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산림행정용어 순화’, ‘우리 산이름 바로찾기’ 캠페인

대전--(뉴스와이어)--신탄재(薪炭材) → 땔감, 땔나무
하예(下刈) → 풀베기
산화경방(山火警防) → 산불조심
천황봉(속리산) → 천왕봉
민주지산(충북 영동) → 백운산
우두산(강원 춘천) → 소슬뫼

이것은 산림청이 산림행정에서 우리말 한글의 사용을 확대하여 정부문서에 대해 국민이 쉽게 이해하고, 우리나라 산이름에 남아있는 일제 잔재용어를 우리말로 바꾸어 민족의 자존을 세우기 위해 실시하고 있는「산림행정용어 순화」와「우리 산이름 바로찾기」캠페인의 사례들이다.

산림청이 올해 2월부터 추진해오고 있는「산림행정용어 순화」캠페인은 산림 공직자들이 행정업무에 사용하고 있는 산림행정용어들 가운데 어렵거나 낡은 투의 한자어, 일제 잔재용어, 국민에게 불쾌감을 주거나 강압적인 용어, 필요 이상의 외래어, 어려운 학술ㆍ전문용어들을 선별하여 이해하기 쉽고 아름다운 우리말로 바꾸어 사용하는 ‘우리말 사랑 캠페인’이다.

이를 위해 산림청은 지난 1984년부터 순화대상 산림용어를 선별, 국립국어연구원 등의 협조를 얻어 순우리말로 바꾸어온 가운데 그동안 3~4차례에 걸친 수정보완을 통해 지난 2월 최종 1,517개에 이르는 산림행정순화용어를 확정, 발표하였다. 또한 이의 사용을 확대하기 위해 지난 3월에 산림행정순화용어집을 발간, 보급하였고 8월에는 한글 맞춤법ㆍ문법 교정 전산시스템을 도입하여 1,517개의 산림행정순화용어와 임업용어사전 등 총 10,000여개의 산림행정용어를 산림청 전자결제 시스템에 적용하였다. 따라서 산림청 직원이 문서작성시 순화되지 않은 산림용어를 사용하는 경우 이를 순화된 산림용어로 변환되도록 전산시스템화 하였다.

이밖에도 산림청은 일제에 의해 왜곡되거나 오기(誤記)되어 관행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우리의 산이름을 국민들로부터 공개제안 받아 순우리말이나 올바른 이름으로 바로잡기 위한「우리 산이름 바로찾기」캠페인을 2004년10월부터 추진해 오고 있다. 산림청 홈페이지(www.foa.go.kr) ‘국민제안’ 코너를 통해 잘못 사용되고 있는 산이름을 공개접수 받아 이를 국토지리원과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협조하에 올바른 산이름으로 되찾아 가고 있는 「우리 산이름 바로찾기」캠페인은 최근까지 총 39건의 유효한 제안사례가 접수되어 이를 바로잡기 위한 검토 및 수정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우리말 사랑 캠페인에 대해 산림청 행정법부담관실 윤정수 과장은 “한 나라의 언어는 단순한 의사소통 수단을 넘어 민족의 자존과 정신이 깃들어 있는 민족문화라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공직사회 업무에서 올바른 우리말을 사용하는 것은 민족의 문화와 자존을 지키는 것 외에도 국민과 사회가 원하는, 올바른 산림정책을 펼쳐나가는 시작이 아니겠습니까 ? ”라고 의의를 밝혔다.


산림청 개요
1967년에 설립된 농림축산식품부 산하의 외청이다. 산림의 보호 육성, 산림자원의 증식, 우량종묘 개발 및 보급, 산림사고 및 병충해 방지, 야생조수의 보호, 목재 수급의 조정, 해외산림자원 개발 및 임산물 수출입 등의 업무를 관할한다. 조직은 청장, 차장과 임업정책국, 국유림관리국, 사유림지원국, 기획관리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속기관으로는 임업연구원, 국립수목원, 산림항공관리소와 5개 지방산림관리청이 있다.

웹사이트: http://www.forest.go.kr

연락처

정책홍보팀 심양수 (042)481-4070~4, (FAX) 481-4078
이메일 보내기 ,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