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 강경젓갈축제

논산--(뉴스와이어)--늦가을의 정취와 강경의 넉넉한 덤 문화속에서 제9회 강경젓갈축제가 2005년 10월 20일부터 24까지 5일간 충남 논산시 강경읍 강경포구, 젓갈전시관, 젓갈시장 등 강경읍 일원에서 열린다. 2004년부터 국가지정 문화관광 우수축제로서 한 단계 높아진 위상으로 그 규모나 질적인 면에서 우리나라 대표적인 산업형 축제로 발전한 강경젓갈축제는 당초 IMF가 한창이던 1997년 경제 극복의 일환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및 상인들의 소득증대 취지에서 강경 젓갈상인들이 뜻을 모아 시작되었다. 젓갈축제가 해를 거듭할수록 규모도 커져, 1997년 1회 축제 때는 참가업체가 20여개에 불과했고, 매출액도 2억2천만 원에 불과했으나, 8년이 지난 올해는 100여개 업체가 장을 펼치고, 매출액도 300여 억원을 예상하고 있으며, 젓갈로 인한 고용효과도 500여명에 달한다.

2005 강경젓갈축제는 6개 분야 72여개 행사로 성대하게 치루어질 예정이다. 볼거리, 먹을거리가 풍성한 향토문화축제로서 이제는 지역잔치의 수준을 벗어나 외국인 관광객도 많이 찾아오는 문화, 관광, 산업축제로 거듭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행사들이 선보인다. 이번 축제를 젓갈을 통한 다양한 문화적 체험과 정신적 건강을 추구할 뿐만 아니라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경제축제로 만들어 갈 것이다.

강경젓갈축제는 지역대표축제에서, 국가지정 문화관광 우수축제로 성장하였으며, 국제적인 축제로 발돋움하려 하고 있다. ‘200년 전통의 맛!, 강경포구로의 초대’라는 슬로건으로 진행되는 이 행사는 은율탈춤공연, 남사당놀이, 찾아가는 포구 장승마을, 흥이 있는 강경포구, 특집 TV개막쇼 등으로 펼쳐지며, 서울등지보다 30% 싼 가격과 축제기간 중 20% 할인 등 지역의 넉넉한 인심인 ‘덤’ 문화속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특히, 관광객 젓갈김치 담가가기, 부부 젓갈김치 담가가기와 주한 외교관 대사 및 영사 가족 200여명이 참여하는 외국인 젓갈김치 담그기 대회, 황석어젓 만들기, 밴댕이젓 만들기, 젓갈반찬 담가가기, 웰빙 젓갈음식 체험 등은 체험행사로 진행된다.

올해 체험프로그램의 경우 체험 시간 예약제를 실행하여, 관광객으로 하여금 시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애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그 밖에 젓갈과 지게꾼, 젓갈 담는 아낙네, 각종 젓갈로 만든 전통 밥상을 맛보는 ‘황산골 선비밥상’, 젓가락 왕 선발대회 등 총 21개의 참여 이벤트가 있으며 공연 등 14개의 문화체험행사와, 제4회 전국퓨전 젓갈음식요리대회, 유태종, 이종임과 함께하는 건강 먹거리 등 10종의 특별행사도 마련되어있다.

강경은 평양, 대구와 더불어 전국 3대 시장의 하나로 1930년대 최대의 성시를 이루었다. 내륙 깊숙이 위치하였으면서도 금강 하구와 가까워 해상과 육상교통의 요충지로 각종 수산물의 거래가 왕성하였다. 일제 초기부터 반세기 동안 성어기에는 하루에 1백 여척의 배들이 포구에 들어와 생선을 산더미 같이 부렸으며, 전국에서 상인들이 하루에 2~3만 명씩 몰려들었다. 일제 수탈의 관문이자 서해 해산물의 집산지였다. 당시 서해에서 잡은 각종 생선들이 모두 강경으로 집산되자 팔고 남은 물량을 오래 보관하기 위하여 염장법과 수산가공법이 발달하였다. 지금은 금강 하구둑으로 물길이 막힌지 오래지만 강경 사람들의 50년 이상의 젓갈 담그기 비법은 그대로 이어져 오늘날에도 전국 제일의 젓갈시장 명성을 지키고 있다. 강경은 한 마디로 `한국 젓갈의 고향'이고, 강경 맛갈젓갈은 한국 젓갈의 원조라고 할 수 있다. 강경 젓갈은 한국에서 가장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현재도 강경 젓갈을 구입하기 위해 전국 각처에서 몰려든 상인들로 문전성시를 이루고 있으며, 그 맥을 이어 전국 최대의 젓갈시장으로 자리잡아 전국에 신선하고 다양한 젓갈을 공급하고 있다.

