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 보잉787 드림라이너 여객기 국제공동개발 참여
보잉사는 첨단 소재와 기술을 사용하여 기존 여객기보다 중량을 30~40% 줄인 연료절약형 여객기인 보잉 787을 개발 중으로 보잉을 필두로 한국 대한항공, 미국 보트(Vought)사 및 스피릿(Spirit)사, 이탈리아 알레니아(Alenia)사, 일본 중공업 3사(가와사키중공업/후지중공업/미쓰비시중공업) 등 7개사가 기체부문의 국제공동 파트너로 참여한다. 국내 항공기 제작사가 여객기 국제공동개발에 파트너로 참여하는 것은 처음이다. 보잉사는 787 여객기 개발에 설계 및 제작 능력을 갖춘 파트너들과의 국제공동개발 방식으로 진행하고 있다.
양사간에 계약을 맺은 부분은 보잉 787-8 여객기의 주요 날개 구조물인 윙팁(Wing Tip). 계약액은 2억달러 규모이며, 2007년부터 보잉사에 공급하게 된다. 윙팁은 항공기 주날개 끝부분인 5m 길이 구조물로 운항중 공기의 저항을 줄여 항공기의 연료를 절감하고 항속거리를 늘리는 역할을 하는 핵심 부위이다.
대한항공은 787 여객기 개발에 참여하고 있는 보잉사의 다른 파트너들과도 후방동체를 비롯한 날개 및 동체 주요 구조물들에 대해서도 부품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를 이미 체결해 놓고 있어, 이들 부품까지 포함하면 15억달러 규모에 이른다. 이는 국내 민간 항공기 제조 산업 사상 최대 규모이다. 대한항공이 지난 1986년 국내 항공업계에서 처음으로 항공기 부품 수출사업을 시작한 이래 현재까지 보잉사, 에어버스사 등으로부터 수주한 총액이 16억달러임을 비춰볼 때 보잉 787 국제공동개발 참여의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특히 보잉787-8 여객기 국제공동개발 참여는 규모뿐만 아니라 내용 면에서도 큰 의미를 갖는다. 대한항공이 설계에서 시험, 인증, 제작에 이르는 개발 전 과정에 대해 책임진다. 즉 대한항공이 개발한 부품은 시작부터 끝까지 품질에 대한 책임을 지게 된다.
보잉사가 대한항공을 차세대 여객기 공동개발 파트너로 선택하게 된 데는 무엇보다 대한항공의 기술력을 높이 평가했기 때문이다. 특히 보잉 787 여객기에 복합소재가 50%나 사용되는 만큼 대한항공은 이 분야에서 세계 시장에서 이미 능력을 인정받고 있다.
대한항공 서상묵 본부장은 “단순히 부품 공급업체의 수준을 넘어 세계적 항공기 제작사인 보잉사와 공동 개발자로서 입지를 확실히 다지는 계기가 되었다”고 밝혔다.
대한항공은 보잉787 여객기 개발에 이미 120여명의 연구개발진을 가동 중에 있으며 이중60여명의 설계 연구인력을 보잉사에 파견해 놓고 있다. 또 설계개발 및 생산시설의 증설에 1천억원에 달하는 투자를 진행 중이다.
현재 대한항공은 보잉사에 747, 777, 737 항공기의 날개 부분품과 767 항공기의 후방동체 등을 생산, 공급하고 있다. 지난 2002년부터 보잉사로부터 신규 개발 항공기의 부품 설계 개발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항공기 설계능력 인증도 받아 놓고 있다.
■ 보잉 787 드림라이너는 어떤 항공기인가 = 보잉사가 차세대 여객기 시장 선점을 목표로 야심차게 개발하는 ‘꿈의 항공기(Dreamliner)’. 223석~296석급으로 개발 중이며 동급의 타 항공기에 비해 20%의 연료절감이 가능한 고효율 미래형 항공기이다. 15,700Km를 날 수 있는 223석급 787-8이 기본 모델이다. 2004년4월부터 보잉787 개발에 본격 착수해 2008년부터 상업운항에 들어갈 계획이다. 보잉 777에 복합소재가 12%가 사용됐던 것에 비해 보잉 787은 50%가 복합소재로 이루어진 최첨단 항공기이다. 현재 23개 항공사로부터 273대의 주문을 받아놓고 있으며, 이 중 대한항공도 10대를 주문했다. 항공 전문지인 에어라인 모니터는 이 항공기가 향후 20년간 2000대 이상이 팔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koreanair.com
연락처
홍보실 751-7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