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2017년 6월 및 상반기 수출입 동향 발표

뉴스 제공
산업통상자원부
2017-07-02 11:36
세종--(뉴스와이어)--산업통상자원부가 7월 1일 2017년 6월 및 상반기 수출입 동향을 발표했다.

본 동향 자료는 관세청 통관자료 및 무역통계(KITA)를 기초로 2017년 6월 및 상반기 수출입 실적을 분석한 것이다.

전체 수출입 실적 및 주요 품목별 수출실적(MTI 기준)은 6월 30까지의 통관실적 잠정치를 기준으로 작성했다. 다만, 연간 통계확정시(2018년 2월)까지 일부 수치는 정정 가능하다.

◇2017년 6월 수출입 동향

6월 수출 514억달러(+13.7%), 수입 400억달러(+18.0%)

1. 6월 수출입 동향 개요

(금액) 6월 수출 514억달러(전년동기대비 +13.7%), 수입 400억달러(+18.0), 무역수지 114억달러 흑자 기록(65개월 연속 흑자)

6월 수출은 역대 2위 수출실적 기록, 6개월 연속 두 자리수 증가(‘11.9월 이후 69개월만), 8개월 연속 증가(‘11.12월 이후 66개월만)

* 6월 수입도 6개월 연속 두자리수 증가(‘11.12월 이후 66개월만) 및 8개월 연속 증가(‘14.9월 이후 33개월만)

* ‘17.6월 외국인 대상 국산품 면세점 판매액은 1.4억불(총 수출 실적에는 미반영)

< 무역수지(억달러) >

(일평균 수출) 일평균 수출은 13.7% 증가로 7개월 연속 증가(‘14.11월 이후 31개월만), 선박 제외 일평균 수출도 9.9% 증가로 8개월 연속 증가(‘12.4월 이후 62개월만)

* 일평균 수출증감률(%) : (’17.1)16.2→(2)9.3→(3)13.1→(4)23.8→(5)16.0→(6)13.7

선박제외 일평균 수출증감률(%) : (’17.1)18.7→(2)12.9→(3)13.2→(4)16.4→(5)15.3→(6)9.9

일평균 수출금액은 22.4억불, 선박제외 일평균 수출금액은 19.1억불을 기록

* 일평균 수출액(억불) : (’17.1)18.7→(2)19.6→(3)20.3→(4)22.6→(5)21.4→(6)22.4

선박제외 일평균 수출액(억불) : (’17.1)17.7→(2)18.8→(3)19.1→(4)19.4→(5)20.3→(6)19.1

(물량·단가) 수출물량은 2개월 연속, 단가는 7개월 연속 증가

* (물량) 디스플레이·일반기계·석유화학 등 증가 영향
* (단가) 반도체·석유제품·석유화학·철강 등 상승 영향

2. 품목별·지역별 수출 동향

(주력품목) 7개월 연속 증가, 13대 품목 중 10개 품목 수출 증가

* 13대 품목 수출증감률(%) : (’17.1)12.4→(2)19.2→(3)13.7→(4)25.9→(5)13.5→(6)14.3
* 수출증감률(%) : (반도체)52.0 (선박)43.2 (석유화학)15.6 (일반기계)14.3 (디스플레이)10.0 (석유제품)7.4 (섬유)3.6 (컴퓨터)2.7 (자동차)1.3 (철강)1.1 (차부품)△12.6 (가전)▵25.7 (무선통신기기)△35.9

◇ (증가) 반도체·디스플레이·석유화학·일반기계·선박 등 10개 품목

(반도체) 메모리 가격 안정세 지속, PC·서버 중심 메모리 수요 강세 유지로 한 달 만에 사상 최대 수출실적 갱신(80.3억불), 9개월 연속 증가

* D램 현물가격(DDR4 4Gb, $):(’16.6)1.51 →(’17.6e)3.23(113.9%↑)
* 증감률(%) : (’16.12)22.3→(‘17.1)39.4→(2)54.1→(3)41.7→(4)56.9→(5)53.6→(6)52.0

(디스플레이) OLED 수요 확대, LCD 패널가 상승 등으로 7개월 연속 두 자리수 증가율 기록, 8개월 연속 증가

* LCD 패널단가 변화(‘16.6→’17.6월,$) : (19.5“ 모니터)37→44(19%), (55“ TV)165→202(22%)
* 증감률(%) : (’16.12)14.5→(‘17.1)20.6→(2)20.1→(3)19.5→(4)10.2→(5)13.0→(6)10.0

