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 대통령, 제2회 지역혁신박람회 참석

서울--(뉴스와이어)--노무현 대통령은 5일 오전 대구 전시컨벤션센터(EXCO)에서 열린 ‘제2회 대한민국 지역혁신박람회’에 참석, 축사를 통해 지역혁신과 균형발전이 지방은 물론 수도권의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일이라고 밝혔다.

제2회 대한민국 지역혁신박람회 노무현 대통령 축사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지역혁신박람회를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이 자리에 함께하신 자치단체장과 지방의회 의장 여러분, 지역혁신협의회 의장과 대학총장을 비롯한 참석자 여러분, 만나뵙게 되어 반갑습니다.

앞서 국가균형발전의 성과와 지역혁신 성공사례, 잘 들었습니다. 정말 열심히 뛰고 있구나, 빠르게 바뀌고 있구나 하는 것을 실감할 수 있었습니다. 희망이 보이고 자신감이 생깁니다. 성공에 대한 확신을 갖게 됩니다.

남다른 노력으로 성공의 모범을 보여주신 수상자 여러분, 그리고 지역혁신에 열과 성을 다하고 계신 여러분 모두에게 감사와 격려의 박수를 보냅니다.

존경하는 참석자 여러분,

지역혁신의 중요성은 새삼 강조할 필요가 없을 것입니다. 이제 혁신 없이는 경쟁력도, 더 나은 미래도 얘기할 수 없는 시대가 되었습니다.

지역혁신 성공을 위한 첫번째 조건은 올바른 전략을 세우는 일입니다. 남들보다 경쟁력 있는 분야를 찾아내고 추진체계와 프로세스를 확실하게 구축해야 합니다.

여러분은 이미 지난해 각 지역의 혁신발전 5개년 계획을 수립한 바 있습니다. 이 계획을 끊임없이 검증하고 새로운 것을 창출해서 확실한 성공전략이 되도록 해주셔야겠습니다.

지역혁신의 두번째 조건은 협력네트워크입니다. 지역이든 국가든 발전의 관건은 결국 혁신역량이고, 그 핵심요소는 바로 사람입니다. 혁신주체들의 역량을 얼마나 잘 결합해서 창의적인 활동을 펼치느냐에 성패가 달려 있습니다. 산·학·연 혁신클러스터, 이노 까페(Inno-Cafe)와 같은 네트워크가 활발하게 움직일 때 혁신의 성과도 풍성해질 수 있을 것입니다.

성공의 세번째 조건은 학습하는 문화입니다. 한마디로 학습 없이는 혁신 없습니다. 서로 부지런히 배우고 연구하고 실천해야 합니다. 성공사례들을 매뉴얼로 만들어서 확산시키고, 기존의 매뉴얼을 새롭게 발전시키는 시스템도 갖추어 나가야하겠습니다.

마지막 네번째 조건은 중앙정부의 지원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부차적인 것입니다. 지역 스스로 발전의 동력을 만들어내야 합니다.

분명한 원칙을 가지고 가겠습니다. 혁신 있는 곳에 지원 있습니다. 성과와 가능성이 클수록 정부지원도 많아질 것입니다. 정책과 예산 모두에서 지방, 지방대학, 지방중소기업을 우선적으로 고려한다는 방침을 변함없이 지켜갈 것입니다.

여러분의 혁신노력이 성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할 것을 다시 한번 약속드립니다.

내외 귀빈 여러분,

저는 2년 전 이곳 대구에서 국가균형발전의 3대 원칙과 7대 과제를 담은 ‘대구구상’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그리고 그동안 정말 열심히 달려왔습니다.

지역혁신역량 강화와 전략산업 육성, 기업도시 추진과 신활력지역 선정, 행정중심복합도시와 176개 공공기관 이전계획 확정에 이르기까지 약속한 과제들을 착실히 추진해 가고 있습니다.

687개의 중앙정부 권한을 지방으로 이양했고, 지방재정 확충과 자율권 확대도 계획대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방을 변화시키는 실질적이고 근본적인 조치들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참석자 여러분,

지역혁신과 균형발전은 정파나 정권 차원의 일이 아닙니다. 나라의 장래를 위해서 결코 늦출 수 없습니다. 지방만의 일도 아닙니다. 지방은 물론 수도권의 발전을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일입니다.

균형발전전략이 있었기 때문에 수도권도 규제 개선과 발전대책 수립 등으로 숨통을 틀 수 있었습니다. 지방이 살기 좋아져야 수도권도 과밀과 집중의 폐해를 극복하고 보다 더 쾌적하고 경쟁력 있게 도약할 수 있을 것입니다.

지역혁신만이 희망입니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수도권과 지방이 힘을 모아 다함께 잘 사는 대한민국을 열어갑시다. 반드시 성공해서 보람을 함께 나눕시다.

여러분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2005년 10월 5일

웹사이트: http://www.president.go.kr

연락처

대변인실 : 02-770-2556, 춘추관 : 02-770-2564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