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8차 세계화상대회(10.10~12, COEX) 개최
중국계 기업인(華商)은 중국·동남아·구미지역에서 2,500여명이 참가하며, 이같은 대규모의 華商들이 동시에 訪韓하기는 처음임
또한, 중국 전국중화공상업연합회 주석(정치협상회의 부주석), 홍콩 중화 총상회회장(홍콩 巨商 Henry Fok의 차남) 등 각국의 華商단체장과 중국 렌샹지주회사 회장 등 중국계 유력 CEO 등이 참석할 예정임
우리측에서는 국내화교 300여명과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POSCO, SK, LG 및 무역협회, 전경련 등 경제단체에서 200여 국내기업인이 참가하여 華商과 韓商간의 명실상부한 비즈니스 축제가 될 전망
정부는 9.27일 국무회의에서 동 대회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대회 준비상황 전반을 점검 (명예고문: 국무총리, 정부지원단장: 조환익 산자부 차관)
세계華商대회는 전세계 華人경제인의 교류와 협력을 위해 싱가포르 리콴유(李光耀) 前총리가 주창하여 ‘91년 싱가포르 대회를 시작으로 각국을 순회하며 2년마다 개최
최근에는 개최 규모가 확대되면서 개최국의 행정수반이 참석하여 국가 IR과 華商자본 투자유치 활동의 장으로 활용되고 있는 추세
‘03.1월 일본(고베), 마카오, 영국과의 치열한 유치경쟁 끝에 금번 제8차 서울대회를 유치하는데 성공
금번 대회를 한국이 개최하게 된 배경은 날로 영향력이 커져가는 전세계 華商에게 개방적이고 역동적인 한국의 이미지를 홍보하고 한·華商간의 무역·투자 협력을 강화하여 미래를 향한 전략적 동반자로 나아가는 한편, 한류 문화의 확산기회로 활용하기 위함임
최근 중국경제의 급성장, 중-ASEAN FTA 체결로 중국 본토와 동남아 화교경제권간 협력이 더욱 긴밀해지고 있어 전세계 華商과의 협력강화는 우리 기업에게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
중화경제권(중국, 홍콩, 대만)과 華商의 영향력이 큰 ASEAN은 향후 성장잠재력이 큰 19억 인구의 거대 시장이며, 한국은 이들 지역에서 약 390억불의 무역흑자를 기록하고 있어,
* ‘04년 무역흑자(억불) : 중국(201), 홍콩(146), 대만(25), 아세안(16)
‘먼저 친구가 된 후 비즈니스를 하는’ 중화권 商문화에 따라 전세계 華商들과 인적 교류를 강화할 경우 중국, ASEAN등과의 실질적인 무역·투자협력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
특히, 금번 대회를 계기로 ‘華商들이 비즈니스하기 어려운 나라’, ‘차이나타운이 없는 나라’ 등 화교들에 부정적인 한국 이미지를 쇄신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임
금번 대회는 국내에서 최초로 개최되는 대규모의 중국관련 국제행사인 점을 감안하여 韓·華商간 비즈니스 교류뿐 아니라 한류문화 체험을 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
IT포럼(10.10일)에는 최근 IBM을 인수한 롄샹그룹의 류찬즈 회장, 하이닉스(TFT-LCD부문)을 인수한 BOE그룹의 왕동셩 회장, 삼성전자 황창규 사장, LG전자 이희국 사장 등 IT업계의 거물이 참석하여 IT분야의 협력방안을 논의
한국투자설명회(10.10일)에는 9개 지자체 및 3개 경제자유구역청이 18개 역점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유치 활동을 전개함
또한, 1:1 비즈니스 상담회(10.10, 12일), 기업전시관 등을 통해 華商과 우리 기업들간의 실질적인 수출·기술협력·투자상담 등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임
아시아벤처기업 컨퍼런스(10.12일)에는 레인컴(아이리버)의 양덕준 사장, 아시아계 벤처캐피털인 WI Harper Group의 Peter Liu대표, Walden International의 Chua Kee Lock대표 등 韓·華商 벤처캐피털리스트가 한자리에 모임
韓·華商 리딩CEO포럼(10.12일)은 양측의 대표적인 CEO 20여명 모여, 21세기 韓·華商의 협력 및 동반성장 방안을 논의할 예정임
그 밖에도 CT·BT포럼(10.10일), 韓流전시관 운영(관광공사), 산업·문화시찰(10.11일) 등 한류문화 체험을 위한 기회가 주어지며, OECD 도날드 존스턴 사무총장, 이화여대 이어령 석좌교수 등이 명사강연(10.12일)을 할 예정
금번 華商대회에는 韓流 주역인 인기 연예인들과 화교출신 연예인 등이 대회행사에 참여함에 따라 중화권에 대한 문화관광홍보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
* 화상대회 참석 연예인(잠정) : 장나라, 이정현, 주현미, 윤도현, 주얼리, 안재형, 자오즈민, 인순이, 렉시, 다스림, 뿌리패 등
웹사이트: http://www.mke.go.kr
연락처
산업자원부 홍보담당관실 이춘호 02-2110-5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