(석유화학) 신증설 설비 가동에 따른 생산능력 확대, 수출단가 상승으로 9개월 연속 증가, 6개월 연속 두 자리수 증가율 기록

* 수출물량(천톤,전년비%) : (‘16.6)2,906 → (’17.6e)2,940 (1.2%↑)

수출단가($/톤,전년비%) : (’16.6) 1,056 → (’17.6e) 1,214 (15.0%↑)

* 증감률(%) : (’16.12)8.6→(‘17.1)35.8→(2)43.1→(3)35.5→(4)25.3→(5)13.4→(6)15.6

(석유제품) 수출단가 상승 지속으로 8개월 연속 수출 증가

* 수출단가($/B,전년비%) : (’16.6) 50.9 → (’17.6e) 59.2 (16.3%↑)

수출물량(만B,전년비%) : (’16.6) 4,228 → (’17.6e) 4,145 (△2.0%)

* 증감률(%) : (‘16.12)16.6→(’17.1)68.1→(2)73.5→(3)59.2→(4)3.8→(5)30.4→(6)7.4

(일반기계) 中·美·ASEAN 등 주요국 설비·건설 투자 확대, UAE 원전 관련 원자로 부품 수출(11백만불 규모) 등으로 역대 3위 수출실적(43.1억불) 기록, 8개월 연속 증가

* 6.1-20일 수출액/증감률(억불,yoy) : (中)5.4(7.5%), (美)3.8(16.3%), (베트남)4.4(126%)

* 증감률(%) : (’16.12)5.6→(‘17.1)7.4→(2)9.8→(3)17.6→(4)16.1→(5)4.3→(6)14.3

(선박) 고부가가치선인 해양플랜트 3척 포함 총 26척 수출로 사상 최대 수출실적 기록(73.7억불), 4개월 연속 증가

* 증감률(%) : (‘16.12)▵14.6→(’17.1)▵18.0→(2)▵29.4→(3)11.5→(4)102.7→(5)27.5→(6)43.2

(컴퓨터) SSD 수요 지속 증가로 3개월 연속 증가

* 구글, 페이스북, 바이두, 알리바바 등이 데이터센터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기업용 SSD 수요 확대

* 증감률(%) : (’16.12)21.3→(‘17.1)1.1→(2)14.0→(3)△3.4→(4)10.1→(5)8.9→(6)2.7

(섬유) 수출단가 하락세 지속 불구, 동남아지역 수요 증가와 화섬사 수출 호조 등에 따른 물량 증가로 3개월만에 증가 전환

* 수출단가($/kg,전년비%) : (’16.6)5.15 → (’17.6e)4.93(△4.2%)

수출물량(천톤,전년비%) : (’16.6)234 → (’17.6e)247 (5.6%)

* 증감률(%) : (’16.12)▵2.2→(’17.1)▵1.4→(2)7.8→(3)1.7→(4)△3.8→(5)△2.6→(6)3.6

(자동차) 친환경차(하이브리드, 전기차) 수출 호조에 따른 단가 상승으로 5개월 연속 증가

* 6.1-20일 수출금액/증감률(백만불) : (전기차)22(35.6%), (미국)594(△15.8%)
* 증감률(%) : (‘16.12)4.7→(’17.1)▵4.9→(2)9.6→(3)4.0→(4)11.6→(5)3.5→(6)1.3

(철강) 기타철강재 수출 감소(해양플랜트용 철구조물 △4.7억불)에도 불구, 단가 상승에 따른 철강재 수출액 증가로 3개월 연속 증가

* 철강재 단가($/톤) : (‘16.6) 741 → (‘17.2) 810 → (5) 878 → (6e) 885, 전년비 19.4%↑
* 프로젝트성 철구조물 수출: (‘16.6) 6.9억불, 캐나다 → (‘17.6) 2.2억불, 러시아 (△4.7억불, 68%↓)
* 증감률(%) : (’16.12)0.4→('17.1)8.1→(2)42.3→(3)△10.8→(4)32.8→(5)36.2→(6)1.1

