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인구]
[ 총 인구 및 증감률 ]
2015년 11월 1일 기준 총 인구는 5,107만명, 인구밀도는 ㎢ 당 509명
2015년 11월 1일 기준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총 인구(외국인 포함)는 5,107만명으로 2010년 4,971만명에 비해 136만명(2.7%) 증가, 연평균 0.5% 증가
성별로는 남자 2,561만명, 여자 2,546만명으로 2010년에 비해 남자는 2.7%, 여자는 2.8% 증가
내국인은 4,971만명, 외국인은 136만명(2.7%)임
[ 인구밀도 : 명/㎢ ]
인구밀도는 509명/㎢으로 2010년의 497명/㎢보다 12명 많아짐
특·광역시는 3,936명/㎢이고 도지역은 296명/㎢
시도별로는, 서울(16,364명/㎢)이 가장 인구밀도가 높고, 강원(90명/㎢)이 가장 낮음
* 인구 1천만명 이상 국가 중 방글라데시(1,237명/km2), 대만(649명/km2)에 이어 3번째 인구 조밀국가임2015년기준
[ 수도권 인구 및 비율 ]
수도권 인구는 2,527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49.5% 차지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 인구는 2,527만명으로 전체인구의 49.5%를 차지하며, 2010년 49.2%에 비해 0.3%p 증가
(2000T) (2005T) (2010R) (2015R)
수도권 비율 : 46.3% → 48.2% → 49.2% → 49.5%
[저출산·고령화 지속]
시도별로 보면 경기도가 전체인구의 24.4% (1,248만명)로 가장 많으며, 서울(19.4%), 부산(6.8%), 경남(6.5%) 순임
증가(율) : 제주(9.9%), 경기(7.1%), 인천(6.1%)
감소(율) : 서울(-1.6%), 부산(-1.1%), 대구(-1.0%)
시군구별로는 경기 수원시 119만명, 경남 창원시 106만명, 경기 고양시 99만명 순
경기 김포시가 가장 크게 증가(24만명→35만명)
1985년에 비해 유소년인구는 518만명 감소, 고령인구는 482만명 증가
[ 연령 인구구조 및 노령화지수 ]
연령별 인구구조(내국인)는 40대, 50대 인구가 가장 많으며, 유소년인구가 감소하고 고령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항아리형’인구피라미드를 나타냄
유소년인구(0-14세)는 13.9%(691만명)로, 2010년16.2%(788만명)에 비해 2.3%p(97만명) 감소
1985년 1,209만명에 비해 518만명 감소
생산연령인구(15-64세)는 72.9%(3,623만명)로, 2010년 72.8%(3,551만명)에 비해 0.1%p(72만명) 증가
고령인구(65세이상)는 13.2%(657만명)로, 2010년11.0%(536만명)에 비해 2.2%p(121만명)증가
1985년 175만명에 비해 482만명 증가
* 주요국가 고령인구비율(2015) : 일본(26.3%), 이탈리아(22.4%), 독일(21.2%), 프랑스(19.1%), 영국(17.8%), 미국(14.8%)
노령화지수(0-14세인구에 대한 65세이상인구 비율)는 2010년 68.0보다 95.1로 증가
[ 시도별 고령인구 및 비율 ]
중위연령 41.2세로 40대 진입, 전남(21.1%)은 초고령사회 진입
중위연령은 41.2세로 2010년 38.2세보다 3.0세 증가
동부는 40.2세, 읍부는 41.4세, 면부는 52.5세로 면부의 중위연령은 50대 진입함
* 주요국가 중위연령(2015) : 일본(46.5세), 독일(46.5세), 이탈리아(44.8세), 영국(43.4세), 프랑스(41.1년), 미국(37.8세), 중국(36.8세), 인도(27.3세)
