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학연구소 주관, 고려대학교 개교 100주년 기념 국제학술회의 열려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는 지난 7월 동몽골 지역의 몽골 왕족 유적 발굴 현장을 답사하여 무덤에서 사람의 뼈, 옷감, 목재 관, 말 안장 및 도구, 장신구 등 다량의 유물 출토를 확인하였다. 사람의 뼈, 목재 관, 섬유 등 일부 유물의 샘플을 국내에 들여와 방사성탄소연대 측정을 해 본 결과 이들은 모두 12~3세기의 유물로 밝혀졌다. 12~3세기는 징기스칸(1167~1227)이 활동하던 시기라는 점에서 이 무덤의 발견이 세계 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출토된 유물 가운데 눈에 띄는 것이 송골매 문양이 새겨진 반지이다. 송골매 문양은 당시 몽골의 왕족만이 사용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이 무덤의 주인이 징키스칸 시대 왕족이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에서는 이번 국제학술대회를 시작으로 징기스칸 시대의 유물 발굴과 문화사적 의미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연구를 지속할 계획이다.
- 행사 개요 -
□ 행사 명 : 고려대학교 개교 100주년 기념 국제학술회의
□ 주 제 : 징기스칸 시대의 유물 발굴 현황과 의미
(Relic Excavation State and Meaning by JINGHIZ KHAN AGE)
□ 일 시 : 2005년 10월 25일(화), 26일(수) 오전 10시~오후 6시
□ 장 소 : 고려대학교 100주년기념관 국제원격회의실
□ 주 최 :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연락처
고려대학교 기획예산팀 조제홍 (041-860-1014, 이메일 보내기 )
이 보도자료는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