◇ (감소) 무선통신기기·가전·차부품 등 3개 품목

(무선통신기기) 완제품 해외생산비중 확대 및 휴대폰 부분품 현지조달 확대 등 영향으로 완제품·부분품 모두 수출이 감소

* 6월 수출금액/증감률(억불) : (휴대폰 완제품)3.9(▵37.0%), (휴대폰 부분품)8.7(▵44.3%)
* 증감률(%) : (’16.12)▵1.0→(’17.1)▵17.0→(2)▵21.1→(3)▵26.4→(4)▵12.8→(5)▵37.1→(6)▵35.9

(가전) 세탁기·에어컨 등 대형가전 수출 호조에도 불구, 해외공장 생산확대 및 부분품 현지조달이 확대된 TV를 중심으로 수출 감소

* 6.1-20일 수출금액/증감률(백만불) : (세탁기)60(29.0%), (에어컨)8(17.5%), (TV)74(△56.4%), (TV부분품)29(△76.8%)
* 증감률(%) : (‘16.12)▵13.5→(’17.1)▵16.4→(2)▵14.5→(3)▵17.0→(4)▵12.1→(5)▵21.0→(6)▵25.7

(차부품) 국내완성차 업체의 해외공장 생산 감소 영향으로 감소

* 6.1-20일 수출금액/증감률(억불) : (중국)0.9(△68.4%), (미국)3.3(▵15.3%)

* 증감률(%) : (’16.12)▵5.6→(’17.1)△0.0→(2)7.2→(3)△3.9→(4)△10.5→(5)△12.4→(6)△12.6

(유망품목) 의약품·화장품·패션의류 등 5대 유망소비재 전품목 수출 증가, SSD·OLED 수출 증가 지속

* 증감률(%) : (의약품)40.1, (화장품)18.2, (패션의류)8.9, (생활용품)2.8, (농수산식품)2.3, (SSD)28.1, (OLED)16.0

의약품은 바이오·원료·완제품 등 전반적 수출 증가, 對미국·일본 수출 호조로 3개월만에 증가 전환

* 6.1-20일 수출액/증감률(백만불) : (바이오)72(29.9%), (원료)5(29.2%), (완제품)38(12.0%), (미국)13(475%), (일본)18(38.5%)
* 증감률(%) : (‘16.12)90.8→(’17.1)△12.0→(2)22.9→(3)15.3→(4)△25.0→(5)△11.0→(6)40.1

화장품은 메이크업 및 기초화장품, 중국을 제외한 주요지역으로의 수출 증가로 2개월 연속 증가

* 6.1-20일 수출/증감률(백만불) : (메이크업 및 기초화장품)181(2.3%), (중국)71(△6.0%), (미국)30(48.2%), (아세안)25(1.8%), (일본)12(10.8%), (EU)7(46.6%)
* 증감률(%) : (‘16.12)29.4→(’17.1)25.8→(2)82.5→(3)13.0→(4)△2.9→(5)5.9→(6)18.2

농수산식품은 제조담배·면류·커피, 對아세안·미국 등 수출 증가로 14개월 연속 수출 증가

* 6.1-20일 수출액/증감률(백만불) : (담배)67(26.7%), (면류)23(29.1%), (커피)12(40.8%), (아세안)65(12.5%), (미국)46(18.4%)
* 증감률(%) : (‘16.12)9.7→(’17.1)3.1→(2)20.8→(3)6.2→(4)12.1→(5)2.8→(6)2.3

SSD는 사상 최대 수출실적(4.5억불)을 기록하면서 13개월 연속 증가, OLED는 ‘15.6월부터 25개월 연속 증가

* SSD 증감률(%) : (‘16.12)66.4→(’17.1)33.8→(2)60.2→(3)29.2→(4)74.1→(5)74.7→(6)28.1
* OLED 증감률(%) : (‘16.12)57.5→(’17.1)36.5→(2)34.8→(3)34.5→(4)14.3→(5)21.9→(6)16.0

(지역별) 對베트남·아세안·중국·일본·CIS·인도·EU 수출 증가 지속

* 수출증감률(%) : CIS 73.3 베트남 62.2 아세안 27.2 인도 24.7 EU 21.1 일본 10.8 중국 5.1 미국 △1.1 중남미△5.3 중동△6.3

