킬로패스, 혁신적인 VLT 기술로 DRAM 시장 판도 개편

스토리지 커패시터 제거를 통해 7nm 공정의 DRAM 개발을 앞당기는 저전력

제조비용 절감 및 성능개선이 가능한 ‘VLT기술’

San Jose, CA--(뉴스와이어)--임베디드 비휘발성 메모리(NVM) 지적자산(IP) 분야의 선도기업인 킬로패스 테크놀로지(Kilopass Technology, Inc.)가 11일 자사의 혁신적인 VLT(Vertical Layered Thyristor) 기술을 공개하고 향후 DRAM 시장의 판도를 바꿔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VLT 비트셀(Bitcell)은 2015년에 검증을 마쳤으며 메모리 매크로 테스트 칩은 현재 테스트 초기 단계에 있다. 킬로패스는 자사 고유의 초고속 TCAD 시뮬레이터를 이용해 실제 반도체 측정과 동일한 경향을 보여주는 결과들로 제조가능성을 철저히 검증했다. 현재 킬로패스는 DRAM 제조회사들과 사업제휴 및 라이선스 논의를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킬로패스의 찰리 쳉(Charlie Cheng) CEO는 “지금까지 OTP(One-Time Programmable) 메모리 기술의 선도기업으로서 명성을 쌓아온 킬로패스가 이번에 DRAM 시장에 혁신적인 기술을 선보이게 되어 기쁘다”면서 “킬로패스의 VLT 기술은 진정한 게임 체인저(Game Changer)로 라이선스 고객들이 자신들의 로드맵 진척을 가로막는 주요 걸림돌을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DRAM 아키텍처로 나아갈 수 있게 해준다. 또한 VLT는 공간 효율적이고 제조공정이 훨씬 간단해 비용 절감은 물론이고, 전력 소비를 대폭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성능은 더욱 높일 수 있다. 경쟁이 치열한 DRAM 시장의 판도를 바꿀 수 있는 그야말로 혁신적인 기술인 것이다”고 말했다.

◇ VLT(Vertical Layered Thyristor) 기술

킬로패스의 VLT 기술은 래치를 형성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교차결합쌍(Cross-coupled Pair)과 전기적으로 대등한 복잡한 구조인 사이리스터(Thyristor)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이 구조는 값을 저장하기 때문에 메모리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데, 현재의 커패시터 기반 DRAM 기술과 달리 리프레시(Refresh)를 요구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사이리스터는 1950년대에 처음 개발된 이후 SRAM 시장에서 이를 활용해 보려는 시도가 몇 차례 있었지만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VLT는 4.5F2 의 고밀도 셀 구조를 위해 사이리스터 구조를 보조 소자와 같이 수직으로 구현한 것을 기반으로DRAM 비트셀을 실현한 것이다. 이로써 제조 방식이 간소화되고 크로스포인트 메모리처럼 동작할 수 있게 되었다. VLT는 복잡한 커패시터를 없앴기 때문에 7nm까지 곧바로 확장이 가능하다. 그 결과, 동일한 공정 기술로 제조할 경우 비용을 45% 낮출 수 있는 DDR 호환 기술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VLT는 복잡하고 전력을 소비하는 리프레시 동작이 필요 없기 때문에 VLT 기반 DDR4 DRAM은 대기모드 전력소비를 10배 더 적은 50fA/bit로 줄일 수 있으며 성능은 15%까지 높일 수 있다. VLT는 제조를 단순화하며 기존 공정 장비와 소재, 플로우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VLT 비트셀 동작 및 실리콘 측정은 2015년에 완료되었으며 기존 TCAD 시뮬레이터보다 10만배 더 빠른 킬로패스 고유의 초고속 TCAD 시뮬레이터 결과와 잘 일치한다는 것을 보여줬다. 이 TCAD 시뮬레이터는 킬로패스가 핵심 공정 파라미터에 대한 제조 윈도우를 예측하여 해당 제조 공정에 맞게 설계를 최적화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완전한 매크로 레벨 테스트 칩은 5월에 테이프 아웃을 마쳤으며 현재 1차 칩(실리콘) 테스트를 진행중이다.

◇ 시장 전망

5백억 달러 규모의 DDR 메모리 시장은 3천5백억 달러 규모에 달하는 전체 반도체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분야 중 하나인데 지금은 갈림길에 서 있다. 프로세서와 기타 SoC, 그리고 NAND 플래시 메모리 제품을 산하는 로직 파운드리 기업들이 10nm 이하 공정 노드까지 앞서가고 있는 데 반해, 커패시터 기반 DRAM 기술은 그보다 크게는 2세대 정도까지 뒤쳐진 상태다. 그 이유는 커패시터 스토리지 때문인데, DRAM이 동작하는 동안 전하를 유지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정전용량을 지원하면서, 동시에 커패시터의 크기를 줄일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뿐 아니라 셀 트랜지스터의 규모가 작아지면 누설전류가 증가하는데 이는 다시 메모리 콘텐츠를 유지하고 읽는 데 더 큰 정전용량 값을 필요로 한다. 하지만 VLT 기술은 DRAM 스토리지 커패시터가 필요없어 DRAM 로드맵의 진척을 가속화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 기술 이용 안내

VLT DRAM 기술은 20~31nm 공정기술 노드를 사용하는 특정 라이선스 고객들에게만 활용될 수 있다. 킬로패스는 모든 제조 코너에 대해 자사의 혁신적인 TCAD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이 두 20nm, 31nm공정기술 노드를 철저히 시뮬레이션하고 10nm 노드에서의 실행 가능성을 입증했다. 10nm 솔루션에 대한 전체 평가는 2017년으로 예정돼 있다.

킬로패스 테크놀로지(Kilopass Technology, Inc.) 개요

킬로패스 테크놀로지(Kilopass Technology, Inc.)는 임베디드 비휘발성 메모리(NVM) 지적자산(IP) 분야의 선도기업이다. 킬로패스의 OTP(One-Time Programmable) NVM 솔루션 특허 기술은 최첨단 CMOS 공정 노드로도 어려움없이 확장이 가능하다. 이들 기술은 모든 주요 파운드리와 종합반도체회사(IDM)에서 활용할 수 있으며 더 높은 집적도, 더 큰 밀도, 더 적은 비용, 저전력 운용, 개선된 신뢰성, 향상된 보안성에 대한 시장의 요구를 충족한다. 현재 가장 잘 알려진 기업들에 의해 신뢰받고있는 킬로패스의 기술은 170여개 이상의 고객들이 채택하였으며 400종 이상의 산업, 자동차, 소비가전, 모바일, 아날로그 및 혼합신호, 그리고 사물인터넷(IoT) 칩 설계에 사용되어 100억개 이상의 제품으로 출하되었다. 보다 자세한 정보는 홈페이지를 참조하거나 이메일로 문의하면 된다. 킬로패스 기업 트위터 팔로우 신청(@kilopass_)도 가능하다.

웹사이트: http://www.kilopass.com/

연락처

페리엔월드와이드
박윤희 실장
02-565-6625
이메일 보내기

본사 문의

Sue Kim
Kilopass Technology
408-709-2819
이메일 보내기

Mary Svoboda
Kilopass Technology
408-709-2861
이메일 보내기

세부 문의
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킬로패스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