모든 시도의 고령인구 비율이 7%가 넘어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고, 전남(21.1%)은 초고령 사회로 진입함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이 높은 시군구는 전남 고흥군(38.5%), 경북 의성군(38.2%), 경북 군위군(37.5%)순임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7%미만인 시군구는 울산 북구(6.4%), 대전 유성구(6.9%)임
[ 10대 성씨 비율 ]
성씨 순위는 김(金), 이(李), 박(朴), 최(崔), 정(鄭) 순이며, 10대성씨 순위는 2000년과 동일함
우리나라 전체 성씨는 총 5,582개이고, 1,000명 이상인 성씨는 153개이며 해당인구는 내국인 4,971만명 중 4,958만명(99.8%)임
전체 성씨 중 한자가 있는 성은 1,507개, 한자가 없는 성은 4,075개임
상위 10대 성씨가 차지하는 비율은 2000년 64.1%에서 2015년 63.9%로 0.2%p 감소함
20대성씨의 인구비율은 77.8%이며, 50대 성씨는 94.2%임
[ 10대 성씨본관 ]
우리나라 성씨본관은 36,744개이고, 1,000명 이상인 성씨본관은 858개이며 해당인구는 4,861만명(97.8%)임
본관만의 개수는 7,543개임
상위 10대 성씨본관이 차지하는 비율은 35.7%이고, 20대 성씨본관의 비율은 46.4%임
김해 金씨 446만명(9.0%), 밀양 朴씨 310만명(6.2%), 전주 李씨 263만명(5.3%) 순임
[ 시도별 외국인 비율(%) ]
외국인 136만명(총인구의 2.7%)이고, 중국계 국적 외국인 51.6% 차지
외국인은 136만명으로 총 인구의 2.7%를 차지하고, 2010년 96만명에 비해 41.6% 증가
수도권에 거주하는 외국인은 62.9%(86만명)로2010년 64.3%(62만명)에 비해 1.4%p 감소
시도별로 보면, 경기 45만명(33.2%), 서울 34만명(24.7%), 경남 9만명(6.6%) 순으로 많음
[ 국적별 외국인 비율(%) ]
국적별로 보면 중국계(한국계 중국인, 중국, 대만 포함) 외국인이 51.6%(70만명)를 차지
중국계 외국인은 중국(한국계) 50만명(36.7%), 중국 19만명(13.8%), 대만 2만명(1.1%)임
2010년에 비해 증감률이 큰 국적은 미얀마(322.8%, 0.4만명→1.8만명), 캄보디아(272.2%, 1.1만명→4.1만명), 네팔(203.8%, 0.9만명→2.9만명)순임
[가구]
[ 연도별 총조사 가구 및 증감률 ]
2015년 11월 1일 기준 우리나라의 총 가구는 1,956만 가구, 수도권에 48.7% 분포
2015. 11. 1. 기준 우리나라의 총 가구는 1,956만 가구로, 2010년 1,796만 가구에 비해 160만 가구(8.9%) 증가
일반가구는 1,911만 가구로 2010년 1,766만 가구보다 146만 가구(8.2%) 증가함
* 일반가구 : 가족으로 이루어진 가구 또는 5인이하 가구
외국인가구는 43만 가구로 2010년 29만 가구에 비해 14만 가구(48.6%) 증가함
* 외국인가구 : 외국인으로만 구성된 가구
[ 시도별 가구 및 증감률 ]
전체 가구 중 952만 가구(48.7%)가 수도권에 거주하며 2010년 875만 가구(48.7%)에 비해 77만 가구(8.8%) 증가
지난 5년간 시도별 가구 증감률은 제주(17.8%), 울산(13.4%), 경기(12.2%) 순으로 높음
[ 시도별 평균가구원수 ]
평균 가구원수는 2.53명, 주된 가구 유형은 1인가구
평균 가구원수(일반가구)는 2.53명으로 2010년 2.68명보다 0.15명 감소
시도별로 보면, 경기(2.68명), 인천(2.65명), 제주 (2.61명), 울산(2.61명) 순으로 평균 가구원수가 많고, 강원(2.36명), 전남(2.36명), 경북(2.36명)이 적음