◇ (증가 지속) 對베트남(17개월 연속), 아세안(9개월 연속), 중국·일본·CIS·인도(8개월 연속), EU(3개월 연속)

(베트남) 현지생산기지向 반도체·일반기계·디스플레이 수출 호조로 17개월 연속 증가

* 수출증감률(%) : (’16.12)44.6→(‘17.1)40.6→(2)37.2→(3)55.6→(4)63.1→(5)57.0→(6)62.2
* 6.1~20일 실적(억달러) : (반도체)4.5(126%), (일반기계)4.4(126%), (디스플레이)3.5(171%)

(아세안) 반도체·일반기계·디스플레이·선박 등 수출 호조로 9개월 연속 증가

* 수출증감률(%) : (’16.12)13.4→(‘17.1)18.9→(2)31.2→(3)42.7→(4)19.6→(5)36.0→(6)27.2
* 6.1~20일 실적(억달러) : (반도체)9.0(51.0%), (일반기계)6.0(68.0%), (디스플레이)3.7(136%)

(중국) 반도체·석유화학·정밀기계·일반기계 등 수출 증가로 8개월 연속 증가

* 수출증감률(%) : (’16.12)9.7→(‘17.1)13.5→(2)28.7→(3)11.9→(4)10.2→(5)7.5→(6)5.1
* 6.1~20일 실적(억달러) : (반도체)18.7(63.6%), (석유화학)8.6(10.8%), (정밀기계)1.6(43.1%)

(일본) 철강·석유제품·일반기계 등 증가 영향으로 8개월 연속 증가

* 수출증감률(%) : (’16.12)7.9→(‘17.1)19.2→(2)20.7→(3)16.9→(4)18.9→(5)8.1→(6)10.8
* 6.1~20일 수출실적(억달러) : (철강)2.0(41.7%), (석유제품)1.7(52.9%), (일반기계)1.7(15.2%)

(CIS) 철강·선박·차부품·자동차 등 증가 영향으로 ‘14.7월 이후 최대 수출실적(12.2억불) 기록, 7개월 연속 증가

* 수출증감률(%) : (’16.12)11.7→(‘17.1)21.4→(2)61.5→(3)56.6→(4)57.4→(5)33.6→(6)73.3
* 6.1~20일 수출실적(억달러) : (철강)2.5(282%), (선박)1.5(31,085%), (차부품)1.1(74.8%)

(인도) 무선통신기기·철강·석유화학 등 증가로 8개월 연속 증가

* 수출증감률(%) : (’16.12)6.0→(‘17.1)27.0→(2)17.2→(3)14.3→(4)27.2→(5)28.9→(6)24.7
* 6.1~20일 수출실적(억달러) : (무선통신기기)1.2(427%), (철강)1.2(118%), (석유화학)1.1(55.5%)

(EU) 자동차·석유화학·석유제품 등 증가로 3개월 연속 증가

* 수출증감률(%) : (’16.12)30.8→ (‘17.1)13.2→(2)27.4→(3)△8.9→(4)64.9→(5)21.8→(6)21.1
* 6.1~20일 실적(억달러) : (자동차)2.5(12.0%), (석유화학)2.2(21.3%), (석유제품)1.2(28.1%)

◇ (감소) 對미국·중남미·중동 수출

(미국) 일반기계·중전기기·석유화학 등 증가 불구, 자동차·차부품·무선통신기기 등 수출 감소 영향

* 수출증감률(%) : (’16.12)▵2.4→(‘17.1)▵1.9→(2)1.7→(3)△5.2→(4)3.7→(5)△1.8→(6)△1.1
* 6.1~20일 실적(억달러) : (일반기계)3.8(16.3%), (중전기기)1.6(116%), (석유화학)1.3(39.8%), (자동차)5.9(△15.8%), (차부품)3.3(▵15.3%), (무선통신기기)2.8(▵37.4%)

반도체 제조용장비, 일반기계, 자동차, 농수산물 등 중심으로 수입이 큰 폭 증가(+22.0%, 8개월 연속 증가)해 對美 무역수지 흑자폭은 전년비 9.1억불 감소(1-6월 누계 49.8억불 감소)

* 對美 무역수지(억불) : (‘16.6)22.2→(’17.6)13.1, (‘16.1H)131.5→('17.1H)81.6
* 6.1-20일 對美 수입액/증가율(억불, yoy) : (반도체장비)3.3(319%), (일반기계)2.2(42.0%), (자동차)1.4(81.1%), (농수산물)4.9(48.3%)