강경젓갈은 요즘 건강식에 맞게 저염도로 담가, ‐5~5℃의 온도로 토굴이나 저온창고에서 100일 이상의 숙성기간을 둔다. 이런 까닭에 다른 지역보다 덜 짜면서, 담백하고 맛깔스러운 강경젓갈만의 독특한 맛을 가지게 되었고 2002년에는 『강경맛깔젓』이라는 상표로 특허청에 상표등록까지 하게 되었다.

강경에는 젓갈 말고도 내세울 것이 또 있다. 1920년대에 지어진 근대 건축물이 즐비하다.

근대 건축물의 전성기를 이루던 그 시절은 1902년 도내 최초의 강경우체국을 세우면서 시작되었다. 강경읍을 중심으로 조선후기 충청도와 전라도 지역유지 5명이 돈을 모아 세운 ‘미내다리’, 옥황상제의 딸이 깨끗한 금강에서 목욕했던 전설이 서려있는 ‘옥녀봉’과 사계 김장생선생이 세운 ‘임이정’, 우암 송시열 선생이 건립한 ‘팔괘정’, 전통 국궁을 체험할수 있는 ‘덕유정’, 죽림서원이 있다. 그래서 볼거리도 풍성하다. 맛있는 젓갈을 사면서 옛 정취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한일은행 강경지점·강경노동조합(운수하역)·남일당 한약방·금성다방 등 1920~40년대 건축물 20여 동이 남아 있다. 이들 건축물은 한때 강경의 번영을 상징했던 것들이다. 논산시는 2007년까지 근대 건축물을 개·보수해 젓갈 구매고객이 즐겨 찾는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강경읍 역시 이들 건축물을 근대 건축문화의 전시장으로 가꿔 관광객을 끌어들일 계획이다.

논산시는 축제와 연계하여 우리고장 테마여행을 계획하여 조선후기 사대부 가옥인 윤증고택, 흥선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도 유지된 3개의 서원중 하나인 사계 김장생 선생의 돈암서원 5천명의 병사를 이끌고 황산벌에서 5만명의 신라병사와 맞서다 숨진 계백장군묘, 백제군사박물관, 1000년을 이어온 국내최대석불인 관촉사 은진미륵 등을 관광하면서 관광객들에게 논산의 문화와 역사를 소개할 예정이다.

※ 백제군사박물관(1000원) 무료입장

임성규 논산시장은 “이번축제는 좀 더 다양하고 규모가 커진 체험행사가 마련돼 가족단위의 휴가코스로 젓갈을 가족구성원 개개인에 맞게 즐길 수 있는 축제가 될 것이며, 올해 김장을 강경젓갈로 담가 온 가족이 화기애애한 밥상을 만들 수 있게 정성으로 준비하였다”고 밝혔다.

강경의 대표 음식점으로는 황산옥을 꼽는다. 이 집의 자랑거리는 복찜과 우여회. 황산옥은 3대째 이어온 곳으로 시어머니로부터 며느리로 대물림한 손맛이 깊다. 우여는 웅어를 나타내는 충청도 사투리. 원래 멸치과에 속하는 웅어는 예로부터 임금에게 진상할 정도로 맛이 뛰어나다. 정약전의 "자산어보"에는 "웅어는 크기가 한 자가 넘는 밴댕이 무리이다. 맛이 아주 달아 횟감으로도 상품이다"라고 적고 있다. 생물 복찜은 크기에 따라 6만,8만,10만원.생물 복탕 2만원.우여회 2만.3만원. (041)745-4836

2005 강경젓갈축제 찾아오시는 길.

충남 논산시 강경읍 강경포구 (젓갈시장 + 옥녀봉)

시내버스
시내버스 터미널 → 강경버스터미널 / 강경버스터미널 → 행사장

시외버스
서울강남터미널 → 논산시외버스터미널 / 논산시외버스터미널 → 강경버스터미널
강경버스터미널 → 행사장

경부 고속도로 - 호남고속도로

논산 IC(지방도 68호)→강경 / 서대전 IC(국도 1호)→강경
경부고속도로 - 천안 논산간 고속도로 / 서논산 I.C → 강경 / 연무 I.C → 강경

국 도 : 전국의 국도 및 지방도가 1번국도와 23번 국도가 연결되고 대전에서 약40분거리

기 차 : 용산역(호남선) → 논산 / KTX고속철도 : 용산역 → 논산

축 제 명 : 2005 강경젓갈축제
주 제 : 200년 전통의 젓갈! 강경 포구로의 초대 ...
기 간 : 2005년 10월 20일(금) ~ 24일(일) 5일간
장 소 : 강경포구 · 젓갈시장 · 젓갈전시관
대 상 : 국내 · 외 관광객
주 최 : 논산시
주 관 : 2005 강경젓갈축제 추진위원회
후 원 : 문화관광부, 보건복지부, 한국관광공사, 문화재청, 충청남도 국민은행, YTN, 동아TV, TJB, 국제친선클럽, 웰컴투코리아

웹사이트: http://www.nonsan.go.kr

연락처

논산시청 문화관광과 정혜문 041-730-1810
서울 홍보팀 02-2603-5493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