자 수는 62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5천명(+8.6%) 증가하고, 이직자 수는 75천명으로 4천명(+5.3%) 증가

(산업별) ’16.6월 중 입직자가 많은 산업은 건설업(163천명), 제조업(105천명) 순이며, 이직자가 많은 산업도 건설업(142천명), 제조업(106천명) 순으로 나타남

전년동월대비 입·이직 등 노동이동이 확대된 산업은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입직 +13천명, 이직 +4천명), 숙박 및 음식점업(입직 +11천명, 이직 -2천명) 등이며, 노동이동이 축소된 산업은 건설업(입직 -13천명, 이직 +5천명), 운수업(입직 -1천명, 이직 -3천명) 등

* 산업별 노동이동은 (입직증감+이직증감)의 크기로 산정

웹사이트: http://www.moel.go.kr

연락처

고용노동부
노동시장조사과
정향숙사무관
044-202-7257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