(중남미) 일반기계·철강·석유화학 증가 불구, 자동차·가전·무선통신기기 등 수출 감소 영향

* 증감률(%) : (’16.12)5.0→(‘17.1)▵6.1→(2)19.6→(3)21.5→(4)30.3→(5)2.3→(6)△5.3
* 6.1~20일 실적(억달러) : (일반기계)1.6(28.2%), (철강)1.1(24.2%), (석유화학)0.9(24.9%), (자동차)1.1(△12.2%), (가전)0.4(△49.5%), (무선통신기기)0.4(△35.8%)

(중동) 차부품·디스플레이·농수산식품 증가 불구, 일반기계·가전·섬유 수출 감소 영향

* 수출증감률(%) : (’16.12)▵5.2→(‘17.1)8.2→(2)▵10.2→(3)9.8→(4)△4.2→(5)△2.9→(6)△6.3
* 6.1~20일 실적(억달러) : (차부품)0.9(26.8%), (디스플레이)0.2(126%), (농수산식품)0.3(12.2%), (일반기계)1.3(△21.2%), (가전)0.4(△11.2%), (섬유)0.4(△19.1%)

3. 가공단계별 수입 동향

6월 수입은 ‘14.9월 이후 33개월만에 8개월 연속 증가

* 수입증감률 : (’16.12)8.0→(‘17.1)19.8→(2)23.9→(3)27.7→(4)17.3→(5)19.1→(6)18.0

주력산업의 선제적 투자 확대로 반도체 제조용장비 등 수입 큰 폭 확대, 유연탄·철광 수입 증가 등으로 ’11.12월 이후 66개월만에 6개월 연속 두자리수 증가

4. 특징 및 평가

6월 수출은 역대 2위 실적(514억불) 기록, 8개월 연속 증가, 6개월 연속 두자리수 증가율을 기록하는 등 견조한 회복세 지속

5개월 연속 전년도 수출 감소를 상회하는 수출 증가율을 기록하면서 기저효과 이상의 수출 증가세를 유지

① SSD가 사상 최대 수출실적(4.5억불), OLED(16.0%)·MCP(53.3%)가 두 자리수 증가율 기록 등 주력품목내 고부가가치 품목 수출 증가세 지속, ② 13대 주력품목 중 10개 품목 수출 증가, 5개* 품목이 두 자리수 이상 증가 등 주력품목이 전반적으로 회복세를 시현하면서 수출증가를 견인

* 반도체, 선박, 석유화학, 일반기계, 디스플레이

품목별로는 반도체(80.3억불)·선박(73.7억불)이 사상 최대, 일반기계(43.1억불)가 역대 3위 수출실적을 기록하였고,

지역별로는 對CIS(12.2억불) 수출이 ’14.7월 이후 최대 수출실적을 기록한 것이 주요 특징

◇2017년 상반기 수출입 동향 및 하반기 전망

상반기 수출 2,794억달러(15.8%), 수입 2,336억달러(21.0%)

‘17년 수출 5,450억달러(10.0%), 수입 4,630억달러(14.0%) 전망

1. 상반기 수출입 동향 개요

상반기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15.8% 증가한 2,794억달러, 수입은 21.0% 증가한 2,336억달러, 무역수지 458억달러 기록

상반기 수출액(2,794억불)은 역대 5위 반기 수출액, 수출·수입 모두 ‘14년 하반기 이후 최대실적

(단가·물량) 유가상승, 반도체·디스플레이·철강 등 상승으로 수출단가는 전년동기비 큰 폭 상승(13.6%), 수출물량은 1년만에 증가로 전환(2.0%)

* 수출단가증감율(%) : (‘16.상) ▵11.2 → (’16.하) ▵0.1 → (‘17.상) 13.6
* 수출물량증감율(%) : (‘16.상) 1.2 → (’16.하) △1.5 → (‘17.상) 2.0

2. 품목별·지역별 수출 동향

(주력품목) 13대 품목 중 10개 품목 증가, 7개 품목은 두자리수 증가율 기록

* 상반기 품목별 수출증가율(%) : (반도체)49.5 (석유제품)36.3 (선박)29.1 (석유화학)27.6 (철강)16.0 (디스플레이)15.5 (일반기계)11.7 (컴퓨터)5.3 (자동차)4.2 (섬유)0.7 (차부품)▵5.7 (가전)△17.9 (무선통신기기)△25.3

