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라이프, 나답게 살기 위해 일과 거리두기 ‘일 따위를 삶의 보람으로 삼지 마라’ 출간

“사람은 결코 일하기 위해 살지 않는다”

나쓰메 소세키, 버트런드 러셀, 니체, 빅터 프랭클 등 시대의 지성들에게 배우는 직업과 삶에 대한 통찰

버트런드 러셀 “근로가 미덕이라는 믿음이 현대사회에 막대한 해를 끼치고 있다”

뉴스 제공
북라이프
2017-12-20 08:30
서울--(뉴스와이어)--북라이프가 ‘일 따위를 삶의 보람으로 삼지 마라’를 출간했다.

일은 더 이상 자아실현과 자기계발 수단이 아니다. 일본 역시 우리나라 못지않은 과도한 업무로 젊은 세대의 사회 이탈이 늘고 있다. 과로사를 뜻하는 일본어 ‘카로시’(かろうし), 영문으로 ‘karoshi’라는 단어가 옥스퍼드 사전에 등재될 만큼 일본의 열악한 근로 환경은 전 세계적인 관심사다. 히키코모리와 프리터족이 늘고 ‘사토리 세대’라는 신조어가 등장한 것 역시 일에서 보람을 찾지 못하는 현상이 계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직장에서 살아갈 의미를 잃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아야 할지 방황하며 심리적으로 불안한 채로 삶을 이어간다.

일본의 정신과 의사인 이즈미야 간지는 예전에는 애정결핍, 열등감, 인간 불신 등 뜨거운 감정에 따른 고민을 자주 접했으나 최근에는 하고 싶은 일이 없다거나 존재 가치를 묻는 ‘온도가 낮은 고민’이 주가 되었다고 말한다. 일에서 의미를 찾지 못하는 현대인들에게 나타난 공허함과 무의미가 정신적인 문제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이즈미야 간지가 쓴 ‘일 따위를 삶의 보람으로 삼지 마라’에서는 이렇게 불안함을 안고 사는 세대에게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나쓰메 소세키, 버트런드 러셀, 한나 아렌트, 빅터 프랭클 등 지성들의 입을 빌려 해답을 찾아간다.

그렇다면 언제부터 인간은 일로부터 소외되었을까. 저자는 한나 아렌트의 책을 인용해 “산업혁명 이후 시작된 대량생산은 인간의 숙련된 기술과 전문화에 의해 행해지던 일을 각각 단편적으로 분업화된 노동으로 깎아내렸다”고 말한다. 즉, 노동이 분업화, 기계화되면서 일하며 느끼던 즐거움을 모두 상실했다는 것이다. 이후 태동한 자본주의 정신은 인간을 더욱 더 ‘노동하는 동물’로 전락시켰다.

일은 행복한 삶을 위한 도구는 될 수 있지만 그 자체가 목적이 될 수는 없다. 최근에는 우리나라에도 일에만 매몰되지 않고 저녁이 있는 삶이나 홀로 사색하는 시간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다. 이즈미야 간지 역시 ‘일 따위를 삶의 보람으로 삼지 마라’에서 자신만의 놀이를 회복하고 나다운 삶을 살아가라고 이야기한다. 그리고 현대사회에 만연한 허무함에 치여 무너지지 말 것을 강조한다. 무조건 일에만 매달리던 ‘헝그리 모티베이션의 시대’가 끝난 오늘날에는 어느 시대보다도 인간만이 지닌 지혜와 문화가 필요하다. 이제 일하는 의미와 자신답게 살아가는 법을 다시 한 번 고민해봐야 할 때다.

웹사이트: http://www.thebooklife.co.kr/

연락처

북라이프
홍보팀
김재영
02-338-9449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