* 주요국가 평균가구원수(2015) : 중국 2.97명, 미국 2.54명, 일본 2.42명, 영국 2.30명, 독일 2.00명
[ 가구원수 규모 ]
1990년부터 2005년까지 가장 주된 가구유형은 4인가구였으며, 2010년은 2인가구(24.6%)가, 2015년에는 1인가구(27.2%)가 가장 주된 가구유형으로 등장
1인가구 520만 가구(27.2%), 2인가구 499만 가구(26.1%), 3인가구 410만 가구(21.5%), 4인가구 359만 가구(18.8%), 5인이상가구 122만 가구(6.4%)임
[ 1인가구 비율 변화 ]
1인가구 비율은 27.2%로 2010년(23.9%)보다 3.3%p 증가
1인가구 비율은 27.2%(520만 가구)로 2010년 23.9%(422만 가구)에서 3.3%p(99만 가구)증가
1990년의 1인가구 비율은 9.0%(102만 가구)였으며, 25년 동안 18.2%p(418만 가구) 증가
시도별 1인가구 비율을 보면 강원이 31.2%로 가장 높고, 인천이 23.3%로 가장 낮음
* 주요국가 1인가구 비율(2015) : 미국 28.0%, 영국 28.5%, 일본 32.7%, 노르웨이 37.9%‘14년기준
[ 다문화가구구성별 가구(%) ]
다문화가구는 30만 가구이며, 가구원은 89만명임
일반가구(1,911만 가구) 중 다문화 가구는 30만 가구로 1.6%이며, 가구원은 89만명으로 총 인구(5,107만명)의 1.7%임
가구구성별로 보면, 내국인(출생)+결혼이민자 가구가 11만 가구(35.8%)로 가장 많고, 그 다음순으로 내국인(출생)+귀화자가구가 8만 가구(26.0%)로 많음
다문화 가구원 89만명 중 내국인(출생)은 56만명, 결혼이민자*는 14만명, 귀화자는 15만명, 그 외 기타 외국인은 3만명임
* 대한민국 국민과 혼인관계에 있는 국내거주 외국인
[ 국적별 다문화 대상자 ]
국적별로 보면, 결혼이민자는 베트남(4만명, 26.9%)이 가장 많고, 귀화자의 이전국적은 중국(한국계)(7.4만명, 49.8%)이 가장 많음
[ 연도별 가구주 중위연령 ]
가구주의 중위연령은 50.8세이며, 여성 가구주 비율은 29.6%로 증가추세
2015년 가구주의 중위연령은 50.8세로, 2010년48.3세보다 2.5세가 높아져 고령화되고 있음
1990년 가구주의 중위연령(42.2세)에 비해 25년 동안 8.6세가 높아짐
[ 연도별 여성가구주 비율 ]
여성 가구주는 565만명(29.6%)으로, 1990년179만명(15.7%)에 비해 386만명(13.9%p) 증가
2010년 469만명(26.6%)에 비해 5년동안 96만명(3.0%p) 증가
[ 연령별 여성가구주 비율 ]
여성가구주 비율이 높은 연령대는 20세미만(51.8%), 20대(44.3%), 70세이상(42.6%)이 높고, 40대(24.9%)에서 가장 낮음
[ 연도별 주택유형별 거주가구 변화 ]
일반가구 중 주택유형별 거주 가구 비율은 아파트 48.1%, 단독주택 35.3%로 나타남
일반가구(1,911만 가구) 중 아파트에서 거주하는 가구는 920만 가구(48.1%)로 2010년 815만 가구(46.2%)에 비해 105만 가구(1.9%p) 증가
단독주택에 거주하는 가구는 674만 가구(35.3%)로 2010년 681만 가구(38.6%)에 비해 7만 가구(3.3%p) 감소
[ 시도별 공동주택 거주가구 분포 ]
시도 중 공동주택(아파트, 연립, 다세대주택) 거주가구 비율이 높은 지역은 인천(75.1%), 경기(68.6%), 광주(65.1%)이고, 전남(38.9%)이 가장 낮음
아파트 거주가구 비율이 높은 지역은 광주(62.7%), 세종(62.4%)이고, 제주(25.4%)가 가장 낮음
[주택]
연립/다세대주택 거주가구 비율이 높은 지역은 인천(21.9%), 서울(19.3%), 제주(16.2%)이고, 세종(2.2%)는 가장 낮음
[ 연도별 주택 및 증감률]
2015년 11월 1일 기준 우리나라 주택는 1,637만 호, 인구 1천명당 주택수는 320.5호