반도체(429억불)및 일반기계(242억불)가 사상 최대 반기 수출실적을 기록

* 반 도 체 : (1위)428.9억불(‘17.1H) (2위)335.4억불(’16.2H) (3위)334.0억불('14.2H)

* 일반기계 : (1위)242.2억불(‘17.1H) (2위)236.7억불(’11.2H) (3위)235.0억불('15.1H)

(유망품목) 화장품·농수산식품·생활용품 등 5대 유망소비재 전품목 수출 증가, SSD·OLED는 두 자리수 증가율 기록

* 증감률(%) : (화장품)19.4, (농수산식품)7.4, (생활용품)7.5, (의약품)4.7, (패션의류)2.3, (SSD)47.8, (OLED)25.6

화장품(22.9억불)이 사상 최대 및 농수산식품(39.4억불)이 역대 2위 반기 수출실적, SSD(23.4억불) 및 OLED(39.2억불)가 사상 최대 반기 수출실적을 기록

* 화장품 : (1위)22.9억불(‘17.1H) (2위)22.7억불(’16.2H) (3위)19.2억불('16.1H)

* 농식품 : (1위)40.3억불(‘16.2H) (2위)39.4억불(’17.1H) (3위)37.9억불('14.2H)

* SSD : (1위)23.4억불(‘17.1H) (2위)22.1억불(’16.2H) (3위)19.1억불('15.1H)

* OLED : (1위)39.2억불(‘17.1H) (2위)37.4억불(’16.2H) (3위)31.2억불('16.1H)

(지역별) 미국·중동을 제외한 주요지역으로의 수출은 모두 증가

* 상반기 지역별 수출증가율(%) : (베트남)53.6 (CIS)52.5 (아세안)29.2 (인도)22.7 (EU)22.2 (일본)15.4 (중국)12.4 (중남미)9.2 (美)△0.9 (중동)△1.3

對아세안(462억불)·베트남(233억불)·인도(71억불) 수출은 사상 최대 반기 수출실적 기록

* 아세안 : (1위)462.1억불(‘17.1H) (2위)443.3억불(’14.1H) (3위)418.8억불('13.1H)
* 베트남 : (1위)233.0억불(‘17.1H) (2위)174.6억불(’16.2H) (3위)151.7억불('16.1H)
* 인 도 : (1위)71.3억불(‘17.1H) (2위)65.1억불(’14.2H) (3위)63.9억불('11.2H)

3. 가공단계별 수입 동향

1차산품, 중간재, 자본재, 소비재 모두에서 수입이 증가

특히 1차산품, 중간재, 자본재, 소비재 수입이 모두 두 자리수 증가를 기록

4. 상반기 평가 및 하반기 전망

(상반기 평가) 상반기 수출은 세계경기·교역 회복, 반도체 등 IT경기호조, 유가상승 등으로 ‘14년 하반기 이후 최대 반기 수출실적 기록

주요국 대비 높은 수출증가율을 기록하면서 수출순위가 전년 8위에서 6위(‘17.1-4월)로 두 단계 상승

* ‘17.1-4월 수출순위/금액(억불)/증감률 : ①中(6,627/8.1%), ②美(4,966/6.7%), ③獨(4,492/1.3%), ④日(2,251/9.6%), ⑤네덜란드(1,982/9.0%), ⑥韓(1,831/17.2%), ⑦홍콩(1,694/12.1%), ⑧프랑스(1,646/12.1%), ⑨이태리(1,524/2.3%), ⑩영국(1,410/3.5%)

주력품목의 고부가가치화 및 수출시장 다변화 진전, 중소·중견기업 수출 증가 전환, 온라인 수출 급증 등으로 수출 품목·시장·주체·방식 등 수출구조 혁신의 성과가 가시화

① (품목) 주력품목 내 고부가가치 품목인 SSD·OLED 등이 두 자리수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수출비중도 증가

