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 2016.9월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 발표
1. 근로실태 부문
(임금총액) ’16.8월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근로자(상용+임시·일용)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334천원으로 전년동월(3,198천원)대비 4.3%(+137천원) 증가
* 추석명절 상여금이 ’15년에는 대부분 9월에 지급되었으나 ’16년에는 8월에 지급된 경우가 일부 있었음(전년동월대비 특별급여 12.3% 상승)
(종사상지위별) 상용직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520천원으로 전년동월(3,369천원)대비 4.5%(+150천원) 증가, 임시·일용직은 1,486천원으로 전년동월(1,431천원)대비 3.9%(+56천원) 증가
(산업별) 월평균 임금총액이 많은 산업은 금융 및 보험업(5,412천원),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5,116천원) 순이며, 적은 산업은 숙박 및 음식점업(1,849천원),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2,065천원) 순
* 금융 및 보험업과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의 높은 임금은 은행·증권사·에너지공기업 등에서 주도
전년동월대비 임금상승률이 높은 산업은 운수업(+13.3%),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10.9%), 하수,폐기물처리,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10.7%) 순
(근로시간) ’16.8월 상용 5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근로자(상용+임시·일용)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은 173.9시간으로 전년동월(166.3시간)대비 7.6시간(+4.6%) 증가
* 근로일수가 전년동월대비 0.9일이 증가함에 따라 근로시간이 증가
(종사상지위별) 상용근로자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은 179.2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8.3시간(+4.9%) 증가하였고, 임시·일용근로자는 120.6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1.6시간(+1.3%) 증가
(규모별) 상용 5~300인 미만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은 175.1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7.9시간(+4.7%) 증가, 상용 300인 이상은 168.8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6.1시간(+3.7%) 증가
(산업별) 근로자 1인당 월평균 근로시간이 긴 산업은 부동산업 및 임대업(193.6시간), 제조업(181.1시간), 하수,폐기물처리,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181.1시간) 순이며, 근로시간이 짧은 산업은 건설업(150.9시간), 교육서비스업(162.3시간) 순
2. 고용부문 (잠정결과)
(종사자) ’16.9월 마지막 영업일 현재,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종사자 수는 16,781천명으로 전년동월(16,401천명)대비 379천명(+2.3%) 증가
(종사상지위별) 상용근로자 수는 전년동월대비 400천명(+2.9%) 증가, 임시·일용근로자는 14천명(-0.8%), 기타종사자는 6천명(-0.7%) 감소
* 상용근로자를 중심으로 종사자수의 고용 증가세가 지속됨
(규모별) 상용근로자 300인 미만 사업체의 종사자 수는 전년동월(13,895천명)대비 362천명(+2.6%) 증가한 14,257천명, 300인 이상은 전년동월(2,507천명)대비 17천명(+0.7%) 증가한 2,524천명
(산업별) 산업별로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109천명, +8.1%), 도매 및 소매업(+76천명, +3.7%),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44천명, +4.8%) 등에서 주로 증가
세부 산업별로 보면, 사회복지 서비스업(+63천명), 도매 및 상품 중개업(+51천명) 등은 증가하고,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20천명), 음식점 및 주점업(-18천명),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11천명) 등에서 감소
* 조선업이 포함된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은 ’15.12월 이후 10개월 연속 전년동월대비 종사자수 감소, 반도체·휴대전화 등이 포함된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은 ’14.7월 이후 27개월 연속 전년동월대비 종사자수 감소
웹사이트: http://www.moel.go.kr
연락처
고용노동부
노동시장조사과
김정훈
044-202-7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