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내일20대연구소 “20대 5명 중 2명, 불매하는 치킨 브랜드 있다”
치킨이 제일 생각 날 때는 ‘스트레스 받을 때(22.3%)’… 치킨은 20대의 ‘시발 비용’
‘치맥(43.3%)’보다 ‘치콜(53.0%)’을 선호하는 20대
프라이드 치킨 적정 가격은 15,000원(21.3%)
◇스트레스 받을 땐 역시 ‘시발’ 치킨
치렐루야를 외치는 20대는 평소 얼마나 자주 치느님을 영접할까. 한 달에 2~3회(39.7%)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매주 1회 이상 꼭 치킨을 먹는다는 헤비 유저의 비율도 35.1%로 매우 높았다. 20대는 ‘스트레스를 받거나 기분 좋지 않은 일이 있었을 때’ 치킨이 가장 생각난다(22.3%)고 말했다. 치킨을 최근 20대 사이에서 유행하는 ‘시발 비용’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치킨을 시킬 때는 배달 앱보다 전화(56.0%)로
배달 치킨을 시킬 때 직접 전화를 건다(56.0%)는 20대는 배달 앱(28.3%)을 이용한다는 20대의 2배였다. 20대가 배달 치킨을 시킬 때 가장 고려하는 사항은 ‘선호하는 맛의 치킨 메뉴가 있는지(42.0%)’로 나타났다. 가성비를 따진다(31.7%)는 답변이 뒤를 이었는데 남성 응답자만 봤을 때 가성비는 고려 사항 1위(36.7%)였다.
◇대학생은 ‘치콜’, 20대 직장인은 ‘치맥’
치킨을 먹을 때 고민되는 세 가지 상황에 대해 알아보았다. 먼저 20대는 양념치킨(20.7%)보다 프라이드 치킨(26.0%)을 더 좋아한다고 답했다. 간장 치킨(14.3%)과 마늘 치킨(11.7%)이 뒤를 이었다. 치킨의 짝꿍으로는 탄산음료(53.0%)가 선택됐다. 맥주는 43.3%를 차지했는데, 탄산음료는 주로 대학생, 맥주는 직장인의 지지를 얻었다. 마지막으로 20대는 가슴 살처럼 퍽퍽한 살(19.7%)보다 다리 살처럼 부드러운 살(80.3%)을 좋아한다고 답했다.
◇20대 5명 중 2명(44.3%), 불매하는 치킨 브랜드가 있다.
가격 인상이나 프랜차이즈 업체의 갑질 등으로 특정 업체들의 치킨을 불매하는 움직임이 20대 사이에서 확산 중이다. 설문 결과 20대의 44.3%가 사회적 논란 때문에 불매하는 치킨 브랜드가 있다고 답했다.
◇치킨 기프티콘을 사랑하는 20대
기프티콘을 사용해 치킨을 사 먹어 본 20대는 42.7%로 꽤 높은 비율을 보였다. 커피나 아이스크림 등 다른 기프티콘에 비해 비교적 가격대가 있음에도 많은 20대가 치킨 기프티콘을 주고받고 있었다. 한편 1인 1닭이 가능하다는 20대는 36.0%였다. 특히 남성 응답자는 절반(49.3%)이 1인 1닭을 할 수 있다고 답했다. 닭의 크기에 따라 다르겠지만 1인 1닭은 쉽지 않은 미션으로 보인다.
◇20대 최애 치킨 브랜드는 ‘교촌치킨’
20대가 생각하는 프라이드 치킨의 적정 가격은 15,000원(21.3%)인 것으로 나타났다. 16,000원(14.7%)과 18,000원(13.3%)이 뒤를 이었는데, 20,000원은 넘지 않았으면 좋겠다(88.3%)고 답했다. 한편 20대가 꼽은 최애 치킨 브랜드로 교촌치킨(20.3%)이 선정되었다. 교촌치킨은 20대연구소가 진행한 2016 TOP BRAND AWARDS에서 브랜드 친숙도와 애호도, 이미지 적합성(20대와 어울리는 정도) 분야에서 모두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바 있다.
대학내일 20대연구소 개요
대학내일 20대연구소는 대학내일에서 운영하는 대학생 및 20대 전문 연구기관이다. 20대와 20대 마케팅 분야에 대한 종합적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며 최근 대한민국 사회의 중심으로 떠오른 20대 및 대학생의 일상과 생각을 날카롭게 분석하고, 그들이 지닌 역동성과 다양성의 근원을 파악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20대와 함께 하고자 하는 기업, 공공기관, 국가기관, NGO 등과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미래 사회의 핵심 리더가 될 20대를 가장 잘 이해하고 대변하는 대표적인 20대 연구기관으로 거듭나고자 한다.
자세한 결과 보기: http://20slab.naeilshot.co.kr/archives/22600
웹사이트: http://20slab.org
연락처
대학내일 20대연구소
남민희 에디터
02-6925-5947
이메일 보내기
이 보도자료는 대학내일20대연구소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