* 상반기 수출증감률(%) : (SSD)47.8, (OLED)25.6

* ‘16년→’17.상 상위 주력품목내 수출비중(%) : (컴퓨터 내 SSD)45.1→57.0, (디스플레이 중 OLED)27.3→29.6

② (시장) 對아세안·인도·CIS 수출비중 증가, 對중국·미국 수출비중 감소 등으로 수출시장 다변화 진전

* ‘16년→’17.상 수출비중(%) : (아세안)15.0→16.5, (인도)2.3→2.6, (CIS)1.4→1.8 (中)25.1→23.4, (美)13.4→12.2

③ (중소·중견기업 수출) 전년 감소(△1.5%)에서 ‘17.1~4월 누계 기준 두 자리수 성장(10.6%↑)으로 증가 전환

* ‘16년→‘17.1-4월 수출증감률 : (중소기업)3.4→12.8%, (중견기업)△6.5→8.4%

④ (온라인 수출) 역직구 증가, 한류 등 영향으로 온라인 수출 급증

* 전자상거래 수출(억원) : (‘16.1Q)5,114 → (17.1Q)7,716(50.9%↑)

◇하반기 및 연간 수출입 전망

하반기 : 수출 2,656억불(+4.5%), 수입 2,294억불(+7.7%)
‘17년 : 수출 5,450억불(+10.0%), 수입 4,630억불(+14.0%)

* 전제조건 : 세계경제성장률 3.5%, 세계교역성장률 4.6%, 하반기 두바이유가 $50/B

(총괄) ‘17년 수출입은 ’11년 이후 처음으로 두자리수 증가율을 기록하면서 3년만에 무역 1조불을 회복할 전망(교역규모 1조 80억불)

(무역여건) 하반기 수출입은 세계경제·교역 회복 지속으로 증가세는 유지되나, 조업일수 감소(△3일), 유가 상승폭 둔화, 선박 수출 감소 등으로 상반기 대비 증가폭은 둔화될 전망

(세계 경제·교역) 주요국의 경기부양적 정책기조 속 선진국과 개도국 경제 동반 회복, 선행지수 상승 등으로 세계교역 회복세 지속 전망

* 세계경제성장률(%, OECD/‘17.6월) : (‘16년)3.0 → (’17년)3.5 → (‘18년)3.6

세계실질교역성장률(%, OECD/‘17.6월) : (‘16년)2.4 → (’17년)4.6 → (‘18년)3.8

(유가) 수요증가에 따른 수급균형 회복이 예상되나, 美·리비아·나이지리아 생산 확대 등으로 상반기보다 소폭 하락한 $50/B 내외 전망

* 두바이유가 및 증감률($/B,yoy) : (상반기)51.4(+38.8%)→(하반기)50.0(+9.3%)

(기타) 미 금리 인상 및 보유자산 축소에 따른 신흥국 수요 둔화 가능성, 미·중 등 보호무역주의 강화는 우리 수출에 부정적

(품목별 수출전망) 반도체·컴퓨터 등 IT제품군과 석유화학·석유제품 등 유화품목이 하반기 수출 증가를 견인

(호조품목 : 하반기 수출 5% 이상) 반도체(메모리가격 안정세 지속, 탑재용량 증가), 컴퓨터(SSD 수요 확대), 석유제품·석유화학(단가상승)

(양호품목 : 2~5%) 일반기계(미·중 건설경기 회복), 철강(단가상승)

(보합품목 : 0~2%) 자동차(미 금리인상으로 수요 정체, 경쟁 심화), 섬유(선진국 경기 회복, 해외생산 확대 및 경쟁 심화)

(감소품목 : 0% 미만) 무선통신기기(경쟁심화 및 해외생산 확대), 가전(해외생산 확대), 선박(수주잔량 감소), 차부품(미국·중국 현지생산 감소), 디스플레이(OLED 수요 확대 불구, LCD 생산 감소 및 해외생산 증가)

산업부 주형환 장관은 “금년 하반기에 유가 급락,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 통상환경 급변과 같은 큰 변수가 없으면 세계경기 회복 및 수출 품목·시장 다변화 등 수출구조 혁신에 힘입어 연간 수출이 10% 내외로 증가하면서 교역액은 3년만에 1조불을 회복할 것이다”며 “앞으로도 그간 추진해 온 수출구조 혁신시책을 가속화해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웹사이트: http://www.motie.go.kr/

연락처

산업통상자원부
수출입과
신세미 주무관
044-203-40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