2015년 11월 1일 기준 우리나라의 주택(빈집 포함)은 1,637만 호로 2010년 1,475만 호보다 162만 호(11.0%) 증가
가구가 거주하는 주택은 1,530만 호이고, 빈집은 107만 호(6.5%)임
인구 1천명당 주택수는 320.5호로 2010년(296.7호)에 비해 23.8호 증가함
* 주요국가 인구 1천명당 주택수 : 미국 419.4호‘15년기준, 영국 434.6호‘14년기준, 일본 476.3호’13년기준
[ 시도별 주택 및 증감률 ]
모든 시도에서 주택이 증가하였으며, 가장 크게 증가한 지역은 경기로 47만 호 증가
증감률로는 제주 20.8%(3만 호), 경기 14.6%(47만 호) 인천 14.2%(12만 호) 순으로 증가
[ 연도별 주택유형 변화 ]
전체 주택에서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59.9%, 공동주택 비중은 74.5%
주택(빈집포함) 중 아파트는 981만 호(59.9%)로 2010년 854만 호(57.9%)에 비해 126만 호(2.0%p) 증가
단독주택의 구성비는 24.3%(397만 호)로 2010년 27.4%(404만 호)에 비해 3.1%p(7만 호) 감소
* 주택유형 : 단독주택 아파트 연립/다세대/ 기타(397만호/ 981만호/ 238만호/ 20만호)
[ 시도별 공동주택 분포 ]
시도 중 공동주택(아파트, 연립, 다세대주택) 비율이 높은 지역은 인천(88.2%), 서울(86.2%), 경기(85.6%)이고, 전남(44.2%)이 가장 낮음
아파트 비율이 높은 지역은 광주(77.4%), 세종(76.8%)이고, 제주(32.0%)가 가장 낮음
연립/다세대 주택 비율이 높은 지역은 서울(27.6%), 인천(27.0%), 제주(22.7%)이고, 세종(3.1%)과 전남(3.2%)이 가장 낮음
[ 주택유형별 20년이상·30년이상 주택 비율 ]
총 주택중 30년이상된 주택은 267만 호(16.3%), 20년이상된 주택은 716만 호(43.8%)
총 주택(빈집포함) 중에서 30년이상된 주택은 267만 호(16.3%)이며, 20년이상된 주택은 716만 호(43.8%)임
일반단독주택 271만 호 중 30년이상은 156만 호 (57.6%)이고, 20년이상은 198만 호(72.8%)임
아파트 981만 호 중 30년이상은 50만 호(5.1%)이고, 20년이상은 327만 호(33.3%)임
[ 시도별 20년이상·30년이상 주택 비율 ]
시도별로 보면, 30년이상된 주택은 전남(33.9%), 경북(27.3)순으로 많고, 경기(7.3%)가 가장 낮음
20년이상된 주택은 전남(58.8%), 경북(53.0%)순으로 많고, 세종(18.0%)이 가장 낮음
30년이상된 주택(267만 호) 중 빈집은 31만 호로 11.8%임
[ 주택유형별 빈집비율 ]
빈집비율은 세종(20.3%)이 높고, 빈집 중 30년이상된 주택비율은 전남(49.0%)이 높음
빈집은 107만 호로 전체 주택의 6.5%이며, 2010년 82만 호(5.6%)에 비해 25만 호(1.0%p) 증가
단독주택 빈집비율은 6.6%(26만 호)로 2010년 7.9% (32만 호)에 비해 1.4%p(6만 호) 감소
아파트 빈집비율은 5.8%(57만 호)로 2010년 4.3% (37만 호)에 비해 1.5%p(20만 호) 증가
[ 시도별 빈집비율 및 빈집 중 30년이상된 주택비율 ]
시도별 빈집비율을 보면, 세종(20.3%, 1.6만 호)이 가장 높고, 서울(2.8%, 7.9만 호)이 가장 낮음
빈집(107만 호) 중 30년이상된 주택의 비율은 29.3%(31만 호)임
시도별로 보면, 전남(49.0%, 5.1만 호)이 가장 높고, 세종(3.9%, 6백 호)이 가장 낮음
웹사이트: http://kostat.go.kr/portal/korea/index.a...
연락처
통계청
조사관리국 등록센서스과
최복숙
042-481-3753
-
2018년 1월 2일 1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