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고북스, ‘2017년 연료전지 발전시스템 기술, 시장 전망과 참여업체 사업전략 (2-해외편)’ 보고서 발간
2015년 12월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21차 기후 변화당사국총회(COP21)에서 新기후체제에 관한 전 세계 196개 당사국이 합의한 파리협정(Paris Agreement)이 채택되어 2020년 이후부터 교토의정서(Kyoto Protocol)를 대체할 新기후체제가 출범하게 되었다.
파리협정은 단순한 감축목표 제시를 넘어 기후변화 대응·기후재원 조성 등을 통해 지속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의미하며, 이러한 변화된 기후변화시장을 선점하기 위해서는 정책·제도·기술투자 등에 대한 장기적 관점의 계획이 수립·시행되어야 하고, 에너지자립섬, 신재생에너지 융합 ESS구축, 분산발전 확대 등 기후기술 관리를 통한 기후변화대응 역량을 극대화하여야 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공해배출이 없는 신재생에너지 이용은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며, 특히 다른 신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등)에 비하여 높은 에너지 효율, 짧은 설치 기간, 장소와 공간의 제약을 덜 받는 연료전지 발전은 그 성장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많은 조사기관에서 연료전지 발전 시장의 장밋빛 미래를 전망하고 있는바, 미국 시장조사업체 Navigant는 2013년 세계 연료전지 시장규모가 1.7조원 규모에서 2023년에는 최대 39조원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였으며, 미국 에너지부에서는 2020년 글로벌 시장 규모가 400억달러(약 40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는 등 2015년부터 관련시장이 급성장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일본의 닛케이BP클린테크연구소는 연료전지의 주 연료인 수소의 활용도 향상에 따라 2050년 수소 인프라 시장이 약 160조엔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파리협정에서 약속한 ‘혁신미션 (Mission Innovation) 선언’을 지키기 위하여 정부에서는 2016년 6월 ‘기후변화 대응과 신산업 창출을 위한 청정에너지기술 발전전략(안)’을 수립하였고, ‘기후변화대응기술 확보 로드맵(CTR)(안)’을 검토, 2016년말 기준 CTR을 작성하기로 결정하였는데 이 두 전략안 모두 주요 핵심기술로 연료전지 기술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당사는 국내외 연료전지 시장, 기술 동향과 함께 주택용 소형 연료전지 열병합발전시스템(micro CHP) 실증 단계를 넘어 시장 진입단계에 도달한 일본과, 상업/건물용 중형 연료전지 열병합발전시스템(CHP)과 대형 발전사업용 시스템의 상업화 단계에 들어선 미국 및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연료전지 복합 에너지 저장시스템 (Power 2 Gas System)에 대한 연구 및 실증이 활발한 유럽의 R&D/실증 현황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하였으며, 주요국별 보급 확대 정책 및 시장진입 전략과 국내외 주요 연료전지 업체들의 시장 참여 전략 및 R&D 동향을 통하여 관련 사업에 관심을 갖고 있는 모두에게 작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르고북스 개요
아르고북스는 국내외 산업 정보를 조사, 분석하여 유망분야를 발굴, 관련기업에 서비스하는 산업정보 전문 출판 서비스 기업이다.
보고서 상세 페이지: http://www.chobook.co.kr/default/product/product_0...
웹사이트: http://www.chobook.co.kr
연락처
아르고북스 홍보 대행
씨에치오 얼라이언스
조성원 부장
02-780-0237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