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직업능력개발원, 정책 및 제도 중심으로 조직 개편 및 인사 단행
서울--(뉴스와이어) 2021년 03월 01일 -- 국무총리실 산하 국책연구기관인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정책 환경 및 제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3월 1일자로 조직 개편 및 인사를 단행한다.
이번 인사에서는 부원장에 손유미 선임연구위원이 선임됐다. 손 (신임)부원장은 서울대에서 교육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대학생 핵심역량진단(K-CESA)연구, 청년·중장년 일자리 및 교육관련 정책연구 등을 다년간 수행한 고등교육 전문가로서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사회적기업육성위원회, 세종미래교육자문위원회에서 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또한 전보 인사를 발령했다.
- 본부장 △미래인재연구본부장 정재호 연구위원 △고용능력·자격연구본부장 류기락 선임연구위원
- 센터장 △연구기획센터장 전종호 연구위원 △인력수급분석센터장 정지운 연구위원(타당성조사연구팀장 겸임) △진로체험·콘텐츠센터장 이민욱 연구위원
- 팀장 △기획팀장 김대영 연구위원 △고등교육혁신연구팀장 송창용 선임연구위원
정책 및 제도 중심 조직으로 신설 및 조정을 추진했다. 이에 따라 6본부 1실 15센터 체제를 갖추게 됐다.
- 고등교육시장의 급격한 변화와 함께 향후 고등교육정책사업의 신설 및 확대에 선제적·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미래인재연구본부 내 고등교육혁신연구팀 신설
- 디지털 신기술 분야 인력양성 추진 등 연구수요 증가에 따라 인력수급연구팀을 인력수급연구센터로 확대 개편
- 미래인재연구본부 내 사회정책지원센터를 사회정책연구센터로 변경
- 평생직업교육연구본부 내 NCS학습모듈지원센터를 교육과정개발·운영센터로 개편
- 고용능력·자격연구본부 내 인적자원개발위원회지원센터를 지역·산업HRD연구센터로 변경
- 국가진로교육연구본부 내 진로체험학습센터를 진로체험·콘텐츠센터로 변경
- 전략기획본부 내 기획·성과관리센터를 연구기획센터로 변경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개요
1997년 직업교육과 직업훈련의 연계와 통합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설립된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국민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교육과 고용 분야에 대한 정책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이번 인사에서는 부원장에 손유미 선임연구위원이 선임됐다. 손 (신임)부원장은 서울대에서 교육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대학생 핵심역량진단(K-CESA)연구, 청년·중장년 일자리 및 교육관련 정책연구 등을 다년간 수행한 고등교육 전문가로서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사회적기업육성위원회, 세종미래교육자문위원회에서 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또한 전보 인사를 발령했다.
- 본부장 △미래인재연구본부장 정재호 연구위원 △고용능력·자격연구본부장 류기락 선임연구위원
- 센터장 △연구기획센터장 전종호 연구위원 △인력수급분석센터장 정지운 연구위원(타당성조사연구팀장 겸임) △진로체험·콘텐츠센터장 이민욱 연구위원
- 팀장 △기획팀장 김대영 연구위원 △고등교육혁신연구팀장 송창용 선임연구위원
정책 및 제도 중심 조직으로 신설 및 조정을 추진했다. 이에 따라 6본부 1실 15센터 체제를 갖추게 됐다.
- 고등교육시장의 급격한 변화와 함께 향후 고등교육정책사업의 신설 및 확대에 선제적·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미래인재연구본부 내 고등교육혁신연구팀 신설
- 디지털 신기술 분야 인력양성 추진 등 연구수요 증가에 따라 인력수급연구팀을 인력수급연구센터로 확대 개편
- 미래인재연구본부 내 사회정책지원센터를 사회정책연구센터로 변경
- 평생직업교육연구본부 내 NCS학습모듈지원센터를 교육과정개발·운영센터로 개편
- 고용능력·자격연구본부 내 인적자원개발위원회지원센터를 지역·산업HRD연구센터로 변경
- 국가진로교육연구본부 내 진로체험학습센터를 진로체험·콘텐츠센터로 변경
- 전략기획본부 내 기획·성과관리센터를 연구기획센터로 변경
한국직업능력개발원 개요
1997년 직업교육과 직업훈련의 연계와 통합이라는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설립된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국민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교육과 고용 분야에 대한 정책연구와 프로그램 개발을 수행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krivet.re.kr